쿨레 쇼프 효과 | 영상이론 #01. 쿨레쇼프 효과 / 알프레드 히치콕 18048 좋은 평가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쿨레 쇼프 효과 – 영상이론 #01. 쿨레쇼프 효과 / 알프레드 히치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th.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th.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ㅇㅆㅍㅈ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826회 및 좋아요 3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쿨레 쇼프 효과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영상이론 #01. 쿨레쇼프 효과 / 알프레드 히치콕 – 쿨레 쇼프 효과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알쓸필잡의 재미있는 영상이론 시리즈 1 편.
전후의 숏들과 충돌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낸다는 내용의 이론인 쿨레쇼프 효과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쿨레 쇼프 효과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쿨레쇼프 효과 – 나무위키

구 소련의 영화 감독이자 이론가인 레프 쿨레쇼프가 몽타주 기법에 관한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진행한 실험과 그 결과를 지칭하는 말.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8/24/2021

View: 1438

‘악마의 편집’ 원조 이론 ‘쿨레쇼프 효과’와 미디어의 ‘가짜 뉴스 …

쿨레쇼프 효과라고 불리는 사진2에서는 앞뒤 남성의 표정이 바뀌는데, 그 사이에 다정한 모자(母字)의 모습이 있으면 그의 감정은 흐뭇함으로, 비키니 …

+ 여기에 보기

Source: m.usjournal.kr

Date Published: 5/1/2022

View: 6900

쿨레쇼프 효과 그 의미와 구체적인 예

“쿨레쇼프 효과”란, 영상의 전후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의미나 해석의 변화를 말합니다. 같은 영상이나 사진이라고 해도, 그 전후의 영상이나 …

+ 여기를 클릭

Source: honnkigaippai.tistory.com

Date Published: 7/1/2021

View: 4148

레프 쿨레쇼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프 블라디미로비치 쿨레쇼프(Лев Владимирович Кулешов, 1899년 1월 13일 ~ 1970년 3월 29일)는 러시아, 소련의 영화 제작자, 영화 이론가로서 세계 최초의 영화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9/29/2022

View: 8704

[영상 이론] 쿨레쇼프 효과란? – hp

쿨레쇼프(Lev Vladimirovich Kuleshov)는 20년대 소련 무성영화 형성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영화감독이자 이론가입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happypodo.tistory.com

Date Published: 2/26/2021

View: 4896

쿨레쇼프 효과 (Kuleshov Effect) : 우리는 과연 보이는 그대로 …

즉, 쿨레스프 효과는 같은 이미지를 두고도 전후에 어떤 이미지를 보여 주냐에 따라 보는 사람이 느끼는 감정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 여기를 클릭

Source: ddol2freedom.tistory.com

Date Published: 8/10/2022

View: 3768

여러분들은 쿨레쇼프효과를 아시는지요

각설하고, 쿨레쇼프효과에 대해 블로그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제가 저번 시간, 저저번시간 에 말씀드렸던, 미러링효과, 헤라클레스효과 …

+ 여기에 보기

Source: aa.jsmind7.com

Date Published: 9/22/2022

View: 7548

쿨레쇼프 효과 – 독후감 쓰는 남자

쿨레쇼프 효과가 생겨난 이유는 관객이 자신의 경험과 눈앞의 화면을 통해 연상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과거의 경험이나 일상생활의 경험 중 관 속에 …

+ 여기에 표시

Source: dock.tistory.com

Date Published: 4/20/2021

View: 3746

쿨레쇼프 효과와 웹 마케팅 전략

쿨레쇼프 효과 (Kuleshov effect) 란 소련의 영화 감독 레프 쿨레쇼프 (Kuleshov, Lev Vladimirovich, 1899 ~ 1970)가 개념적으로 정리한 현상으로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gomcinenews.tistory.com

Date Published: 6/25/2022

View: 1773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쿨레 쇼프 효과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영상이론 #01. 쿨레쇼프 효과 / 알프레드 히치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영상이론 #01. 쿨레쇼프 효과 / 알프레드 히치콕
영상이론 #01. 쿨레쇼프 효과 / 알프레드 히치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쿨레 쇼프 효과

  • Author: ㅇㅆㅍㅈ
  • Views: 조회수 1,826회
  • Likes: 좋아요 37개
  • Date Published: 2021. 1. 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WffJI_Bw_So

‘악마의 편집’ 원조 이론 ‘쿨레쇼프 효과’와 미디어의 ‘가짜 뉴스’ 생산 메커니즘

미디어에서 향수(香水)에 대한 선호 실험이나 지연 출발하는 차에 대한 반응 실험을 보면 브랜드에 따라 일반 대중의 반응이 달라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브랜드 표시가 없는 향수를 선택할 때는 향 그 자체에 집중하지만 브랜드 표시가 있는 경우 고급 브랜드의 향수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지연 출발하는 차가 저가일수록 신호등이 바뀌었을 때 더 빨리 뒤차의 경적소리가 울렸고 고가의 차에 대해서는 경적이 아예 울리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는 고급 브랜드일수록 더 좋은 재료를 쓰고 고급차를 모는 사람일수록 부와 권력을 더 많이 가졌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 대한 불편함이나 두려움 중의 하나는 분쟁이 일어났을 때 가진 자가 더 많은 물량과 인맥을 동원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불리할 것이라는 상대적 편향감에 근거한다. 이는 직‧간접경험과 경직된 교육을 통해 고착된 현상이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선입견이나 일반화의 오류 등 다양한 이론으로 분석하는데, 종종 소환되는 실증사례가 1920년대 소련의 감독인 레프 쿨레쇼프의 ‘이반 모주킨’의 실험이다.

사진1에서 러시아의 영화배우 이반 모주킨의 모든 표정은 무표정함으로 동일하지만 그 사이에 어떤 장면이 들어가느냐에 따라 표정을 해석하는 내용이 달라짐을 나타낸다. 수프가 들어가면 배고픔을, 관 속의 소녀이면 슬픔을, 뇌쇄적인 여성이면 욕정을 느끼는 것으로 인지하는 것이다. 쿨레쇼프 효과라고 불리는 사진2에서는 앞뒤 남성의 표정이 바뀌는데, 그 사이에 다정한 모자(母字)의 모습이 있으면 그의 감정은 흐뭇함으로, 비키니 차림의 여성이 있으면 음흉함으로 받아들인다. 이런 판단은 보는 이의 일반적 경험에 의존한다.

서로 다른 숏을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영화적 기법을 ‘몽타주(montage)’라고 하고, 러시아 몽타주의 대표적 감독인 쿨레쇼프와 푸도프킨은 몽타주를 통해 극적 내러티브를, 에이젠슈테인은 서사적 내러티브를 구성했다. 예컨대, 군인들이 총을 쏘고 민간인들이 쓰러지는 장면 사이에 소의 목을 내리치는 도끼와 피 튀기는 장면이 들어간다면 ‘학살’이라는 극적 내러티브와 ‘부조리함’이라는 서사적 내러티브로 강화되는 것이다. 이런 편집기법은 현재 미디어에서 프로그램의 이슈 파이팅을 위해 ‘악마의 편집’이라는 자극적 장치로 활용되곤 한다.

한편, 두 사진 모두 표면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컨텍스트(맥락)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진1에서 이반 모주킨이 어린 소녀의 모습을 한 악마가 죽기를 바랐던 전제가 있었다면 그의 표정은 슬픔이 아니라 기쁨일 수 있다. 사진2에서 반라의 여성이 이 남성에게 거액의 사기를 쳤던 전적이 있다면 그의 감정은 음흉함이 아니라 분노일 수 있다. 언론 보도의 책무는 ‘사실(事實)’과 그 이면의 맥락을 정확하게 파악한 ‘진실(眞實)’이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실과 의도된 맥락을 교묘하게 섞어버리면 ‘가짜 뉴스’라는 허위 정보가 생산된다.

▲ 사진1. 이반 모주킨의 실험

▲ 사진2. 쿨레쇼프 효과

‘가짜 뉴스’는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쿨레쇼프 효과를 목표한다. ‘기사’라는 얼굴을 만들기 위해 얼굴 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하는 눈 부분만 떼어 가져오고, 나머지 코, 입, 귀는 여기저기서 따로 잘라 와 ‘얼굴의 형상’을 ‘창작’하는 것이다. 성별이 뒤섞이거나 비율이 제멋대로인 기괴한 모습이라도 독자나 시청자는 ‘가짜 뉴스’가 의도하는 강렬하고 극적인 이미지와 그것이 주는 서사적 감정만 기억한다. ‘가짜 뉴스’의 의도적으로 조작된 컨텍스트는 이반 모주킨의 무표정한 얼굴 사이에 삽입된 장면들처럼 실존하거나 경험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비논리와 오류를 찾아내기 어렵다. 어쨌든 눈, 코, 입, 귀라는 얼굴의 형식을 갖췄고,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일반 대중은 사실과 진실 간 컨텍스트를 확인할 의지나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향수의 브랜드와 품질 사이의 조작된 몽타주가 아닌 향 자체를 판단하는 것과 고급차를 타는 사람 중에는 형편에 맞춤이 아닌 허세를 부리는 자도 있음을 아는 것은 진실의 직시에 필요하다. ‘가짜 뉴스’에 잠식되지 않으려면 편집된 결과물이 아닌 텍스트의 맥락을 파악해야 한다.

이민정 영화인 대경대 방송영상과 겸임조교수

[ⓒ 울산저널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쿨레쇼프 효과 그 의미와 구체적인 예

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의 쿨레쇼프 효과입니다. 쿨레쇼프는 제창자의 이름을 딴 용어인데요. 이번엔 단어의 의미, 구체적인 예, 제창자, 유의어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쿨레쇼프 효과의 정의

쿨레쇼프 효과(Kuleshov Effect) : 영상의 전후가 변화함에 따라 생기는 의미나 해석의 변화.

– 쿨레쇼프 효과의 의미를 자세히

“쿨레쇼프 효과”란, 영상의 전후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의미나 해석의 변화를 말합니다. 같은 영상이나 사진이라고 해도, 그 전후의 영상이나 흐름에 의해서 받는 인상이 변화합니다. 이것을 쿨레쇼프 효과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가 뛰는 동영상 전에 먹이 장면이 있으면 기뻐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한편으로 뱀의 장면이 있으면, 놀라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비록 그것들이 상관없는 사진이나 영상에서 편집에 의해서 억지로 연결된 것이라고 해도 이러한 현상은 일어납니다. 인간은 전후의 연결을 무의식적으로 연관지어 의미를 해석해 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쿨레쇼프 효과는 몽타주 이론 속의 구체적인 효과를 말합니다. 참고로 몽타주 이론이란, 복수의 영상을 연결하여 새로운 의미가 나타난다고 하는 이론입니다.

– 쿨레쇼프 효과의 구체적인 예

쿨레쇼프 효과에 관한 유명한 실험 예가 있습니다. 크레쇼프는 세 그룹으로 나눈 피험자에게 각각 영상을 보게 하고 어떤 인상을 받았는지 조사했습니다. 배우 이완 모쥬힝의 무표정 클로즈업은 동일하지만, 그 전의 영상이 그룹에 따라서 다릅니다. 첫 번째 그룹에는 스프가 담긴 접시 영상 뒤에 무표정 영상을 보여주었습니다. 두 번째는 관에 든 시신 영상 뒤에 무표정한 영상을 보여드렸습니다. 마지막 그룹에서는 “소파에 누워있는 여성”의 영상 뒤에 무표정의 영상이 나옵니다.

결과적으로 첫 번째 그룹은 배우가 배고픔 연기를 하는 것처럼, 두 번째 그룹은 비관 연기, 마지막 그룹은 욕망 연기를 하는 것처럼 느꼈습니다. 물론 배우의 무표정 연기는 같은 영상이니 전혀 달라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피험자가 이전 영상과 관련지어 생각했기 때문에 표정이 달라 보인 것입니다.

– 쿨레쇼프 효과의 제창자

쿨레쇼프 효과는 소비에트 연방의 영화 작가·영화 이론가인 레프·쿨레쇼프가 제창했습니다. 그의 이름을 따서 쿨레쇼프 효과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러시아 영화 대학내에서 1922년에 행해진 실험에 의해서 존재가 증명되었습니다.

– 쿨레쇼프 효과와 유의어

쿨레쇼프 효과와 유사한 심리 현상으로서 문맥 효과라는 것이 있습니다. 문맥효과는 쉽게 말해서 쿨레쇼프 효과의 문장 버전입니다. 예를 들어 “발표, 연설, 공원”이라고 하는 줄에서는 “강연”이라고 하는 한자를 상상하기 쉬워집니다. 또한 “광장, 동물, 쌍안경”이라고 하는 줄에서는 “동물원”이라는 한자를 상상하기 쉬워집니다. 이렇게 앞 뒤 문맥의 흐름이나 단어의 정렬에 따라서 단어나 문장의 파악방식이 바뀌는 것이 문맥효과입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프 블라디미로비치 쿨레쇼프(Лев Владимирович Кулешов, 1899년 1월 13일 ~ 1970년 3월 29일)는 러시아, 소련의 영화 제작자, 영화 이론가로서 세계 최초의 영화 학교 모스크바 영화 학교를 설립한 인물 가운데 한 명이다. 쿨레쇼프 효과로 알려진, 감정적으로 관객에게 영향을 주기 위한 편집과 컷을 이용하여 특히 심리학적 기반인 소비에트 몽타주로 알려진 영화 제작 기법 개발에 충실히 임했다. 이질적인 상황들을 하나의 화합하는 내레이션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컷 주변 액션을 이용하는 창조적 지리학 이론도 개발하였다.

수상 [ 편집 ]

People’s Artist of the RSFSR, 1969.

레닌 훈장

노동적기훈장

참고 문헌 [ 편집 ]

Kuleshov, Lev. Kuleshov on Film, translated and edited, with an introduction by Ronald Levaco.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영상 이론] 쿨레쇼프 효과란?

쿨레쇼프(Lev Vladimirovich Kuleshov)는 20년대 소련 무성영화 형성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영화감독이자 이론가입니다. 배우·정치가 등을 거쳐 영화감독이 되었고, 러시아혁명 때는 카메라를 가지고 *적군(赤軍) 에 참가하여 단편영화와 뉴스영화 등을 촬영하였습니다.

* 적군(赤軍 ) : 1918년부터 1946년까지의 소련 육군의 명칭

1924년에 발표한 《볼셰비키국가에서 웨스트씨의 모험 (1924)》은 소련 무성영화 초기의 대표작으로 꼽힙니다. 또한 그는 영화를 실험적이고 이론적으로 적극 연구하였고 거대한 표현가능성의 예술로서 인식하면서 영화에서 배우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문법을 창조하였습니다. 미국의 감독 D.그리피스(David Wark Griffith)의 영화를 연구하여 영화적인 표현기술을 분석하여 소련에서의 ‘몽타주이론’의 기틀을 세웠으며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등의 이론적 선구자가 되었습니다.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 라트비아출신의 구 소련 영화감독이자 영화이론가 ‘몽타주이론’을 확립하여 고전 영화이론의 기술적, 예술적 토대를 구축함. 《전함 포템킨》, 《오래 된 것과 새로운 것》등의 작품을 발표하며 러시아 영화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몽타주란 무엇인가?

쿨레쇼프는 러시아혁명 이후 국립영화학교(현 러시아 국립영화대학)에서 푸톱킨(Pudovkin) 등과 함께 다양한 영화 실험을 진행하였고, 자신의 학생들과 함께 다큐멘터리 촬영수법과 극영화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기능공 프라이트의 계획(1917)》, 《붉은 전선에서(1920)》등을 제작하였습니다. 그는 실험을 통해 필름 하나하나는 아직 영화가 아니고 그 소재에 불과하며, 영화예술은 이 필름들에게 순서를 부여했을때 시작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창조적인 순서의 차이에 따라서 영화는 온갖 결과를 낳게 되는데, 이것이 몽타주이며, 영화만이 가질 수 있는 고유한 표현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쿨레쇼프 효과란?

레프 쿨레쇼프(Lev Vladimirovich Kuleshov, 1899~1970)가 주창한 *쇼트 편집의 효과로, 쇼트와 쇼트를 병치시키는 편집에 의해 색다른 의미와 정서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한 이론입니다.

* 쇼트 : 카메라의 회전을 중단하지 않고 촬영한 연속적인 화면의 단위. 커트와 같은 뜻

1920년대, 모스크바국립영화학교(VGIK)에서 쿨레쇼프가 무성영화(소리가 없는 영상만으로 된 영화) 시대의 유명한 배우인 이반 모주킨(Ivan Mosjoukine)을 데리고 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쿨레쇼프는 모주힌의 무표정한 얼굴을 클로즈업으로 찍어, 각각 아이의 관, 식탁에 놓인 음식, 소녀의 장면과 함께 붙여놓고 관객들에게 보여주어 각 장면에 따른 의미의 변화를 살폈습니다.

실험을 통해 쿨레쇼프는 아이의 관이 찍힌 장면을 함께 편집했을 때는 모주힌의 얼굴이 슬퍼 보이고 , 음식 장면과 편집했을 때는 배가 고파 보이고, 소녀의 모습이 담긴 장면 붙였더니 기뻐 보이는 정서적 효과가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쿨레쇼프는 문맥에 의한 쇼트와 쇼트를 병치시키는 편집에 의해 색다른 의미와 정서적인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한 ‘몽타주’ 기법을 영화예술의 표현방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 으로 생각하였습니다. 이처럼 “편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영화적 표현술이 근본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증명한 것입니다. 이후 이러한 이론은 ‘쿨레쇼프 효과(Kuleshov effect)’ 또는 ‘이반 모쥬킨 실험(Ivan Mozhukin experiment)’이라고 불려지게 됩니다. 쿨레쇼프의 몽타주는 이후 푸돕킨 과 예이젠시테인(Eizenshtein) 에 의해 완성되어 1920년대 소련 무성영화의 중흥기를 가져왔으며 문화예술로서의 영화가 혁신적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하게 되었습니다.

쿨레쇼프 효과 (Kuleshov Effect) : 우리는 과연 보이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일까

반응형

안녕하세요. 똘이 아부지입니다. 요즘 나날이 상승만 이어나가고 있는 증시를 바라보며 참 많은 생각이 드는것 같습니다. 주가는 기업의 가치에 맞게 형성된다는 옛말은 뒤로하고 너도나도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트코인까지 가세하며 때아닌 불장을 만들고 있는데요. 이러한 시장을 형성하는 건 결국 인간이고 이러한 인간의 내면은 도대체 어떻게 되먹은 걸까?라는 생각이 요즘 부쩍 들기 시작했습니다. 아 물론 탐욕과 불안 사이에서 많은 갈등을 하고 있는 저의 고민이기도 하였구요…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심리 관련 책을 한 번 읽게 되었고, 생각 외로 재미?가 있더라구요…

이성적인 인간이라고 하지만 그 어느 종보다 어리석기도 한 인간. 각자가 다양한 개성과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하나의 심리학 관련 주장이나 현상이 우리 모두를 대변할 수는 없겠지만, 조금이나마 심리학을 통해 나를 알고 다른 이를 알아가는 안목은 가질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수 없이 많은 선택(투자의 관점에서는 이 회사의 주식을 살까, 팔까 / 매수 타이밍은 언제고 매도 타이밍은 언제란 말인가)을 해야하는 우리의 캄캄한 미래 속에서 이 심리학이 작은 등불이 되어줄 수 있지 않을거라 조심히 생각해 봅니당.

심리학 전문가도 아니지만 제가 조금이나마 배우고 정리한 내용을 여기에 적고 이웃분들과 의견을 나눠보고 싶어서 조심스레 심리 카테고리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바쁜 요즘이지만 틈틈히 정리해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쿨레쇼프 효과 (Kuleshov Effect) :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

쿨레쇼프 효과 (Kuleshov Effect)는 구소련의 영화감독인 쿨레쇼프가 만든 영화의 기법에서 유래합니다. 당시 그는 소련의 배우 모주힌(Mozhukin)의 아무런 감정이 들어있지 않은 무표정한 표정을 촬영하여, 서로 다른 세 개의 이미지와 편집하여 각기 다른 세 개의 장면을 만들었습니다.

첫 번째 조합은 그의 무표정한 표정과 책상 위에 놓여 있는 수프 한 접시를 보여줍니다.

두 번째 조합은 그의 무표정한 표정과 관 속에 누워 있는 어린 아이의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마지막 세번 째 조합은 그의 무표정한 표정과 긴 의자에 앉아 있는 여성의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쿨레쇼프는 이 다른 세 개의 장면을 관중들에게 보여 주었고, 관객들은 각 장면에 따라 배우 모주힌이 각기 다른 표현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그가 정말 세밀한 연기를 보인다고 찬사를 보냈다고 합니다. 수프 이미지 속에서는 굶주림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였고, 관 속의 어린 아의 이미지 속에서는 슬픔에 빠진 것처럼 보였으며, 긴 의자에 앉아 있는 여성의 이미지 속에서는 욕망을 표현하는 것 같다고 하였습니다.

같은 이미지라도 어떤 이미지와 결합하냐에 따라 다른 의미를 유추…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촬영 내내 모주힌은 똑같은 표정을 유지하였습니다. 즉, 쿨레스프 효과는 같은 이미지를 두고도 전후에 어떤 이미지를 보여 주냐에 따라 보는 사람이 느끼는 감정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사람들이 이미지를 볼 때 자신의 내면 속에서 연상된 심리를 반영하며 이러한 판단을 내린다고 보았습니다. 과거의 경험이나 일상 생활의 경험속에서 보편적으로 연상되는 감정이 그 이미지에 반영하며 위와 같은 판단을 내린다고 본 것이지요.

코카콜라가 중국에서 可口可乐 (Kĕkŏu Kĕlè)로 불리게 된 이유

한번쯤 중국이 자국에 상품을 수입해 올 때, 상품의 이름을 다소 이상하게? 바꾼다는 걸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코카콜라도 그 케이스 중의 하나인데요. 1920년 초 코카콜라가 중국 시장에 처음으로 들어왔을 때, 음절만 따서 번역하여 蝌蝌啃蜡 (kekekenla)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蝌[ke]란 글자는 올챙이蝌蚪(kedou)와 같은 글자였기에, 중국인들은 이러한 코카콜라의 명칭을 보고 끈적한 올챙이를 연상하게 되며 거부감을 나타냈다고 합니다. 이러한 반감을 사며 해외에서 승승장구 하던 코카콜라였지만 중국 시장에서만은 폭망?하게 됩니다.

이후 코카콜라는 可口可乐 (Kĕkŏu Kĕlè)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다시 중국 시장에 진출하였고, 그 후에 중국 음료 시장을 주도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같은 브랜드라도 번역된 글자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각각 다른 반응을 보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각 문화권에서 상품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연상시켜야 하는 쿨레쇼프 효과가 마케팅 전략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임을 생각하게 되는 이야기로 볼 수 있겠습니다.

언제나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을 한다는 인간 또한 지난 경험과 보편적 감정 속에 색안경을 끼고 세상을 바라 볼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여러분들은 쿨레쇼프효과를 아시는지요

반응형

여러분들은 쿨레쇼프효과를 아시는지요

안녕하세요 ^^

지금시간이 오후 2시를 넘어가고 있습니다. 하루 중 제일 더운 시간일듯 합니다.

점점 더워지는 날씨에 건강관리 잘하시길 바라며, 남은 시간 스트레스 받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점심 식사는 맛있게 드셨는지요?

식곤증이 올 수도 있는 시간이니, 잠시 커피 한잔의 여유와 약간의 스트레칭을 하시면서

남은 오후 일과시간 맞이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각설하고, 쿨레쇼프효과에 대해 블로그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제가 저번 시간, 저저번시간 에 말씀드렸던, 미러링효과, 헤라클레스효과 등등의 포스트는

한번씩 읽어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용어는 어려울 수 있어도 사회생활을 하시는데 있어서 좋은 심리학적 표현, 행동 방법이니,

꼭 한번씩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실거라 자부합니다. ㅎㅎ

이어서, 오늘도 조금이나마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는 이야기를 들려드리고 싶어 이런 주제를 가지고

블로그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딱딱한 심리학 이야기 아니오니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쿨레쇼프효과’ 라… 혹시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지요?

한마디로 쉽게 정의를 하면 ‘눈에 보이는 것은 사실 자기 내면의 세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도로 말씀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나의 내면의 세계?? 이게 무슨 말인지 어려우시다구요

그래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드려 볼까 합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합리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이 경제학의 기본 전제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리학에서는 사람은 본래 이성적이지 않고,

수많은 감정 요인이 사람의 인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가 보는 세상은 자기 자신의 내면에 있는 심리가 투영된 것이다 라고 정의해서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것도 어려우실 것 같아서 아래에 예시를 통해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잠시 용어설명을 좀더 덧붙여서 말씀드리자면,

쿨레쇼프효과는 구 소련의 영화감독이자 이론가인 쿨레쇼프가 처음 발견한 일종의 영화 효과 입니다.

당시 그는 소련의 우명배우 모주힌의 무표정한 표정을 클로즈업으로 촬영했습니다.

그 후 똑 같은 클로즈업 장면을 영화 속 장면과 편집하여 세개의 컷으로 만들었습니다.

첫번째 컷은 모주힌의 클로즈업 장면에 이어서 책상 위에 놓여 있는 수프 한접시를 보여주는 장면이며,

두번째 컷은 모주힌의 클로즈업 장면에 이어서 관속에 누워 있는 여자를 보여 줍니다.

마지막 세번째 컷은, 역시나 모주힌의 클로즈업 장면에 이어서 한 소녀가 귀여운 곰 인형을

가지고 노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쿨레쇼프는 세가지 다른 장면을 관중들에게 보여줬고, 관중들은 배우의 세밀한 연기에 크게 찬사를 보냈습니다.

관객들은 첫번째 컷에서 모주힌이 수프를 보고 있을때, 깊은 생각에 빠진 것처러 보이고,

두번째 관속의 여자를 볼때는 슬펴 보이며, 마지막 세번째 소녀가 노는 모습을 볼때는 자연스럽고 유쾌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사실 촬영내내 배우 모주힌은 무표정을 유지 했습니다.

즉, 다시말해, 쿨레쇼프효과는 같은 컷을 두고도 그 전후에

어떤 이미지를 보여 주느냐에 따라 관객이 느끼는 감정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조금 이해가 되실까요? 조금 더 부연설명을 드리자면,

쿨레쇼프효과가 생겨난 이유는 관객이 자신의 경험과 눈앞의 화면을 통해 연상을 일으켰기 때문입니다.

과거의 경험이나 일상생활의 경험 중 관속에 누워 있는 사람을 볼때는 일반적으로 슬픈 감정을 연상하게 되고,

소녀가 노는 모습을 볼때는 유쾌한 감정을 연상하게 됩니다.

정작 여배우의 표정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무표정인데 말이죠.

그러므로 관객이 보는 것은 시실 자신의 연상된 심리가 스스로에게 투사된 것입니다.

이처럼, 쿨레쇼프효과는 영화 예술에서 컷 편집의 획기적 성과이기도 하지만,

현실 생활에서도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특히 브랜드별로 로고이름과 로고 패턴을 선택할 때도 그 효과를 발휘 합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는 일화이기는 하지만 간략하게 코카콜라 일화를 한번더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1886년 코카콜라는 출시되자마자 많은 이들에게 큰 환영과 주목을 받았습니다.

1920년대 초 코카콜라 같은 외국 상품이 처음으로 중국 시작에 들어온 후 몇년이 지날 즈음,

다른 나라 시장의 열기와 비교 했을때 코카콜라에 대한 중국 시장의 반응은 그야말로 참담했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코카콜라를 만든 회사 본부에서 직원을 파견하여 시장을 조사했고,

이에 중국어로 번역한 이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아챘습니다.

사실 코카콜라를 중국어로 번역한 이름은 심오하고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합니다.

또한 코카콜라를 음절만 따서 번역한 것은 대중의 반감을 사기도 했었습니다.

아무 의미 없는 음절은 오히려 심각한 쿨레쇼프효과를 만들어 내고 있었고,

이에 중국 대중들은 이 이름에 대해 마시기 어렵다는 이미지까지 정착되어 혐오감을 느끼기도 했엇습니다.

그렇게 몇 십년의 시간이 흐른 후 1980년대 들어 코카콜라는 다시 중국시장에 입성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이름을 바꾸어 중국 음료 시장을 이끌게 된 것입니다.

같은 음료, 같은 이름에 단지 번역된 글자만 달랐을 뿐인데, 소비자들은 각각 다른 정서적 반응을 보인 것입니다.

이는 의심의 여지 없이 쿨레쇼프효과를 생생하게 보연 준 사례입니다.

위에 코카콜라 사례는 각 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전략을 끌어내는 데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오늘날까지도 미국의 수많은 비즈니스스쿨에서 현지화 전략의 사례로 꼽혀 소개를 하고 있는 일화 입니다.

어떤 상표를 설계하거나 상품명을 고를 때,

다른 사람이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점 외에도 중요한 지표가 하나 더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입니다.

바로, 각 문화권에서 아름다운 연상, 즉 쿨레쇼프효과를 불러일으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소비자의 각도에서 보면 상품의 명칭, 상표 등 상품을 표시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이는 각종 정서 반응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구매자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번주 저희 회사도 신제품을 출시 할 예정입니다.

그러다가 많은 문헌과 많은 자료를 찾는 과정에 좋은 심리학적 표현이 있어서

혼자만 알고 있기 너무 아쉬워 여러분들과 함께 공유해 보았습니다.

오늘의 저의 블로그 주제 쿨레쇼프효과 어떠셨는지요?

한번에, 그리고 갑자기 마음에 확~ 와 닿지는 않으실 내용일지 모르지만,

언젠가 여러분들께서도 신제품 관련 업무를 보셔야 한다던지,

아님 신규 사업을 런칭 하실때 꼭 필요한 심리학 전략일것이라 생각됩니다.

많은 부분을 준비해야 하는 과정이라 정신 없으실지 모르지만, 그래도

꼭 한번 읽어보시고 그때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부족한 저의 쿨레쇼프효과 블로그 끝까지 읽어주시고, 관심가져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부족한 글솜씨 임에도 불구하고, 더 좋은 내용의 심리학적 표현으로

여러분들께 약간의 도움을 드리기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자주자주 많이 많이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라며, 저는 이만 물러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

쿨레쇼프 효과

‘쿨레쇼프 효과Kuleshov effect’는 구소련의 영화감독이자 이론가인 쿨레쇼프가 처음 발견한 일종의 영화 효과다. 당시 그는 소련의 유명 배우 모주힌Mochukhin의 무표정한 표정을 클로즈업으로 촬영했다. 그 후 똑같은 클로즈업 장면을 영화 속 쇼트와 편집하여 세 개의 장면을 만들었다.

첫 번째 조합은 모주힌의 클로즈업 장면에 이어서 책상 위에 놓여있는 수프 한 접시를 보여 준다. 두 번째 조합은 모주힌의 클로즈업 장면에 이어서 관 속에 누워 있는 여자를 보여 준다. 세 번째 조합은 모주힌의 클로즈업 장면에 이어서 한 소녀가 귀여운 곰 인형을 가지고 노는 모습을 보여 준다.

쿨레쇼프는 세 가지 다른 장면을 관중에게 보여 줬고 관중은 배우의 세밀한 연기에 크게 찬사를 보냈다.

관객들은 모주힌이 수프를 보고 있을 때는 깊은 생각에 빠진 것처럼 보이고, 관 속의 여자를 볼 때는 슬퍼 보이며, 소녀가 노는 모습을 볼 때는 자연스럽고 유쾌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실 촬영 내내 모주힌은 무표정을 유지했다. 즉, 쿨레쇼프 효과는 같은 쇼트를 두고도 그 전후에 어떤 이미지를 보여 주느냐에 따라 관객이 느끼는 감정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쿨레쇼프 효과가 생겨난 이유는 관객이 자신의 경험과 눈앞의 화면을 통해 연상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과거의 경험이나 일상생활의 경험 중 관 속에 누워 있는 사람을 볼 때는 일반적으로 슬픈 감정을 연상하게 되고, 소녀가 노는 모습을 볼 때는 유쾌한 감정을 연상하게 된다. 그러므로 관객이 보는 것은 사실 자신의 연상된 심리가 스스로 투사된 것이다.

쿨레쇼프 효과는 영화 예술에서 숏 편집의 획기적 성과이기도 하지만, 현실 생활에서도 중요한 작용을 한다. 특히 상표별로 로고 이름과 로고 패턴을 선택할 때도 그 효과를 발휘한다.

1886년 코카콜라는 출시되자마자 큰 환영을 받았다. 1920년대 초 코카콜라 같은 외국 상품이 처음으로 중국 시장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몇 년이 지난 후, 다른 나라 시장의 열기와 비교했을 때 코카콜라에 대한 중국 시장의 반응은 그야말로 참담했다.

왜 그랬을까? 코카콜라를 만든 회사 본부에서는 직원을 파견하여 시장을 조사했고 중국어로 번역한 이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코카콜라를 중국어로 번역한 이름은 심오하고 이해하기 어려웠다. 또한, 코카콜라를 ‘脚脚蠟[kedu k?n la], 음절만 따서 번역한 것은 대중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

아무 의미 없는 음절은 오히려 심각한 쿨레쇼프 효과를 만들어 냈다. 중국 대중들은 이 이름에 대해 마시기 어렵다는 이미지를 먼저 떠올렸고, 심지어 혐오감을 느끼기도 했다. 왜냐하면, 중국에는 味同[wei tong jiao la]’, 즉 ‘무미건조하다’ 라는 뜻을 가진 성어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어에는 ‘’ 글자는 ‘놔(올챙이)’를 대신하는 글자로 여겼다. 이 때문에 코카콜라는 까무잡잡하고 끈적끈적한 올챙이를 떠올리게 했다. 따라서 중국 대중들에게 직접 ‘(올챙이)와 ‘蠟’라는 단어가 심리적으로 서로 연상하게 한 것이다. 설령 전혀 의미 없는 코카콜라의 음절이라 할지라도 대중의 반감을 막지 못한 것이다.

1980년대 들어 코카콜라는 다시 중국 시장에 들어오며 새로운 이름을 지었는데 바로 ‘可口可樂[keku kele]’ 이다. 그 후 코카콜라는 중국 음료 시장을 이끌게 되었다.

같은 음료, 같은 이름에 단지 번역된 글자만 달랐지만, 소비자들은 각각 다른 정서적 반응을 보였다. 이는 의심의 여지 없이 쿨레쇼프 효과’를 생생하게 보여 준 사례다. 이 사례는 각 다국적 기업의 현지화 전략을 끌어내는 데 큰 의미가 있었다. 오늘날까지 미국의 수많은 경영대학원에서 현지화 전략의 사례로 소개하고 있다.

어떤 상표를 설계하거나 상품명을 고를 때, 다른 사람이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점 외에도 중요한 지표가 하나 더 있다. 바로 각 문화권에서 아름다운 연상, 즉 쿨레쇼프 효과를 불러일으켜야 한다는 것이다. 소비자의 각도에서 보면 상품의 명칭, 상표 등 상품을 표시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이는 각종 정서 반응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구매자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합리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이 경제학의 기본 전제다. 그러나 심리학에서 사람은 본래 이성적이지 않고, 수많은 감정 요인이 사람의 인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결국, 우리가 보는 세상은 자기 자신의 내면에 있는 심리가 투영된 것이다.

쿨레쇼프 효과와 웹 마케팅 전략

본 포스팅 시리즈에서는 마케팅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용어에 대한 설명 및 적용 사례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1. 쿨레쇼프 효과

쿨레쇼프 효과 (Kuleshov effect) 란 소련의 영화 감독 레프 쿨레쇼프 (Kuleshov, Lev Vladimirovich, 1899 ~ 1970)가 개념적으로 정리한 현상으로 단편적인 사진이나 영상을 본 사람이 각자의 마음대로 의미를 부여하는 심리적 현상을 의미합니다. 쿨레쇼프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실험 영상을 만들었는데요. 영상에서는 무표정한 얼굴의 남성을 보여주고 다음 장면에 죽은 아이의 시체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두번째로 역시 무표정한 얼굴의 남성을 보여주고 다음 장면에 아름다운 여성을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역시 또다시 무표정한 얼굴의 남성을 보여주고 다음 장면에 맛있는 음식을 보여줍니다. 이를 본 관객은 첫번째 샷에서 자녀의 죽음을 슬퍼하는 남자의 모습을, 두번째 장면에서는 여인과 사랑에 빠진 남자의 모습을, 마지막으로 세번째 장면에서는 배고파하는 남자의 모습을 떠올리게 됩니다. 세 장면 모두 그냥 무표정한 남자의 모습인데 말이죠.

2. 쿨레쇼프 효과와 마케팅 전략

– 쿨레쇼프 효과는 특히 영화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효과를 이용하여 영화에서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영화적 영역 (cinematic geography) 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각각 다른 장소에서 촬영된 샷을 교묘하게 편집하여 영화 속에서 특성 상황이나 장소로 통일성을 갖도록 하는 몽타주의 한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것이죠.

– 기업들이 로고나 마크 또는 추상적 사진을 활용하는 것 역시 쿨레쇼프 효과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단편적인 사진들을 하나로 구성하여 홍보영상으로 만드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의 마케팅 방법입니다.

– 또한 쇼핑몰 홍보나 사이트 구성 시에도 추상적인 문구, 로고, 마크, 사진 등을 활용하여 고객에게 다양한 의미를 보다 강렬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쿨레 쇼프 효과

다음은 Bing에서 쿨레 쇼프 효과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영상이론 #01. 쿨레쇼프 효과 / 알프레드 히치콕

  • 영화이론
  • 영상이론
  • 영상문법
  • shot
  • 영화
  • 영상제작
  • 영상편집
  • 쿨레쇼프 효과

영상이론 ##01. #쿨레쇼프 #효과 #/ #알프레드 #히치콕


YouTube에서 쿨레 쇼프 효과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이론 #01. 쿨레쇼프 효과 / 알프레드 히치콕 | 쿨레 쇼프 효과,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중국 여자 배구 중계 | 2022 여자배구 네이션스리그 \"중국 Vs 네덜란드\" 44 개의 자세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