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 학적 연구 | 질적연구의 종류와 현상학적 방법 55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현상 학적 연구 – 질적연구의 종류와 현상학적 방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th.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th.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논준모연구소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396회 및 좋아요 10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현상 학적 연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질적연구의 종류와 현상학적 방법 – 현상 학적 연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질적연구의 대표적인 방법들과 현상학적 방법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논준모연구소

현상 학적 연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JKAN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시도하려는. 연구자들을 위한 길잡이 역할로써 암환자 가족의 경험을.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1969)의 세가. 지 …

+ 여기를 클릭

Source: pc.jkan.or.kr

Date Published: 2/16/2021

View: 5314

13장. 현상학 연구

상호주관적이다. • 현상학적 연구는 넓은 의미에서 과학적 연구라 할 수 있다. 1. 현상학의 정의 및 개념 …

+ 여기를 클릭

Source: contents.kocw.net

Date Published: 3/16/2022

View: 3592

질적연구방법론의 종류와 현상학적 연구 – 네이버 블로그

현상학은 주어진 현상의 발생적, 구성적 근원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인식 주체가 경험하는 의식 작용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법론에 그 바탕을 둔다. 현상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9/19/2022

View: 8097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관한 몇 가지 생각’ – 브런치

Bi-weekly Journal Ⅳ – 현상학 | 2021년 4월 18일 (일) 1. 현상학적 연구란 무엇인가?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기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간 …

+ 더 읽기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1/29/2021

View: 119

질적 연구 방법 – 현상학적 연구 : 정의, 연구 유형, 연구 절차

– 현상학자들은 모든 연구 참여자들이 현상을 경험하면서 공통적으로 갖게 된 것을 기술하는 것에 초점을 둠. – 현상학의 기본적인 목적은 현상에 대한 …

+ 여기에 표시

Source: zomzom.tistory.com

Date Published: 9/13/2021

View: 1115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Giorgi, Colaizzi, Van Kaam …

현상학적 접근은 인간의 경험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 하다. 현상학 연구자들은 지각과 판단의 모든 복합성을 가진 인간에 의해 경험되는 현상을 연구 …

+ 여기에 보기

Source: dohwan.tistory.com

Date Published: 6/17/2021

View: 2958

[질적연구]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 신박에듀

현상학적 연구의 개념 및 방법 현상학이라는 단어가 사용된 시점은 20세기 초 독일의 철학자 Husserl이 ‛논리 연구’에서 자신의 철학을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edumon.tistory.com

Date Published: 8/13/2022

View: 4171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한국간호과학회 : 논문 – DBpia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 Focused on Giorgi,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dbpia.co.kr

Date Published: 9/21/2021

View: 9378

온라인게임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게이머의 경험과 인간 현실의 구체적이고 생생한 삶의 맥락을 이해 … 주제어 : 온라인게임, 게임문화 연구, 연구방법, 질적연구, 현상학적 연구.

+ 여기에 보기

Source: koreascience.kr

Date Published: 8/25/2022

View: 609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현상 학적 연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질적연구의 종류와 현상학적 방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질적연구의 종류와 현상학적 방법
질적연구의 종류와 현상학적 방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현상 학적 연구

  • Author: 논준모연구소
  • Views: 조회수 4,396회
  • Likes: 좋아요 104개
  • Date Published: 2021. 10. 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i6C0BzsMzsg

질적연구방법론의 종류와 현상학적 연구

출처 : 신경림 외,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년

1. 질적 연구 방법론의 종류

현상학적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 방법론, 근거이론 방법론, 문화기술지, 내러티브 탐구, 참여행위 연구, 포커스그룹을 이용한 연구 방법, 일상생활 방법론, 질적 사례 연구, 역사 연구

2. 현상학적 연구

현상학은 주어진 현상의 발생적, 구성적 근원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인식 주체가 경험하는 의식 작용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법론에 그 바탕을 둔다. 현상학적 연구는 인간 경험의 기술(description)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귀납적, 기술적 연구 방법이다. 따라서 현상학적 연구는 살아있는 경험을 지향하며 그 경험의 의미를 포함하여 구조, 즉 현상의 본질을 밝혀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mery, 1983).

일반적으로 간호학 등에서 응용되는 현상학은 실존적 현상학 혹은 실존적 해석학적 현상학이라고 부른다(공병혜, 2003).

현상학적 연구를 한다는 것은 어떤 것에 대해 현상학적으로 묻는다는 것이고 또한 어떤 것이 ‘정말로’ 어떤 것인가라는 물음을 던지는 것이다.

* 참여자의 선정

질적인 표본 추출을 위해서는 적절성과 충분함이라는 두 가지 원리가 필요하다. 적절성은 연구에서 이론적인 필수조건에 따라서 연구에 대한 가장 좋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참여자를 알아내고 선택하는 것이고, 충분함이란 연구 현상들에 대한 충분하고 풍부한 설명을 하기 위해서 자료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도록 수집하여야 한다는 것이다(모스와 필드, 1997).

표본 추출의 적절성은 연구의 주제와 목적에 따라 어떤 사람이 연구 참여자로 가장 적절한지를 알고 그 대상을 선정하는 편의 추출 방법으로 충족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작위 표본 추출은 질적 연구의 목표에 맞지 않을 뿐 아니라 연구 결과가 무효화되는 원인 이 될 수 있다.

* 문헌고찰

현상학적 문헌의 고찰은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 마지막 단계까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연구 시기별로 그 중요성을 달리한다.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는 연구 주제가 어느 정도까지 연구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자신의 연구와 비교하여 어떠한 새로운 지식이 필요하며 어떻게 연구를 진행해야 할지를 파악하기 위한 정도 의 문헌 고찰이 필요하다. 그 이상의 문헌고찰은 판단중지를 위해 자료 분석 후 연구 결과를 고찰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잠시 보류해두는 것이 좋다.

연구가 진행되면서 자료 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지는 동안 연구자는 참여자로부터 나온 자료에 집중하여 먼저 자기 나름대로 연구 현상의 현상학적 의미를 밝히려는 시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oper(1989)는 문헌고찰의 여러 측면에 대해 현 지식상태를 기술해보는 통합적 고찰 , 현상을 설명하는 데 이용된 이론을 분석하는 이론적 고찰 ,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적용된 방법론적 고찰 , 그리고 현상과 관련된 주제를 분석한 후 이를 재기술하여 보는 주제 고찰 등 4가지 종류의 문헌 고찰을 소개한 바 있다.

* 자료 수집

정확한 서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참여자와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능숙한 면담 기법을 사용하여 철저한 자료 수집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적 연구에서 주요 자료 수집 방법은 인터뷰를 하는 것으로 종종 참여 관찰 방법과 함께 사용 된다.

참여자들에게 좀 더 풍부한 진술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면담시 적절한 유형의 질문을 사용해야 한다. 크베일(1998)에 의하면 면담 질문에는 도입 질문, 후속 질문, 엄밀한 조사 질문, 상술하는 질문, 직접적 간접적 질문, 구조적인 질문, 침묵, 해석적인 질문 등 9가지 유형이 있는데, 이러한 질문 유형들을 참고로 하여 일반적인 대화에서 연구 현상에 초점을 둔 대화에 이르기까지 유연하고 역동적으로 면담 과정을 진행한다.

면담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모두 녹음하여 그날그날 녹음 내용을 여러 번 반복하여 들으면서 참여자가 표현한 언어 그대로 필사 하도록 한다. 또한 면담 시 참여자의 표정이나 어조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면담 후 참여자의 비언어적 표현과 특징, 면담의 주요 내용과 연구자에게 떠오르는 생각이나 질문 사항 등을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집되는 자료들 간에 괄호치기(bracketing)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료의 내용과 함께 그 출처에 대해서 항상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 자료 분석

분석 과정은 학자들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필사된 내용을 연구자가 녹음 테이프를 반복하여 들으면서 원자료의 내용과 비교하고 불명확한 부분은 직접 만나거나 혹은 전화를 이용하여 참여자에게 확인하고 현장 노트를 참고하면서 면담 내용의 정확성을 확보 해야 한다. 그런 다음 필사된 내용을 반복하여 읽고 반성하는 과정에서 전체론적 방법, 선택적 혹은 집중 조명법, 세분법 혹은 추행법을 택할 수 있다. 선택한 방법에 따라 참여자의 체험의 본질을 나타내는 부분들을 전체 자료에서 찾아내는 텍스트 분리 작업을 한다.

분리된 텍스트를 참여자의 반응이나 느낌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 진술을 분리시키고 체험의 어떤 의미를 함축하는 용어로 바꾼다. 이렇게 도출된 개념을 여러 번 수정작업을 거쳐 보다 추상성이 증가된 본질적 주제로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주제와 의미가 같은 기술들을 연구자의 경험과 현상학적 문헌 그리고 기타 자료에서 추출하여 면담 자료에서 밝혀진 주제들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비교 검토하여 연구 참여자의 체험의 의미와 본질적 주제를 결정하는 데 반영하고, 전체적으로 현상을 기술할 때 참조한다.

‘현상학적 질적 연구에 관한 몇 가지 생각’

2021년 4월 18일 (일)

1. 현상학적 연구란 무엇인가?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기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간이 경험하는 현상의 의미를 밝히는 것으로 귀납적이고 기술적인 연구방법이다. 즉, 살아 있는 인간 경험을 기술하는 것이며, 대상자의 실재에 접촉하는 총체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현상학의 목적은 인간에 대한 이해의 증진을 명상적인 사고를 기초로 행동의 본질을 설명하는 것으로. 현상학에서는 현실의 의미에 대한 개인적인 기술을 통해 삶의 지식을 밝힐 수 있다고 본다. 현상학의 지식과 앎의 방법은 실증주의적 자연과학의 방법과 다르다. 현상학적 탐구과정은 우리의 순수한 자연적 삶의 맥락에서 우리의 일상생활의 현상을 분리하는 판단정지의 과정, 지식, 사실, 이론을 놓치지 않으면서 눈을 크게 뜨고 경험을 바라보는 것으로 경험에의 집중이 필요한 직관의 과정, 비교, 대조되고 반복되는 요소를 주시하면서 의미를 분석하는 과정, 연구 결과의 상호의사소통을 위한 기술로 설명된다. 대상자의 진술이 갖는 진실성보다 그 진술을 확보한 뒤에 연구자가 무엇을 하느냐에 따라 연구는 달라진다. 본질을 찾으려 노력하는 단계가 현상학적 연구가 다른 질적 연구 방법과 가장 큰 차이점이다. 결국 현상학의 초점은 현상에 대한 살아있는 경험이며, 이는 연구자의 철저한 기술이 현상을 복원하는 것이다.

2.사회복지 연구에서 현상학적 연구가 활발한 이유는 무엇일까?

피아제(2001)는 질적 연구와 사회복지실천 간의 유사점을 다음과 같이 언급한 바 있다. 첫째, 인간을 이해하는 관점(here and now), 둘째 사고방식에서 사회복지사는 개인과 환경을 이해하는 방식이 귀납적이고 유연한 점, 셋째, 진행과정과 방법적 측면에서 질적 연구의 자료분석 과정과 실천이 유사하다는 점이었다. 탈실증주의가 대두되면서 사회복지계에서 질적 연구가 차지하는 위상이 커지기 시작한데는 인간은 설명되어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이해되어야 하는 존재라는 측면이 부각되면서부터였다.

현상학적 연구가 귀납적 특성을 가진 만큼, 연구과정을 통해서 도출된 경험의 의미는 처음 연구 설계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탐구하고자 했던 것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연구자가 연구 착수 전 세운 가설을 검증해내며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연구자는 있는 그대로의 현상이 가진 의미를 발견, 해석해내는 도구인 것이다. 이러한 형태 역시 사회복지실천의 모습과 유사하다. 실천가는 인간이 가진 욕구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고, 클라이언트의 언어로 제시된 욕구를 탐색, 해석하여 대응되는 서비스를 연계하는 사람이다. 클라이언트의 언어로 제시된 욕구는 상황을 기반 한다. 현상과 사건에 바탕하며 그것이 클라이언트가 체험하는 세계다. 질적 연구방법론 중 유독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대해 사회복지사들이 매료되는 것도 이와 관련된다고 생각한다.

3.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표본 추출 전략은 다른 질적 연구와 어떻게 다른가?

질적 연구에서는 개인이나 현장에 대해 연구 문제에 대해 정보를 가장 잘 줄 수 있는 사람들을 의도적으로 표본추출 한다. 누구를 연구의 참여자(또는 현장)로 선택할 것인가? 구체적인 표본추출 전략의 유형은 무엇인가?는 질적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 연구해야 할 표본의 크기도 결정되어야 한다. 현상학적 연구가 연구될 현장을 경험한 사람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현상학은 기준 표본추출이 가장 적절하다 할 것이다. 이는 문화기술지의 경우 큰 그물 접근법, 기회적 표본추출, 기준표본추출이, 근거이론은 이론적 표본추출-동질적, 이질적 표본추출이, 사례연구에는 최대 편차의 채택, 집합적 사례연구 등이 잘 부합되는 것과 대비될 수 있다. 하지만, 표본추출 전략이 연구방법에 따라 정확히 구분되어진다거나, 현상학적 질적 연구와 다른 연구방법은 다른 표본추출 전략을 쓴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배타적 문제가 아니라, 연구문제와의 연결성이다.

질적 연구의 표본추출 전략 유형 중에서 경계해야 할 것은 편리한 사례(convenience case) 표집이 아닐까 생각한다. 질적 연구에서 정보와 신빙성을 희생하는 대가로 시간, 비용, 노력을 절약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사례 표집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단순히 의도적 표집을 했다고 기술하고 그치는 경우는 이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에필로그

질적 연구가 공부할수록 어렵게 느껴지지만, 그 중에서도 현상학은 참 어렵다. 철학에 관한 배경지식 뿐 아니라, 학자마다의 연구변형과정도 그러하다.현상학에 대해 깊이 탐구하고, 관련하여 글들을 써나가야겠다.

참고문헌

김영철(2013). 질적연구방법론 Ⅱ.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이근무, 강선경(2015). 노인고독사가 발생한 마을공동체 문화기술지 사례연구.「한국노년학」, 35(2), 509-524.

이혁구, 이근무, 김용근(2014). 카지노 주변 장기체류자들의 일상세계-총제적 문화기술지 접근-.「사회복지연구」, 45(1), 287-316.

홍현미라, 권지성, 장혜경, 이민영, 우아영(200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서울: ㈜학지사

John W. Creswel(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itio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2015). 질적 연구방법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JKAN, 1999) :: Passing the Torch : 의학을 가르치는 것은 횃불을 전달하는 것과 같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JKAN, 1999)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희영

JKAN(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6호, 1999.12, 1208-1220 (13 page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0세기 동안 제 학문을 주도해 온 2가지 패러다임은 논리 경험주의적 접근을 근거로 한 실증주의적 패러다임 과 인본주의에 근거한 자연주의적 패러다임이라 볼 수 있다. 오랫동안 많은 학문분과들이 실증주의적 패러다임 을 채택함으로써 자신의 학문분야를 ‘과학’으로 인정받 기 위해 노력해왔고, 간호학 역시 과학적 방법과 통계처 리, 연역법, 인과관계 추론의 방법을 통해 기능적 수준에 머물렀던 간호를 professional discipline과 practice science 로 정착하는데 어느정도 성공하였다(김남선, 1992).

그러나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은 인간을 너무 단순화하 여 양적인 구성단위로서 인간이 갖는 의미를 축소함으로 써 인간을 전체로 파악하는데 제한적이며, 살아있는 인 간을 역동적인 전체로 어떻게 되돌려 줄 것인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많은 간호 연구자들은 대안을 찾고자 하여 1960 년대에 이르러 간호에 있어서 인간 경험의 의미와 본질 을 찾고 간호 현상을 포괄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주관적 이고 통찰, 발견, 해석에 중점을 두는 자연주의적 연구방 법인 질적 연구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70년대에 는 간호학계에서 질적 연구접근에 본격적인 관심을 보이 기 시작하였고, 국내에서도 1980년대 후반기부터 간호학 박사과정생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이 쓰여지면서 최 근 들어 간호연구에 있어 질적 연구접근이 활발하게 전개 되고 있다(신경림, 1996; Oiler, 1980; Anderson, 1991).

질적 연구의 철학적 배경은 다양하지만, 참여자 중심의 시각에 근거하여 실재세계를 자연주의적, 총체적, 맥락중 심적, 역동적, 개별적, 사례중심적, 연역적, 서술적으로 발 견하고자 하며, 연구방법으로는 현상학적 접근, 근거이론 적 접근, 문화기술지적 접근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상학적 접근은 인간의 경험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 하다. 현상학 연구자들은 지각과 판단의 모든 복합성을 가진 인간에 의해 경험되는 현상을 연구함으로써, 경험 의 개인적 의미를 파악하는 기술(description)을 통하여 대상자들의 실재에서 그들을 알고, 대상자들을 도울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시도하려는 초보 연구자들을 위한 길잡이 역할로써 암환자 가족의 경 험을 중심으로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 (1969)의 세가지 방법을 비교 고찰하여 각 분석법에 따른 결과의 측정을 비교해 실제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II. 방법론적 배경

학문을 연구하는 방법에서는 자연과학 철학에 근거한 양적 연구방법만이 과학적이며 객관성이 높고 체계적이 라는 생각이 오랫동안 지배해 왔다. 그러나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인간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인간을 너무 단순화 하고 의미를 박탈한다는 양적 연구방법의 한계를 지적하 였다.

간호학문 역시 인간을 총체적으로 보며, 인간은 통합 된 전체(unitary whole)라는 신념과 이런 통합체로서의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본주의에 기반을 두고 총체 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Oiler, 1982; Omery, 1983).

따라서 인간의 주관적 경험이 중요함을 인지하고, 인 간의 생활세계와 밀접히 관련을 맺고 있는 인간 과학 철 학에 근거한 질적 연구방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신경림, 1997). 질적연구 방법론은 사회적 세계에 대한 일련의 철학적, 인식론적, 이념적 가정들을 그 밑바탕에 깔고 있으며, 구체적인 질적 연구방법들은 서로 다른 이 론적 전통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질적 연구에 인식론 적 근거를 제공해 주는 주요 학문적 이론적 전통은 다양 하지만 가장 대표적이면서 질적 연구방법의 기초를 이루 고 있는 것은 현상학,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해석학 및 문화기술학이다(최영희, 1993).

현상학은 살아 있는 인간 경험을 기술하는 것이며, 대 상자의 실재에 접촉하는 총체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현상 학(phenomenology)의 목적은 인간에 대한 이해의 증진으 로 명상적인 사고를 기초로 행동의 본질을 설명하는 것이 다(Omery, 1983). 현상학적인 방법은 몇 개의 학파가 있는 철학이며 연구 방법으로, 그 방법은 철학에 기인하는 것으 로서 후설(Edmund Husserl),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사르트르(Jean- Paul Sartre), 그리고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 Ponty)의 연구를 이용한다(Cohen, 1987; Van Manen, 1990). 현상학적인 전통은 각자의 삶의 경험과 자신의 생활 세계 내의 목적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현상학은 사물의 현상과 외양에 대한 연구이고, 그들의 본질 을 발견하는 것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Van Manen, 1990).

따라서 현상학적인 접근은 간호의 맥락과 일치하며 통합된 인간에 대한 간호 개념을 파악하는데 가치가 있 다고 인식하였다. 현상학적인 방법은 대상자의 기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간이 경험하는 현상의 의미를 밝히 는 것으로, 귀납적이고 기술적(descriptive)인 연구 방법이다. Davis (1978)는 현상학이 임상 실무로부터 나오는 연구 문제와 임상 간호의 기능에 좀 더 적합하게 연구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상학적인 방법이 주시를 받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이고 1980년대에 간호 연구에 현상학적 접근의 사용이 급증한다.

간호학적 지식을 탐구하는 방법론적 원리로서 현상학적 접근이 지니는 의의는, 현상학적 판단중지는 기존의 지배적인 이론과 실천의 모든 간호모델에 대해 그 모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선관념적 요소들을 불식할 것을 요 구한다. 특히, 경험분석적 과학주의에 상응하는 인간관, 간호관 및 그러한 방법적 원리에 바탕한 질병위주의 목적달성 이론에 대해 현상학은 깊이 있는 반성적 성찰의 근거가 된다는 점이다. 또한 현상학적 상호주관성은 간호주체와 간호 대상의 간호관계에서 인간애에 바탕한 간 호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최남희, 1991). 즉 현상학이 간호에 의미하는 바는 주의깊은 기술과 대화를 통해 타 인을 알게 되는 인식을 만듬으로써 그리고 간호 경험에 서의 다양한 견해를 탐구함으로써 우리의 실재를 증가시 킬 수 있다는 것이다(최영희, 1993).

훌륭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결과가 될 수 있도록 하 기 위해서

– 첫번째는 적절하고 충분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고,

– 두번째는 자료 분석의 창의성이다.

연구자의 입 장에서 보면 창의적인 견고한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능 수능란한 질문과 가차없는 답변 추구, 적극적인 관찰, 그 리고 정확한 회상이 필요하다. 그것은 자료를 서로 조화 시키고, 보이지 않는 것을 분명하게 만들고, 그 결과들을 선례와 연결해서 인과 관계를 만드는 과정이다. 그것은 추측과 검증, 수정과 변형, 제안과 방어의 과정이다(신경 림, 1997).

현상학 연구과정의 일련의 절차는 설명하기 어렵고,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당혹감을 주는 원천이 되지만 반성(reflection), 직관(intuiting), 판단중지(bracking ), 현상학적인 시각(seeing)은 현상학의 방법에서 그 과정을 밝히 기 위한 것이며, 분석단계의 기술은 이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이다(최영희, 1993). 현상학적 방법의 자료분석은 현 상학적 분석을 이끄는 원리(guiding principles)를 준수할 것을 연구자에게 강요한다. 즉 연구참여자의 살아있는 경험의 의미를 밝히려는 의도를 가지고, 다른 데로 주의를 돌리지 않고 기술을 읽고 또 다시 읽어 연구자로 하여금 자료에 있는 함축적인 메시지 및 명백한 메시지에 대해 개방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Parse et al, 1985). Boyd (1989)는 현상학적 연구의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면담 내 용으로부터 경험의 의미를 서술하는 것이라 하였다.

현상학적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자료 분 석방법으로는 Spiegelberg에 의해 제시된 철학적 방법과 그로부터 변형되어 사회과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Giorgi, Colaizzi, Van Kaam, Van Manen의 방법 등을 들 수 있 으며, 간호학자 Benner와 Paterson과 Zderad가 변형시킨 현상학적 방법도 있다. 이들 방법은 다소의 차이를 가지 고 있다. 현상학적 자료분석방법의 진행 절차는 Giorgi, Colaizzi, Van Kaam, 등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Oiler, 1982 ; Omery, 1983).

Ⅲ.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얻은 면담내용을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1969)의 세가지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비교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면담자료는 현상학적 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1인 과 박사과정생 9명이 서로 토의하여서 타당성을 검정하 였고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1969)의 자료 분석방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Giorgi의 방법

Giorgi에 의해 제시된 현상학적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기술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살아있는 경험의 의미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① 사고를 시작하고 끝내는 단위 즉, 대상자의 언어 그대로 의 자신의 경험을 표현한 본래의 의미단위(identifying natural meaning unit )을 규명한다.

② 대상자의 언어로 표현된, 대상자의 경험을 나타내는 주제(theme)를 규명한다.

③ 연구자의 언어로 주제를 구체화하여 대상자의 경험이 대상자에게 의미하는 중심의미(focal meaning )을 규 명한다.

④ 중심의미를 통합하여 연구대상자의 관점에서 파악된 경험의 의미인 상황적 구조적 기술(situated structural description)을 만든다.

⑤ 상황적 구조적 진술을 통해 전체 대상자의 관점에서 파악된 경험의 의미인 일반적 구조적 기술(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을 만든다(최영희, 1993).

2) Colaizzi의 방법

Colaizzi는 자료수집 방법을 기술하는데 거의 전체적 인 강조점을 두었다. 특히 그는 적절한 자료출처를 적절 한 자료 수집방법과 일치시키는 것에 강조를 두고 있다. Colaizzi 방법의 자료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자료에서 느낌을 얻기 위해 대상자의 기술(protocols) 을 읽는다.

② 탐구하는 현상을 포함하는 구, 문장으로부터 의미있 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 )을 도출한다.

③ 의미있는 진술에서 좀 더 일반적인 형태로 재진술 (general restatement)한다.

④ 의미있는 진술과 재진술로부터 구성된 의미(formulated meaning)를 끌어낸다.

⑤ 도출된 의미를 주제(themes), 주제모음(themeclusters), 범주(categories)로 조직한다.

⑥ 주제를 관심있는 현상과 관련시켜 명확한 진술로 완전하게 최종적인 기술(exhaustive description)을 한다(김분한외, 1996).

3) Van Kaam의 방법

Van Kaam(1969)은 Spiegelberg (1976)에 의해 규정된 필수 활동과 일치되는 현상학적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 은 수정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① 대상자와 녹음한 면담 내용을 여러 번 반복하여 들으 면서 대상자의 말 그대로를 글로 옮겨 기록하였다.

② 기술된 내용에서 본 연구와 관련하여 의미있는 진술 을 추출하였다.

③ 추출된 의미 있는 진술 즉, 원자료(raw data)를 반복 하여 읽으면서 각 진술에서 공통의 속성으로 묶어지 도록 범주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원자료(raw data)에서 공통적인 요소들끼리 모아서 부주제(subtheme)를 정했고, 비슷한 속성을 지닌 부 주제들을 다시 모아 주제(theme)로 모았으며 주제들 의 속성을 전체적으로 모아 범주화(category)하였다. 범주화된 자료에서 주제들은 자료의 우선 빈도별의 순위에 따라 나열하였다.

④ 분류된 범주화를 통해서 분석과 통합을 통해 현상에 대한 기술을 하였다(조영숙외, 199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Giorgi(1970) 방법의 결과

암환자 가족의 질병경험은 암을 진단 받은 이후 치료 과정에 있어서 가족의 느낌, 생각, 행동, 생활변화를 중 심으로 연구참여자(사례1, 2, 3)의 경험을 표현한 43개의 의미있는 진술을 도출하였고, 연구참여자의 의미있는 진 술을 연구자의 언어로 주제를 구체화하면서 연구참여자 에게 의미하는 중심의미를 규명하였으며, 중심의미를 통 합하여 연구참여자의 관점에서 파악된 경험의 의미로서 상황적 구조적 기술이 <표1- 1, 1- 2, 1- 3>에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사례1, 2, 3의 개별적인 상황 적 구조적 기술을 종합하여 일반적 구조적 기술로써 암 환자 가족경험을 말해주고 있다.

2. Colaizzi(1978) 방법의 결과

암환자의 가족경험을 나타내는 원 자료(protocols)로부 터 도출된 43개의 의미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s) 을 주의깊게 보면서 의미를 구성하였다. 이때 연구자는 통 찰력을 가지고 직관과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원 자료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면서 연구참여자의 의도를 명확히 기 술하고자 노력하였고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의 표현을 가능한 그대로 사용하여 좀 더 일반적인 형태로 재진술 (general rest atement )하여 <표 2>에서와 같이 21개의 구성된 의미(fomulated meaning )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의미에서 15개의 주제(themes)를 선정하였고, 이 과정에 서 현상학을 이해하고 있는 간호학 교수 1인, 간호학 박 사과정생 9인으로부터 타당성을 검정한 후 5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s)-부담감, 역할갈등, 가족이나 타인에 대한 고마움, 간병의지, 치료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확정하 였고. 이를 부정적 대처, 긍정적 대처의 범주(categories)로 최종적으로 조직하였다.

3. Van Kaam(1969) 방법의 결과

43개의 의미있는 진술을 여러번 반복하여 읽고 문헌 고찰 및 국어사전을 참조하여 연구자의 직관에 의해 분 석한 암환자 가족의 경험을 가족기능의 변화 의 경험과 부담감 경험의 두가지로 범주화(categories) 하였다

〈표 l> Giorgi 방법 분석결과

<표 1- l> 사례 1(남편 )

4. 논 의

세 가지 방법의 분석결과가 모두 주제(theme)를 기술한다는 점이 기술(description of reporting )상의 공통 속성이면서도 분석상의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Giorgi 방법의 특성은 상황적 구조적 진술에서 연구 참여자의 개인의 독특성 을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의 경험은 일반적 구조적 진술에서 통 합하였다

Colaizzi 방법의 특성은 개인적 속성보다는 전체 연구 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 을 도출해 내는데 초점을 맞춘 방법이다. 참여자의 의미있는 진술에서 구성된 의미가 도출되고, 구성된 의미(formulated meaning )에서 주제 (theme) 및 주제모음(theme cluster )을 확인하여 범주화 (category )한 결과 부정적 대처의 범주에는 부담감, 역할 갈등, 치료에 대한 양가감정이 나타났고, 긍정적 대처의 범주에는 간병의지, 가족이나 타인에 대한 고마움으로 나타났다. Colaizzi 방법은 가족구성원 전체의 경험을 도출해 내기 때문에 암환자 간호중재를 위한 이론개발을 하기에 용이한 방법으로 사료되나,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경험을 파악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을 고려해야 한다.

Van Kaam 방법의 특성은 의미있는 진술문의 빈도와 순서를 찾아낼 수 있는 양적 특성 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체 연구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한다는 점과 분석한 내용을 주제(theme)와 범주(category)로 조직한다 는 점에서 Colaizzi의 방법과 유사하나 분석 기술상의 차이는 Colaizzi의 방법에서의 주제(theme)는 연구참여자가 표현한 언어를 빌어서 기술하는 특성을 갖고있는 반면에 Van Kaam 방법에서는 참여자의 의미있는 진술에서 부 주제(subtheme)를 선정하고 이를 다시 통합하여 주제 (theme) 및 범주(category)로 조직하는데, 주제(theme)를 기술함에 있어서 Van Kaam과 Giorgi의 방법은 참여자 의 표현 그대로가 아니라 연구자의 정련된 언어로 기술 한다는 점이 다르다.

V. 결 론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시도하려는 초보 연 구자들을 위한 길잡이 역할로써 암환자 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1969) 의 현상학적 방법론적 결과의 특성을 비교 고찰하기 위 한 목적으로, 경기지역 S병원 암환자 병동에 입원 중인 말기 암환자의 가족들을 면담한 결과 가족구성원을 대표 하는 환자 배우자, 딸, 맏며느리를 연구참여자로 하여 심 층면담한 자료를 Giorgi(1970), Colaizzi(1978), Van Kaam(1969)의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환자 가족경험을 세가지 방법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Giorgi의 방법은 가족 구성원중 개인적 경험에 초점 을 두고 있으므로 암환자를 간호하는 가족 구성원 개인 의 주관적인 경험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었고,

Colazzi 의 방법은 가족 전체의 경험을 광범위한 차원에서 분석 함으로써 암환자 가족간호중재를 위한 이론개발에 유용 한 자료가 될 것이며,

Van Kaam의 방법은 암환자 가족 구성원 전체의 경험을 빈도별로 제시함으로써 우선순위를 고려할 수 있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http://www.riss.kr/link?id=A100114825

[질적연구]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반응형

현상학적 연구의 개념 및 방법

현상학이라는 단어가 사용된 시점은 20세기 초 독일의 철학자 Husserl이 ‛논리 연구’에서 자신의 철학을 현상학(Phanomenologie)이라고 명명한 때부터이며, 현상학은 존재의 의미와 의의를 밝혀내는 인간 의식의 본질(Essence)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Husserl에 의해 창시된 현상학은 이후 가다머,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등에 의해 발전하였으며, 본질(Wesen)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문입니다. 본질학이라고도 불리는 현상학에서의 본질은 특정 대상이 특정 의미를 가진 대상으로 존재하게 하는 그 무엇, 즉 개별 사물이 다른 사물들과 확실하게 구별 가능한 인식의 근거이고 존재라 할 수 있습니다. 본질은 인식 주체의 사유와는 무관하게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나, 그것은 우리의 경험을 초월해 있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영역에 있습니다.

현상학적 연구는 양적연구에서 밝혀낼 수 없는 인간의 경험이나 행동양태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질적연구에서 분석방법으로 종종 사용됩니다. 실증주의적인 방법으로는 사람의 복잡하고 다양한 경험세계를 폭넓게 이해할 수 없고, 그 경험이 지니는 가치 및 의미 또한 바르게 규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간이 경험하는 경험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이 필요합니다. 현상학적 연구에서 가장 기본은 ‘사물 그 자체로 돌아가라(go to the things themselves)’는 것으로 경험의 본질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그리고 현상학적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선이해와 편견을 괄호 속에 묶어두는 판단 중지의 과정과 반성적 환원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현상학적 판단 중지(epoche)란 도출된 모든 지식을 차례대로 검토 후 절대적 정당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모든 지식들을 괄호 치는 것(bracketing)입니다. 반성적 환원의 단계는 자유 변경(Freie variation)이라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단계는 본질의 직관에 대한 기초 작업으로서 특정 현상의 수많은 모상을 만들어 낸 후 그 모상들 중에 공통적이고 불변의 속성인 현상학적 잔여를 포착하는 것입니다. 한편 현상학적 연구에서는 경험의 본성을 미리 판단하지 않고 ‘스스로가 그러하다고 보여주는 것’을 단지 ‘스스로 보여주는 대로’, 또 ‘의미를 갖고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참여자의 관점에서 그의 주관적 경험의 세계를 있는 그대로 기술(description)한 후, 그 경험의 의미를 해석(interpretation)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상학적 연구는 현상의 본질을 밝히는 것과 함께 현상이 존재하는 사회문화적 경험세계의 맥락을 더불어 고려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vanKaam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그리고 vanManen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몇몇 학자들에 의해서 고안된 현상학적 연구 방법들은 연구현상의 본질에 집중하고 연구 대상자의 경험세계에서 자료를 수집하며 반성의 과정을 거쳐 발견된 결과에 관해 현상학적 기술을 한다는 측면에서 서로 유사하면서도 분석과정에서는 각기 다른 차이를 보입니다.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Giorgi 현상학은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세계에 따른 개별적인 상황적 특성과 공통적 특성을 분리합니다. 상황적 구조 진술단계에서는 각 연구 참여자들이 체험한 현상의 본질, 의미 등을 개인차원에서 기술하고‚ 일반적 구조 진술은 연구 참여자들 개개인이 체험한 현상의 공통적 특성과 의미, 관계 등을 기술하는 단계입니다. 특징적인 것은 Giorgi 현상학의 ‘구조’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유형이 아니라‚ 주요 구성요소가 제거되면 변화되는 것으로, 구조에는 현상에 대한 정의가 포함되며 본질적 주제들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연구자는 원자료(Raw Data)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이 가진 선입견이 개입되지 않도록 판단에 대한 중지를 해야 하고, 참여자의 경험세계에 근거한 생생한 체험을 통해 곧 연구자 자기 자신이 참여자가 되어 그들의 체험을 편견 없이 수용하고 맥락을 통해 발견되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연구방법입니다.

한편 현상학적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 단계는 연구 참여자의 면담내용으로부터 경험의 의미를 서술하는 과정입니다. 그러므로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도출해 내는 것이 현상학적 분석의 목적이며, 이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세계에 대한 구조적인 측면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Giorgi는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의 경험세계를 이론화하거나 반성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이 아닌, 드러난 그대로의 현상을 기반으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의 의미를 보존한 채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자료분석의 핵심이라고 하였습니다. 이에 따른 Giorgi 현상학적 연구 분석 4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 4단계

1단계 전체적 맥락을 염두에 두고 기술내용 읽기 (Read the description for the sense of the whole) 연구 참여자가 진술한 전체적 스토리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얻기 위해 참여자가 기술한 내용을 읽고, 결말을 확인한 후 다시 첫 부분으로 돌아가서 여러 번 읽는다. 2단계 기술 내용을 의미단위로 나누기 (Divide the description into meaning units) 연구 참여자의 언어로 의미의 단위를 만드는 과정이다. 즉 연구자의 의도가 반영되는 과정으로서, 현상학적 환원의 자세로 첫 부분부터 연구 참여자의 기술 내용을 읽어내려 가다가, 의미의 전환이 발생된다고 생각되는 곳에 밑줄을 긋고 표시하는 과정을 거친다. 문장이나 문단의단위에 따른 문법적 표시가 아님을 주의하며 의미 단위를 만들고, 이러한 작업 자체가 갖는 인위성의 문제는 연구자가 만든 의미단위를 타인에게 보여주고 그 객관성을 입증 받음으로써 해결된다. 이러한 의미단위의 도출과정은 이론에 입각한 것이 아닌 순전히 실천적(practical) 과정이다. 3단계 의미단위를 가장 근접한 학문적 표현으로 변형하기 (Transform meaning units into best disciplinary expression) 도출된 의미단위를 가장 적합한 학문적 표현으로 변형하는 과정으로, 1, 2단계에서는 발생되지 않았던 원 자료의 적극적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참여자들의 일상적 언어로 표현되어 있는 기술내용을 연구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학문 관련 용어로 전환시킨다. 이 때 의미의 단위 가운데는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단위가 있음을 인식하여야하고, 학문적 용어로의 전환을 위해 자유변경의 방법이 활용된다. 4단계 전환된 의미단위를 구조로 통합하기 (Synthesize transformed meaning units into structure) 3단계에서 얻어진 연구 대상자 경험의 본질을 구조적으로 통합하는 작업이다. 자료를 일반적인 내용으로 표현한 뒤 다시 원 자료로 돌아가 구조의 문맥에서 이를 다시 살펴본다. 이렇게 만들어진 구조는 양적방법에서 평균(mean)과 유사하게 ‘경향’을 나타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고려하여 일관성 있는 진술로 통합한다.

※ 출처: 김하정(2017) 대학생의 외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반응형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이)가 구독하지 않는 논문으로 ‘미리보기’만 가능합니다.

도서관의 ‘원문복사 서비스’를 통해 원문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 서비스 이용방법은 도서관 사이트를 확인해 주세요.

키워드에 대한 정보 현상 학적 연구

다음은 Bing에서 현상 학적 연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질적연구의 종류와 현상학적 방법

  • 논문쓰기
  • 질적연구
  • 현상학
  • 사례연구
  • 내러티브
  • 문화기술
  • 근거이론
  • 자문화기술
  • 논문작성
  • 논문컨설팅

질적연구의 #종류와 #현상학적 #방법


YouTube에서 현상 학적 연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적연구의 종류와 현상학적 방법 | 현상 학적 연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음악 라디오 대본 | 수현Dj의 첫 방송 오프닝\U0026클로징 /180604[악동뮤지션 수현의 볼륨을 높여요] 1700 투표 이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