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인 역함수 미분 |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200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사인 역함수 미분 –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th.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th.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수악중독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1,896회 및 좋아요 16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사인 역함수 미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 사인 역함수 미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https://mathjk.tistory.com

사인 역함수 미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역삼각함수 미분] 공식 증명 및 상세설명 – 네이버 블로그

① : sin의 역함수(‘아크싸인’. 이라고도 하며 arccsin 으로 표시). ​. 증명 및 설명). 6가지의 역삼각함수의 미분을 증명하는 과정은 사실상 동일한 …

+ 여기에 표시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4/15/2021

View: 8576

삼각함수와 역삼각함수의 미분 – SASA Math

이 공식을 이용하여 사인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여기를 클릭

Source: sasamath.com

Date Published: 2/8/2021

View: 1214

역삼각함수 – 나무위키:대문

삼각함수는 주기함수이기 때문에 일대일대응이 아니어서 역함수를 정의 … 아크 사인, 아크 탄젠트, 아크 코시컨트, 아크 코탄젠트는 원점 대칭인 홀 …

+ 여기에 표시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8/7/2021

View: 6189

코사인 사인 탄젠트의 역함수 미분 공식 유도 – 하루아침

사인역함수(아크사인) 미분. arcsin 미분 공식 유도. 코사인역함수(아크코사인)미분. arccos 미분 공식 유도. 탄젠트(아크탄젠트) 역함수 미분 유도.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one-morning.tistory.com

Date Published: 10/22/2021

View: 7503

역삼각함수 arcsin(x), arccos(x), arctan(x)의 미분 – godingMath

(미분을 직접 하지 않고 2번 단계를 거쳐 미분을 해야 할 때는 sin의 역함수 처럼 미분을 직접하기 힘든 함수들을 다룰 때 입니다.) …

+ 더 읽기

Source: godingmath.com

Date Published: 1/28/2022

View: 5079

사인 역함수 미분 |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빠른 답변

사인 역함수 미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역삼각함수 미분] 공식 증명 및 상세설명 – 네이버 블로그. ① : sin의 역함수(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you.1111.com.vn

Date Published: 8/10/2021

See also  생생 정보통 무한 리필 장어 | 1인 19.900원 소고기 6종+장어 숯불구이 무제한 [2Tv 생생정보] 20190813 답을 믿으세요

View: 4942

093. sin의 역수 vs sin의 역함수 – 수학 용어를 알면 개념이 보인다

sine의 역함수는 arc-sine 이다. sin 이 각을 비로 대응시켰으므로 arcsin은 변을 각으로 대응시킨다. arc는 호라는 뜻인데, 호도법(라디안)에서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ikidocs.net

Date Published: 8/13/2021

View: 934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사인 역함수 미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사인 역함수 미분

  • Author: 수악중독
  • Views: 조회수 11,896회
  • Likes: 좋아요 168개
  • Date Published: 2021. 1. 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gX2SesY3sYE

[역삼각함수 미분] 공식 증명 및 상세설명

① : sin의 역함수(‘아크싸인’

이라고도 하며 arccsin 으로 표시)

증명 및 설명)

6가지의 역삼각함수의 미분을 증명하는 과정은 사실상 동일한 과정입니다

첫째] 원래함수와 역함수 사이의 관계를 이용!

둘째] 얻은 식으로 x에 대해서 미분!!

이와 같은 다소 간단한 과정입니다

‘아크싸인’의 경우 다음과 같습니다

삼각함수의 역함수의 미분 & 그래프 (arcsin, arccos, arctan)

반응형

이전 글에서는 삼각함수의 미분에 대해서 다뤘다.

2020/04/19 – [AI/Math] – [미적분] 삼각 함수 미분 공식 & 그래프.

이번 글에서는 삼각함수의 역함수의 미분에 대해서 다루겠다.

역함수

: 원래 함수에서 일대일 대응 되는 구간을 y = x 축 대칭 시킨 것이다.

1. arcsin x 미분

sin x 그래프에서 일대일 대응 구간은 아래 붉은 박스와 같다.

sin x

domain : {-pi/2 <= x <= pi/2} range : {-1 < y < 1} sin x 붉은 박스 부분을 y = x 축으로 대칭 시키면 arcsin 그래프가 된다. arcsin x sin x 의 domain 은 arcsin 의 range가 된다. sin x 의 range 는 arcsin 의 domain이 된다. arcsin x domain : {-1 < x < 1} range : {-pi/2 <= y <= pi/2} arcsin x 의 미분 과정 2. arccos x 미분 기본 과정은 위의 arcsin x 과정과 같다. 직접 한번 해보길 바란다. cos x arccos x domain : range : 3. arctan x 미분 tan x arctan x domain : range : 4. arccsc x 미분 csc x arccsc domain : range : 5. arcsec x sec x arcsec x domain : range : 6. arccot x 미분 cot x arccot x domain : range : 그래프 출처 https://www.wolframalpha.com/ 반응형

삼각함수와 역삼각함수의 미분 – SASA Math

이 포스트에서는 삼각함수와 역삼각함수의 미분 공식을 살펴본다.

삼각함수의 미분

삼각함수의 미분 공식을 유도할 때에는 삼각함수의 덧셈 공식 \[\sin (x+h) = \sin x \cos h + \cos x \sin h\] 와 극한 공식 \[\lim_{h\to 0}\frac{\cos h -1}{h} = 0 ,\quad \lim_{h\to 0}\frac{\sin h}{h} =1\] 이 사용된다. 이 공식을 이용하여 사인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 \frac{d}{dx} \sin x &= \lim_{h\to 0} \frac{\sin(x+h) – \sin x}{h} \\[6pt] &= \lim_{h\to 0} \frac{(\sin x \cos h + \cos x \sin h) – \sin x}{h} \\[6pt] &= \lim_{h\to 0} \frac{\sin x ( \cos h -1) + \cos x \sin h}{h} \\[6pt] &= \lim_{h\to 0} \left( \sin x \cdot \frac{\cos h -1}{h} \right) + \lim_{h\to 0} \left( \cos x \cdot \frac{\sin h}{h} \right )\\[6pt] &= \sin x \cdot \lim_{h\to 0}\frac{\cos h -1}{h} + \cos x \cdot \lim_{h\to 0} \frac{\sin h}{h} \\[8pt] &= \sin x \cdot 0 + \cos x \cdot 1\\[8pt] &= \cos x. \end{align}\] 즉 \[\frac{d}{dx} \sin x = \cos x \] 이다. 또한 \[\cos x = \sin \left( x+ \frac{\pi}{2} \right)\] 이므로 \[\begin{align} \frac{d}{dx} \cos x &= \frac{d}{dx} \sin \left( x+ \frac{\pi}{2} \right) \\[6pt] &= \cos \left( x + \frac{\pi}{2} \right) \\[8pt] &= – \sin x \end{align}\] 즉 \[\frac{d}{dx} \cos x = -\sin x\] 이다. 한편 \[\begin{align} \tan x &= \frac{\sin x}{\cos x},\\[6pt] \sec x &= \frac{1}{\cos x},\\[6pt] \csc x &= \frac{1}{\sin x},\\[6pt] \cot x &= \frac{\cos x}{\sin x} \end{align}\] 이므로 \[\begin{align} \frac{d}{dx} \tan x &= \frac{d}{dx} \frac{\sin x}{\cos x} \\[6pt] &= \frac{\cos x \cdot \cos x – \sin x \cdot (-\sin x)}{(\cos x)^2} \\[6pt] &= \frac{1}{(\cos x)^2} = \sec^2 x ,\\[8pt] \frac{d}{dx} \sec x &= \frac{d}{dx} \frac{1}{\cos x} \\[6pt] &= \frac{-(-\sin x)}{(\cos x)^2} = \sec x \cdot \tan x ,\\[8pt] \frac{d}{dx} \csc x &= \frac{d}{dx} \frac{1}{\sin x} \\[6pt] &= \frac{-\cos x}{(\sin x)^2} = -\csc x \cdot \cot x ,\\[8pt] \frac{d}{dx}\cot x &= \frac{d}{dx} \frac{\cos x}{\sin x}\\[6pt] &= \frac{-\sin x \cdot \sin x – \cos x \cdot \cos x}{(\sin x)^2}\\[6pt] &= -\frac{1}{(\sin x)^2} = -\csc^2 x \end{align}\] 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리 1. (삼각함수의 미분) \[\begin{align*} \frac{d}{dx} \sin x &= \cos x , &\frac{d}{dx} \cos x &= -\sin x ,\\[6pt] \frac{d}{dx} \tan x &= \sec^2 x ,& \frac{d}{dx} \cot x &= – \csc^2 x, \\[6pt] \frac{d}{dx} \sec x &= \sec x \,\tan x ,&\frac{d}{dx} \csc x &= – \csc x \, \cot x . \end{align*}\] \[\begin{align*} \frac{d}{dx} \sin x &= \cos x , &\frac{d}{dx} \cos x &= -\sin x ,\\[6pt] \frac{d}{dx} \tan x &= \sec^2 x ,& \frac{d}{dx} \cot x &= – \csc^2 x, \\[6pt] \frac{d}{dx} \sec x &= \sec x \,\tan x ,&\frac{d}{dx} \csc x &= – \csc x \, \cot x . \end{align*}\]

역삼각함수의 미분

삼각함수는 일대일 함수가 아니기 때문에 그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축소하여 일대일 함수가 되도록 만듦으로써 그 역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삼각함수의 역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begin{align} y = \sin^{-1} x \,\, &\Longleftrightarrow \,\, x=\sin y \,\,\,\text{for}\,\,\, y\in \left[ -\frac{\pi}{2} ,\, \frac{\pi}{2}\right],\\[6pt] y = \cos^{-1} x \,\, &\Longleftrightarrow \,\, x=\cos y \,\,\,\text{for}\,\,\, y\in \left[ 0 ,\, \pi\right],\\[6pt] y = \tan^{-1} x \,\, &\Longleftrightarrow \,\, x=\tan y \,\,\,\text{for}\,\,\, y\in \left( -\frac{\pi}{2} ,\, \frac{\pi}{2}\right),\\[6pt] y = \cot^{-1} x \,\, &\Longleftrightarrow \,\, x=\cot y \,\,\,\text{for}\,\,\, y\in \left( 0 ,\, \pi\right),\\[6pt] y = \sec^{-1} x \,\, &\Longleftrightarrow \,\, x=\sec y \,\,\,\text{for}\,\,\, y\in \left[ 0 ,\, \pi \right] \setminus \left\{\frac{\pi}{2}\right\},\\[6pt] y = \csc^{-1} x \,\, &\Longleftrightarrow \,\, x=\csc y \,\,\,\text{for}\,\,\, y\in \left[ -\frac{\pi}{2} ,\,\frac{\pi}{2} \right] \setminus \left\{ 0 \right\}. \end{align}\] 삼각함수의 역함수를 나타낼 때 지수에 \(-1\)을 쓰는 대신 앞에 \(\text{arc}\)를 붙이기도 한다. 즉 위 여섯 개의 역삼각함수 중 첫 세 개는 각각 \[\arcsin x ,\,\, \arccos x ,\,\, \arctan x\] 로 나타내기도 한다.

정의에 의하여 역삼각함수는 다음과 같은 정의역을 가진다. \[\begin{align} y=\sin^{-1}x \,\,\,&\text{for}\,\,\, x\in [-1,\,1], \\[6pt] y=\cos^{-1}x \,\,\,&\text{for}\,\,\, x\in [-1,\,1], \\[6pt] y=\tan^{-1}x \,\,\,&\text{for}\,\,\, x\in \mathbb{R}, \\[6pt] y=\cot^{-1}x \,\,\,&\text{for}\,\,\, x\in \mathbb{R}, \\[6pt] y=\sec^{-1}x \,\,\,&\text{for}\,\,\, x\in (-\infty ,\, -1] \cup [1,\, \infty ), \\[6pt] y=\csc^{-1}x \,\,\,&\text{for}\,\,\, x\in (-\infty ,\, -1] \cup [1,\, \infty ). \end{align}\] 삼각함수의 역함수를 정의하기 위하여 정의역을 축소하는 방법은 위와 같은 방법이 유일한 것은 아니다. 책에 따라서 다른 정의역과 다른 치역을 설정한 후 역함수를 정의하기도 하며, 현실 상황에서 응용할 때 상황에 맞게 정의역과 치역을 설정하기도 한다.

이제 이 함수들의 도함수를 구해 보자. 먼저 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역사인의 도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 \frac{d}{dx} \sin^{-1} x &= \frac{1}{\cos (\sin^{-1} x )}\\[6pt] &= \frac{1}{\sqrt{1-\sin^2 (\sin^{-1} x)}} \\[6pt] &= \frac{1}{\sqrt{1-x^2}} \,\,\,(\lvert x \rvert < 1). \end{align}\] 다음으로 역탄젠트의 도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 \frac{d}{dx}\tan^{-1} x &= \frac{1}{\sec^2 (\tan^{-1} x )} \\[6pt] &= \frac{1}{1+\tan^2 (\tan^{-1} x )} \\[6pt] &= \frac{1}{1+x^2}. \end{align}\] 위 등식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역시컨트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은 앞의 두 함수에 비해 까다롭다. 일단 \(0\)과 \(\pi\)에서 코사인의 미분계수는 \(0\)이므로 역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역시컨트는 \(-1\)과 \(1\)을 제외한 점에서 미분 가능하다. 음함수 미분법을 이용하여 역시컨트의 도함수를 구하자. \[\begin{align} y&= \sec^{-1} x,\\[8pt] \sec y &= x ,\\[6pt] \frac{d}{dx} \sec y &= \frac{d}{dx} x, \\[6pt] \sec y \, \tan y \frac{dy}{dx} &= 1, \\[6pt] \frac{dy}{dx} &= \frac{1}{\sec y \, \tan y} . \end{align}\] 여기에 \[\sec y =x\] 와 \[\tan y = \pm \sqrt{\sec^2 y -1} = \pm \sqrt{x^2 -1}\] 을 대입하면 \[\frac{dy}{dx} = \pm \frac{1}{x\sqrt{x^2 -1}} \,\,\,(\lvert x \rvert > 1)\] 을 얻는다. 그런데 \((0 ,\,\pi)\)에서 코사인의 도함수는 항상 양수이므로 그 역함수인 시컨트의 도함수 또한 양수이다. 그러므로 \[\frac{dy}{dx} = \frac{1}{\lvert x \rvert \sqrt{x^2 -1}}\,\,\,(\lvert x \rvert > 1)\] 을 얻는다. 이로써 역사인, 역시컨트, 역탄젠트의 도함수를 구하였다.

다른 세 역삼각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이 공식은 한 변의 길이가 \(x\)인 직각삼각형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begin{align} \cos^{-1} x = \frac{\pi}{2} – \sin^{-1} x,\\[6pt] \cot^{-1} x = \frac{\pi}{2} – \tan^{-1} x,\\[6pt] \csc^{-1} x = \frac{\pi}{2} – \sec^{-1} x. \end{align}\] 즉 \[\begin{align} \frac{d}{dx} \cos^{-1} x &= \frac{d}{dx} \left( \frac{\pi}{2} – \sin^{-1} x \right) = – \frac{1}{\sqrt{1-x^2}} \,\,\, (\lvert x \rvert < 1),\\[6pt] \frac{d}{dx} \cot^{-1} x &= \frac{d}{dx} \left( \frac{\pi}{2} - \tan^{-1} x \right) = - \frac{1}{1+x^2} \,\,\, ( x \in \mathbb{R}),\\[6pt] \frac{d}{dx} \csc^{-1} x &= \frac{d}{dx} \left( \frac{\pi}{2} - \sec^{-1} x \right) = - \frac{1}{\lvert x \rvert \sqrt{x^2 -1}} \,\,\, (\lvert x \rvert > 1) \end{align}\] 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인 역함수 미분 |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빠른 답변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093. sin의 역수 vs sin의 역함수

삼각비의 역수 관계

삼각비의 정의에 의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 csc \theta = { 1 \over sin \theta }$$ $$ sec \theta = { 1 \over cos \theta }$$ $$ cot \theta = { 1 \over tan \theta }$$

삼각비의 역함수

sine의 역함수는 arc-sine 이다. sin 이 각을 비로 대응시켰으므로 arcsin은 변을 각으로 대응시킨다.

arc는 호라는 뜻인데, 호도법(라디안)에서 호로 각을 표현하므로, 여기서는 각을 뜻한다. arcsin은 싸인값에 대응하는 각이다. $$ x= sin \theta \Rightarrow sin^{-1}x = arcsin\,x = \theta $$ $$ x= cos \theta \Rightarrow cos^{-1}x = arccos\,x = \theta $$ $$ x= tan \theta \Rightarrow tan^{-1}x = arctan\,x = \theta $$

특정 삼각비$x$에 대응하는 각 $\theta$는 무한히 존재 하므로, 역함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theta$를 적당한 범위로 제한하여야 한다. (공역을 정의하자)

키워드에 대한 정보 사인 역함수 미분

다음은 Bing에서 사인 역함수 미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 수악중독
  • 개념정리
  • 고등학교 수학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YouTube에서 사인 역함수 미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심화수학)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1) | 사인 역함수 미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