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 싱크 지 싱크 | 프리싱크? 지싱크? 어댑티브 싱크? 그게 대체 뭔데 상위 110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프리 싱크 지 싱크 – 프리싱크? 지싱크? 어댑티브 싱크? 그게 대체 뭔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th.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th.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뻘짓연구소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69,399회 및 좋아요 68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프리 싱크 지 싱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프리싱크? 지싱크? 어댑티브 싱크? 그게 대체 뭔데 – 프리 싱크 지 싱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적응형 동기화 기술인 프리싱크, G싱크 에 대해서 한번 다뤄봤습니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서 이제 어댑티브 싱크 = 프리싱크 를 지원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즐기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인텔, 엔비디아 모두 AMD의 생태계에 뛰어들고 있다는게 아이러니 하네요.

뻘짓연구소 유튜브 구독하기 :: http://bit.ly/2D11zL4
재밌으면서도 유익한 영상을 빠르게 시청하려면 구독 필수!
테크뉴스 http://bit.ly/2x8uNSw
뻘짓실험실 http://bit.ly/2NGbXM3
한방에 이해하기 http://bit.ly/2NdnOlB
탐사기 http://bit.ly/2xecGdn
뻘짓연구소 네이버블로그 http://bit.ly/lab4tech
뻘짓연구소 테크뉴스 앱 다운로드 http://bit.ly/appbulls
블로그에서 더욱 빠른 테크 소식 및 근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타 문의는 [email protected]로 메일주세요.
Source : AMD, SapphireTechnology, WASD.ro, ViolentRumble
#어댑티브싱크 #G싱크 #프리싱크

프리 싱크 지 싱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모니터 지싱크(G-Sync)와 프리싱크(FreeSync) 기능 및 차이점 …

지싱크는 엔디비아에서 만든 모니터 주사율과 컴퓨터의 프레임 레이트를 동기화 시켜주는 기술인데요. 해당 방식은 AMD의 프리싱크 하고 다른 방법으로 …

+ 더 읽기

Source: wolfoxg.tistory.com

Date Published: 3/25/2021

View: 1203

프리싱크와 지싱크, 게이머는 어떤 걸 골라야 할까? – 스타뉴스

먼저 ‘프리싱크’는 AMD 그래픽 카드를 기반으로 한 기술로, 전용 모듈이 탑재된 모니터 없이 소프트웨어로 가변동기화 기능을 구현합니다. 기본적으로 …

+ 여기에 표시

Source: star.mt.co.kr

Date Published: 2/8/2022

View: 6665

G-SYNC(지싱크)를 Free SYNC (프리 싱크) 모니터에서 적용해 …

그렇다면 Free-SYNC, 프리 싱크는 뭘까요? 프리 싱크는 AMD에서 개발한 기술로 작동원리는. 지싱크와 비슷합니다. ​.

+ 여기에 표시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9/23/2022

View: 2282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사용하기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사용자가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을 사용하는 방법을 기록하고자 LG 32GK850F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

+ 여기를 클릭

Source: blog.tommyzip.co.kr

Date Published: 4/28/2022

View: 6376

프리싱크 vs. G-싱크, 게이밍 모니터 성능을 좌우하는 어댑티브 …

대부분의 AMD 프리싱크 디스플레이는 엔비디아 그래픽 하드웨어와 동기화되고, … Tags VESA VESA어댑티브싱크 AMD 엔비디아 프리싱크 지싱크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itworld.co.kr

Date Published: 5/16/2021

View: 6717

지싱크(G-SYNC) 프리 싱크(Free SYNC) 모니터 적용 Adaptive …

오늘은 지싱크(G-SYNC)를. 프리 싱크(Free SYNC) 모니터에서 적용 Adaptive SYNC.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via에서 G-SYNC(지싱크) 기술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imaginary-whale.tistory.com

Date Published: 6/15/2021

View: 255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프리 싱크 지 싱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프리싱크? 지싱크? 어댑티브 싱크? 그게 대체 뭔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프리싱크? 지싱크? 어댑티브 싱크? 그게 대체 뭔데
프리싱크? 지싱크? 어댑티브 싱크? 그게 대체 뭔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프리 싱크 지 싱크

  • Author: 뻘짓연구소
  • Views: 조회수 69,399회
  • Likes: 좋아요 686개
  • Date Published: 2019. 1. 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NYJQ2BL-RXw

모니터 지싱크(G-Sync)와 프리싱크(FreeSync) 기능 및 차이점 정리

게이밍 모니터를 보시다가 가격대가 조금 높아지면 볼 수 있는 용어가 FreeSync, G-Sync인데요. 대부분 생소한 단어일 것 같은데 지싱크와 프리싱크 기능 및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모니터 테어링 현상

일단 프리싱크와 지싱크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모니터의 테어링 현상에 대해서 아셔야 하는데요. 모니터 테어링 현상은 모니터에 화면을 출력했을 때 해당 부분이 찢겨나간 것처럼 보이는 현상입니다.

모니터-테어링-현상

해당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그래픽 카드가 모니터로 송출해 주는 초당 프레임 개수랑(FPS) 모니터가 화면을 계속 갱신해 주는 주사율이 서로 맞지 않아서 생기는 것인데요.

요즘 그래픽 카드는 FHD 환경의 배틀그라운드도 200 프레임 이상을 뽑아내는 엄청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래픽 카드는 모니터에 200 프레임이라는 속도로 뿌려주게 되는 것이죠.

그런데 모니터의 화면 갱신율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경우 60Hz 초당 60번을 갱신하고 게이밍 모니터의 같은 경우에는 144Hz 초당 144번 갱신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에 초당 200 프레임이라는 속도로 화면을 송출해 준다면 한 화면에 2~3개의 프레임이 그려지게 되고 서로 맞지 않은 화면이 출력이 되면 테어링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죠.

테어링 현상은 고프레임 뿐만아니라 저프레임에서도 발생하는 현상인데요. 만약 자신의 컴퓨터의 그래픽카드가 좋지 않아서 배그 프레임이 초당 30~40 정도 나오는 데 사용하는 컴퓨터의 주사율은 60Hz라고 해볼게요.

물론 이때는 모니터의 주사율이 높아서 모니터에 2~3개의 화면이 나올 확률이 굉장히 낮지만 테어링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굉장히 길고 눈에 띄게 나타나서 더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모니터 주사율과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 송출 능력의 수치를 서로 같게 만들면 해결이 됩니다. 하지만 그래픽 카드의 송출 능력은 시시각각 계속 변화하는 반면 모니터 주사율은 언제나 고정이 되어 있어서 둘을 교체한다고 해도 해결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NVIDIA와 AMD가 서로 새로운 기술을 내놨고 그게 바로 지싱크와 프리싱크입니다.

지싱크와 프리싱크 차이

지싱크와 프리싱크는 근본적으로 그래픽카드가 송출해 주는 프레임 레이트와 모니터의 주사율을 서로 맞춰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두 가지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맞춰주는데요. 아래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프리싱크란

모니터의 주사율 보다 낮은 프레임이 생성될 때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니터의 주사율을 낮춰주는 기능이 바로 프리싱크입니다 이렇게 하면 모니터 주사율과 프레임 레이트가 서로 동기화가 되어 테어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죠.

하지만 이런 방식은 단점이 존재하는데요. 모니터의 주사율이 낮아지면 테어링 현상이 다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주사율이 떨어지니깐 인풋랙 즉 내가 컴퓨터에 입력을 할 때 화면에 송출해 주는 딜레이가 더욱 증가하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프리싱크를 사용하려면 과거에는 AMD 회사의 그래픽 카드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19년 1월 GTX 10시리즈와 RXT 20시리즈 이후의 그래픽 카드에서 프리싱크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온전한 것이 아닙니다. 해당 사항은 아래의 G-Sync Compatible에서 서술하도록 하겠습니다.

지싱크란

지싱크는 엔디비아에서 만든 모니터 주사율과 컴퓨터의 프레임 레이트를 동기화 시켜주는 기술인데요. 해당 방식은 AMD의 프리싱크 하고 다른 방법으로 동기화시켜줍니다.

지싱크를 지원하는 모니터에는 지싱크 모듈이 탑재 되어 있는데요. 해당 모듈이 하는 일은 프레임을 상승시켜주는 것이죠. 그러니깐 내 컴퓨터가 70 FPS가 나오고 모니터가 144Hz라면 모니터의 지싱크 모듈이 후처리를 해서 70 FPS를 144 FPS로 강제로 올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어찌 되었든 서로 동기화가 되어버리는 거죠.

그리고 AMD와 다르게 모니터의 주사율이 낮아지지 않으니깐 위에서 언급한 테어링 현상이랑 스터터링 현상이 거의 없어질 정도로 개선이 되고 인풋랙이 증가하는 일은 거의 없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큰 단점이 있는데요 바로 지싱크모듈이 비싸서 지싱크 기능이 탑재된 모니터는 굉장히 고가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하려면 NDIVIA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해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죠.

G-Sync Compatible

그래서 너무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장 점유율이 높은 NDIVIA는 G-Sync Compatible이라는 것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G-Sync Compatible은 엔디비아의 그래픽 카드로 AMD의 프리싱크를 사용하는 기술인데요.

문제는 프리싱크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죠. 일단 GTX10 시리즈와 RTX20 시리즈만 사용 가능하고 프리싱크에서는 HDMI로 지원되지만 G-Sync Compatible은 꼭 DP 포트로만 모니터를 연결해야 합니다. 그리고 프리싱크에 있는 LFC도 사용할 수 없죠. 그리고 지싱크랑도 다르게 주사율을 낮추는 기술이라서 일명 짭싱크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싱크(G-Sync)와 프리싱크(FreeSync)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제 해당 기술이 어떤 기술인지 잘 아셨나요? 만약 내가 하드코어 게이머라면 G-Sync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고작 모니터에 돈을 많이 쓰고 싶지 않다면 프리싱크를 쓰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프리싱크와 지싱크, 게이머는 어떤 걸 골라야 할까?

보기만해도 정신이 혼미해진드아아아…!

게임 화면 전환이 빠른 FPS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저런 차이로 인해, 테어링이 발생하죠

게임에서 ‘수직동기화’는 흔히 볼 수 있는 기능이다

테어링은 해결됐지만, 스터터링이…!

그림으로 본다면 이런 느낌입니다

무료 개방이라 그런지, 여러 제조사 모니터에 탑재되었죠

그야말로 하이엔드 게이밍이라는 느낌 물씬!

정말 ‘기’ 모으게 만드는 가격…

실제로 400개 제품 중 12개만 통과했습니다

모니터를 구매할 때 보면, 꼭 빠지지 않고 나오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바로 ‘프리싱크(Free-Sync)’와 ‘지싱크(G-Sync)’입니다. 분명 이름만 봐서는 같은 기능을 지원하는 것 같지만, 그 가격 차이는 어마어마하죠. 그래서 오히려 모니터 구매할 때, 더욱 의문만 증폭되는 분들이 많으리라 생각합니다.과연 ‘프리싱크’와 ‘지싱크’는 뭘까요? 그리고 이들이 모니터에서 맡은 역할은 뭘까요? 이번 기사에서는 이를 최대한 간략하게, 그리고 알기 쉽게 정리해봤습니다.우선 ‘프리싱크’와 ‘지싱크’에 대해 알기 전에, 왜 이런 기능이 나왔는지 먼저 알아야만 합니다. 보통 게임을 하다 보면, 화면이 어긋나는 현상을 보신 적이 한 번쯤은 있으실 겁니다. 이는 ‘테어링(Tearing)’이라고 불리는데, 그래픽 카드가 출력하는 프레임이 모니터로 보여줄 수 있는 주사율보다 높거나 낮으면 발생하죠.한 예로 60Hz 모니터가 1초에 60장의 화면을 고정적으로 보여주는데, 그래픽 카드는 실시간으로 장면을 계산해 출력하기 때문에 프레임은 계속 오르락내리락할 수밖에 없죠. 이 때, 동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이전의 장면과 현재 장면이 동시에 출력되면서 화면이 어긋나 보이게 됩니다.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직 동기화(V-Sync)’ 옵션도 나왔습니다…만, 이 방법 역시 완벽하지 않았습니다. 수직 동기화는 이런 테어링 현상을 막기 위해, 그래픽 카드가 출력하는 프레임을 모니터 주사율에 맞춰 제한하는 기능인데요. 가령, 60Hz 주사율 모니터를 쓰면, 그래픽 카드 성능이 60 프레임만 나오게 막는 것이죠.이를 이용하면, 확실히 주사율과 프레임이 일치하면서 테어링 현상은 많이 줄어듭니다. 단지, 그 반대급부로 프레임을 출력에 미세한 지연이 발생하게 되면, 다음 프레임을 출력할 때는 약간의 대기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이때 순간적으로 프레임이 떨어지면서 화면이 끊겨 보이는 ‘스터터링’이 발생하죠.더군다나, 이런 지연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마우스 입력이 모니터에 표시되는 데 걸리는 시간도 늘어나 소위 말하는 ‘인풋 랙’까지 안겨줍니다. 그야말로 하나를 해결하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라 볼 수 있죠.여태까지 말한 방법은 그래픽 카드를 모니터에 맞추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렇다면 그 반대는 어떨까요? 그 방식에서 착안하여, 나타난 방식이 바로 ‘가변동기화’입니다.‘가변동기화’는 비디오 전자공학 표준위원회 VESA에서 공개한 기술로, 별도 비용을 제공하지 않아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업계 표준 기술입니다. 앞서 설명한 ‘수직동기화’와 정반대로, 모니터 주사율을 그래픽 카드 프레임에 맞추는 방식인데요. 프레임에 따라 주사율이 달라지다 보니, 테어링과 스터터링은 물론, 인풋 랙 현상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여기서 AMD와 엔비디아는 이 기술을 독자적인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데요. AMD는 ‘프리싱크’ 그리고 엔비디아는 ‘지싱크’라 합니다. 두 기술의 원리는 거의 같지만, 가격 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먼저 ‘프리싱크’는 AMD 그래픽 카드를 기반으로 한 기술로, 전용 모듈이 탑재된 모니터 없이 소프트웨어로 가변동기화 기능을 구현합니다. 기본적으로 기술 자체를 무료 개방해 다양한 제조사들이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는데요. 덕분에 엔비디아 지싱크와 비교하면 상당히 저렴한 편입니다.단점으로는 프리싱크를 지원하는 모니터마다 주사율 범위가 다르다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최소 주사율이 48Hz, 최대 주사율이 144Hz 모니터를 사용할 때, 그래픽 카드에서 초당 프레임을 그보다 넘치거나 적게 출력되면 프리싱크를 적용하더라도 테어링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죠. 이런 문제는 수직 동기화와 같이 사용하면 그나마 방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지싱크’는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와 지원 모니터를 기반으로 한 기술로, 기능을 활용하려면 전용 모듈이 탑재된 모니터를 필요로 하죠. 기본적으로 게임에 최적화된 기능을 많이 보유하고 있고, 모니터 주사율보다 그래픽 카드가 프레임을 적게 출력하더라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죠. 어떤 의미로 안정성 면에서 프리싱크보다 살짝 더 우위에 있는 편입니다.다만, 단점으로는 전용 모듈 때문에 가격이 엄청나게 높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프리싱크 모니터와 지싱크 모니터 가격을 비교하더라도, 대략 30만원 정도의 차이가 있죠. 그런 점에서 정말 하이엔드 게이밍을 즐기려는 유저들을 위한 모니터 기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이 외에도, 지난 1월에 엔비디아에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 앞으로 프리싱크 모니터도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를 통해 프리싱크 모니터라도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를 사용한다면 가변동기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죠. 다만, 엔비디아 품질 기준에 부합한 모니터와 조건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모니터에서 그 효과를 제대로 누리기는 힘든 면이 있습니다.이처럼 ‘프리싱크’와 ‘지싱크’는 같은 기능이지만 그 나름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리싱크는 저렴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AMD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 지싱크는 널리 이용되는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지만 상당히 비싼 편이죠. 여기에 최적의 환경을 구축하려면 PC 사양까지 고려해야 하니, 선택에도 고민이 많은 편입니다.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모니터… 평소 ‘리그 오브 레전드’처럼 고품질 그래픽이나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 없는 게임을 한다면 프리 싱크 모니터로도 충분하겠지만, 만약 FPS를 즐길 생각이 있다면 과감하게 지싱크 모니터로 게임 환경을 업그레이드 해보는 건 어떨까요?

G-SYNC(지싱크)를 Free SYNC (프리 싱크) 모니터에서 적용해 봤습니다(Adaptive SYNC)

PC NEWS G-SYNC(지싱크)를 Free SYNC (프리 싱크) 모니터에서 적용해 봤습니다(Adaptive SYNC) 아이러브PC방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Nvidia에서 G-SYNC(지싱크) 기술을 G-SYNC(지싱크)모니터가 아닌 Free SYNC(프리 싱크) 모니터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를 내놓았습니다 ​ G-SYNC, 지싱크로 불리는 Nvidia의 기술로써, 최대 240Hz의 화면 주사율을 제공하며, 1Hz ~ 240Hz의 대역폭에서 모니터 화면 주사율과 GPU 즉 그래픽카드의 화면 주사율을 일치시켜주는 기술입니다 ​ 그렇다면 Free-SYNC, 프리 싱크는 뭘까요? 프리 싱크는 AMD에서 개발한 기술로 작동원리는 지싱크와 비슷합니다 ​ 하지만, 프리 싱크는 주사율 대역폭이 지싱크 처럼 넓지 않습니다 보편적으로 40Hz ~ 240Hz, 또는 45Hz ~ 240Hz 정도의 대역폭에서 작동을 합니다 ​ 이 두 기술은 각각의 칩 제조사인 Nvidia의 칩이 들어간 제품(지포스 GTX 시리즈)에서는 G-SYNC를, AMD의 칩(라데온 RX 시리즈)이 들어간 제품에서는 Free-SYNC를 사용할 수 있고, 타사의 기술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 하지만, 이번 Nvidia의 최신 417 버전의 드라이버 배포로 인해 값비싼 G-SYNC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Free-SYNC 모니터만 있으면 기본적인 G-SYNC를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 물론 100% 호환을 장담하지는 못하니 테스트 후 화면 깜박임이나, 다른 문제들이 생길 수 있으니, 테스트해서 문제가 생기면 아쉽지만 G-SYNC를 사용하지 못합니다 ​ 자, 그럼 이제 G-SYNC를 Free-SYNC 모니터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하단에 나열된 사진 중에 윈도우7 에서의 사진들이 있습니다만, 어댑티브 싱크(Adaptive-SYNC)는 윈도우10 에서만 동작합니다 윈도우7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 준비물 1. Nvidia GTX10 시리즈 이상의 그래픽카드 2. Free-SYNC 지원 모니터 3. DP 케이블 4. 윈도우10 운영체제 ​ 이렇게 있으면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저는 중소기업 게이밍 모니터 중 하이 퀄리티 제품인 큐닉스 3228 모델로 작업을 해 보았습니다 ​ 첫 번째로 자신의 그래픽카드가 GTX10 시리즈 이상임을 확인했다면, Nvidia 홈페이지로 가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인터넷 주소창에 www.nvidia.com 입력하여, Nvidia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상단의 드라이버 탭을 선택한 후 GEFORCE DRIVERS를 클릭합니다 ​ ​ 검색 항목을 빠짐없이 기입해 주고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 ​ 하단의 나열되어 있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중에 맨 위쪽에 있는 417.71 버전을 선택해 줍니다 ​ ​ 선택한 버전을 확인하시고,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줍니다 ​ ​ ​ 다시 한번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줍니다 ​ ​ ​ 브라우저 하단의 다운로드 창이 뜨면, 저장을 눌러주세요 ​ ​ ​ 다운로드가 다 되었다면, 실행 버튼을 눌러줍니다 ​ ​ ​ ​ 새 창이 뜨면 OK 선택 ​ ​ ​ ​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를 선택 후 동의 및 계속 선택 ​ ​ ​ ​ 사용자 정의 설치 선택 후 다음 선택 ​ ​ ​ ​ 설치 항목 중 3D Vision 항목 두 개, HD 오디오 항목 1개를 체크 해제 후 다음 선택 ​ ​ ​ ​ 설치 프로그램이 완료되면 닫기를 누르시고, 컴퓨터를 재부팅 해 줍니다 ​ ​ ​ ​ 컴퓨터가 재부팅 되면,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의 Free-SYNC(프리 싱크) 기능을 켜주면 화면이 한번 깜박입니다. Free-SYNC(프리 싱크) 항목은 각 모니터마다 설정 위치가 다르니,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 ​ 모니터의 Free-SYNC(프리 싱크) 항목을 켜놓으셨다면, 이제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 클릭 후 NVIDIA 제어판을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NVIDIA 제어판에서 G-SYNC(지 싱크) 항목을 선택하신 후 위 사진과 같이 설정하고 적용 버튼을 누르면 화면이 한번 깜박입니다 ​ ​ ​ 그 후 3D 설정 관리에 들어가서 모니터 기술 항목이 G-SYNC Compatible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안 되어 있다면, 메뉴에서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 설정이 끝나고 컴퓨터를 재부팅 하시거나, 또는 DP 케이블을 그래픽 카드에서 분리했다가 재연결 하시기 바랍니다 ​ ​ ​ 설정은 다 끝났는데 정말로 G-SYNC(지 싱크)가 적용되는지 확인을 해봐야겠죠? NVIDIA 제어판의 G-SYNC(지 싱크) 설정에서 상단에 Display 항목을 클릭하신 뒤 두 번째 G-SYNC Compatible Indicator 항목을 선택해 주신 후 게임을 실행해 봅니다 ​ ​ ​ 저는 로스트 아크를 실행해 봤는데요, G-SYNC(지 싱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위 사진과 같이 게임 화면 우측 상단에 G-SYNC ON이라고 표시가 됩니다 ​ 이 표시를 없애고 싶을 땐 NVIDIA 제어판의 G-SYNC(지 싱크) 설정에서 상단에 Display 항목을 클릭하신 뒤 두 번째 G-SYNC Compatible Indicator 항목을 선택 해제해 주시면 됩니다. ​ 만약 저 G-SYNC ON 표시가 안 나온다면 컴퓨터 재부팅 및 DP 케이블을 그래픽카드에서 제거했다가 다시 연결하기를 반복해 보시기 바랍니다 ​ 제가 테스트한 모니터는 총 3종류입니다. ​ 큐닉스 그룹 큐닉스 QX3220 200 ARMY 큐닉스 QX3228R144 CURVIED D.VA 삼성 C32JG5x ​ 위 3종류 모니터로,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몬스터 헌터, 피파 19, 데드 오어 얼라이브, 로스트 아크 등의 게임을 테스트해보았지만 화면이 깜박인다거나 화면이 안 나오는 증상은 없었습니다 추후 더 많은 모니터로 테스트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 자, 이렇게 Nvidia 기술의 G-SYNC(지 싱크)와 AMD 기술의 Free-SYNC(프리 싱크)를 합쳐 Adaptive-SYNC(어댑티브 싱크)를 구현해 봤습니다. ​ G-SYNC(지 싱크), Free-SYNC(프리 싱크), Adaptive-SYNC(어댑티브 싱크)를 쓰는 이유는 게임상에서의 인풋 렉을 최소화하고, 화면 잘림(테어링), 프레임 끊김(스터터링)을 없애 좀 더 깔끔하고, 부드러운 화면으로 눈의 피로를 덜어 쾌적한 게임을 즐기기 위함입니다 ​ 이제 Adaptive-SYNC(어댑티브 싱크) 기술로 게이밍 모니터의 모든 성능을 체감하며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 즐겜 하세요 ​ 인쇄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사용하기

엔비디아 G-SYNC 인증은 G-SYNC 모듈을 사용하는 G-SYNC ULTIMATE와 G-SYNC, 그리고 G-SYNC 모듈을 사용하지 않은 G-SYNC COMPATIBLE로 구분된다. G-SYNC 호환은 하드웨어 레벨에서 엔비디아의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은 제품이지만,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못한 프리싱크 모니터도 G-SYNC 호환을 설정할 수 있다. 단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못한 만큼 모니터에 따라 매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모든 문제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다.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사용자가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을 사용하는 방법을 기록하고자 LG 32GK850F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사용하기’를 작성했다.

주의사항 1. G-SYNC와 FreeSync의 간단 특징은 [G-SYNC, FreeSync 인증 등급 요약]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G-SYNC와 FreeSync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G-SYNC, VESA Adaptive Sync, FreeSync 차이점 비교]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웹상의 정보를 종합해서 작성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정보가 있을 수도 있다.

목차

Quick Menu

NVIDIA G-SYNC 호환

2019년 1월에 NVIDIA에서 G-SYNC 호환을 출시했다. G-SYNC 호환은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와 DisplayPort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에 맞춰서 모니터의 주사율을 모니터와 DisplayPort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가변 주사율 내에서 제어하는 기술로 모니터 주사율보다 렌더링 속도가 빠를 때 발생하는 화면 찢어짐 현상(Tearing, 테어링)과 모니터 주사율보다 렌더링 속도가 느릴 때 발생하는 화면 끊김 현상(Stuttering, 스터터링) 및 입력 장치의 작동 장면 업데이트가 지연되는 현상(input lag, 인풋렉)을 개선한다. 그리고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가변 주사율보다 낮아지면 그래픽 카드가 렌더링한 프레임을 최대 2회 복제해서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가능한 한 가변 주사율 범위에 들어가게끔 조정한다. G-SYNC 호환은 엔비디아 GTX 10 시리즈 또는 엔비디아 GTX 16 시리즈 이상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 G-SYNC Compatible 인증 모니터를 사용하고 디스플레이 포트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엔비디아는 2018년 하반기부터 2019년 5월까지 503개의 VESA Adaptive Sync 모니터를 테스트했고 단 28개의 모니터만 테스트를 통과했다. 처음에는 536개의 VRR 모니터를 테스트하고자 했으나 33개의 모니터는 단종되어 503개의 모니터로 테스트를 시작했고, 그중 273개의 모니터는 VRR의 범위가 최소 기준인 2.4 : 1 이상(최소 60Hz – 144Hz 범위 이상)을 충족하지 못했고, 202개의 모니터는 VRR 범위는 충족했지만 깜빡임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2021년 10월 기준 NVIDIA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은 모니터는 총 175개이다.

NVIDIA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않은 VESA Adaptive Sync 인증 모니터 또는 AMD FreeSync 인증 모니터에서도 G-SYNC Compatible을 설정할 수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엔비디아 인증조차 받지 못한 만큼 사용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고가의 AMD FreeSync 인증 모니터에서도 사용자 환경 및 게임에 따라 화면 깜빡임, 밝기 이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다소 가격대가 낮은 AMD FreeSync 인증 모니터에서는 사실상 G-SYNC Compatible을 사용하기 힘들 정도의 호환성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G-SYNC 호환은 엔비디아 독점 기술인 만큼 GTX 10시리즈 이상의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DisplayPort 1.2a 버전 이상의 DP 포트, G-SYNC Compatible 인증 모니터, 윈도우 10 이상의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2019년 11월에 NVIDIA가 NVIDIA Game Ready 441.12 WHQL 드라이버부터 HDMI VRR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로 HDMI VRR을 사용하려면 GTX 16시리즈 이상의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HDMI 2.1 버전 이상의 포트, HDMI VRR 지원 모니터, 윈도우 10 이상의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NVIDIA G-SYNC 및 G-SYNC 설정 테스트

NVIDIA가 제공하는 [데모 영상]을 설치하면 G-SYNC 및 G-SYNC 호환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G-SYNC 및 G-SYNC 호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시계추의 움직임이 끊기거나 찢어지듯이 보이고 G-SYNC 및 G-SYNC 호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시계추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보인다.

G-Sync 테스트는 어디까지나 G-SYNC 및 G-SYNC 호환의 활성화 유무만 알 수 있기 때문에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않고 AMD FreeSync 인증만 받은 모니터’에서 시계추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보인다고 해서 G-SYNC 호환성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호환성 이슈는 시스템 전반에서 발생할 수 있고 특정 게임에서만 발생할 수 있고 발생 시점과 이슈 정도가 모두 다르다.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NVIDIA G-SYNC 호환 설정 방법

1. G-SYNC 호환 설정하기

NVIDIA 제어판 – 디스플레이 – G-SYNC 설정에서 ‘G-SYNC, G-SYNC 호환 활성화’에 체크하고, ‘창모드 및 전체 화면 모드로 활성화’에 체크해야 한다. ‘전체 화면 모드로 활성화’에 체크하면 게임 내 디스플레이 설정이 전체 화면일 때만 G-SYNC가 활성화되므로 창 모드에서 게임을 플레이한다면 ‘창모드 및 전체 화면 모드로 활성화’에 체크해야 한다. 그리고 ‘선택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한 설정 활성화’에 체크 해야 한다.

2. 기본 재생 빈도 설정 변경하기

NVIDIA 제어판 – 3D 설정 – 3D 설정 관리에서 ‘기본 재생 빈도를 ‘응용 프로그램 제어’로 변경해야 한다.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않은 모든 제품에서 화면 깜빡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설정을 통해 화면 깜빡임 빈도수를 낮출 수 있다.

3. 일부 프로그램에서 화면 깜빡임 문제 발생 시 해결 방법

포토샵 등 일부 프로그램에서 화면 깜빡임 증상이 발생하면 NVIDIA 제어판 – 3D 설정 – 프로그램 설정에서 화면 깜빡임 증상이 발생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모니터 기술’을 ‘고정 재생 빈도’로 변경하면 된다.

4. G-SYNC 호환 작동 확인하기

NVIDIA 제어판 – 3D 설정 – PhysX 비주얼 표시기 표시를 체크하면 게임을 플레이할 때 G-SYNC 호환 작동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G-SYNC 표시기는 계속 켜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G-SYNC 호환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끄면 된다.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 최적화 방법

1. VSync

G-SYNC 및 G-SYNC 호환은 VSync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G-SYNC 및 G-SYNC 호환이 켜진 상태에서 VSync를 켜면 가변 주사율 내에서는 VSync의 기본 동작이 비활성화되지만, G-SYNC가 가변 주사율 내에서 화면 찢어짐 현상(테어링)을 제거하는 데 관여하고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에 도달해서 가변 주사율을 넘어서면 VSync의 기본 동작이 활성화되어 모니터의 새로운 재생 주기가 시작하기 전에 그래픽 카드가 렌더링하는 장면이 모니터로 업데이트되지 않도록 장면 업데이트를 지연 시켜서 화면 찢어짐 현상(테어링)을 제거한다.

G-SYNC 및 G-SYNC 호환 모두 VSync가 켜진 상태이므로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을 강제로 적용할 때는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VSync를 켜야 한다. 그리고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VSync를 켤 때만, G-SYNC 호환의 작동 상태에 맞춰서 VSync가 작동하므로 게임 설정에서는 VSync(수직동기화)를 반드시 꺼야 한다.

※ NVIDIA Fast Sync [자세히 보기] DirectX 11 기반의 게임을 플레이하고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을 상당히 초과할 경우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VSync를 Fast Sync로 설정해야 한다. Fast Sync는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을 초과하는 만큼 인풋렉을 감소시키며,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보다 3배 이상 빠를 때 VSync를 끈 상태에 근접한 수준까지 인풋렉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DirectX 11만 지원하므로 DirectX 11 외의 게임을 플레이할 때는 자동으로 VSync로 작동한다. NVIDIA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G-SYNC와 Fast Sync를 함께 사용하면 모든 조건에서 최상의 경험을 할 수 있다고 했다. 단 G-SYNC 및 G-SYNC 최적화 중 ‘게임 내 최대 프레임 제한’을 설정한다면 Fast Sync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 VSync를 Fast Sync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게임 내 최대 프레임 제한’을 설정하고 Fast Sync를 설정한다고 해서 문제가 발생하는 건 아니지만, 무의미하다.

2. 게임 내 최대 프레임 제한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속도가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을 초과하면 G-SYNC 및 G-SYNC 호환이 꺼지고, VSync가 작동하면서 인풋렉이 대폭 증가하므로 G-SYNC 및 G-SYNC 호환이 항상 가변 주사율 내에서 작동하도록 게임 내 최대 프레임을 최대 주사율에서 -3Hz 정도로 제한해야 한다.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을 제한하더라도 간혹 최대 주사율을 오버할 수 있고 그 순간 VSync가 작동해서 인풋렉이 대폭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1Hz 또는 -2Hz 보다는 -3Hz 정도로 제한하는 게 최선이다.

게임의 프로세스 과정은 게임 엔진, CPU, GPU 순으로 이어지므로 지연 시간을 최대한 줄이려면 게임 내 옵션에서 최대 프레임을 제한해야 한다. 만약에 게임에서 최대 프레임 제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면 guru3d에서 배급하는 RTSS(RivaTuner Statistics Server)를 설치하고 최대 프레임을 제한해야 한다. 엔비디아 제어판에서도 최대 프레임 제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앞선 두 방법보다 지연 시간이 증가한다.

3. NVIDIA NULL(NVIDIA Ultra Low Latency, 저 지연 모드) [자세히 보기]

DirectX 9, DirectX 11 기반의 게임을 플레이하고 게임의 프레임 속도가 60 FPS에서 100 FPS 사이라면 엔비디아 제어판 – 3D 설정 – 3D 설정 관리에서 Low Latency를 Ultra로 설정해야 한다. NULL는 ‘최대한 미리 사전에 렌더링하는 프레임 수’를 줄여서 인풋렉을 감소시키는 기술로 엔비디아의 ‘최대 사전 렌더링 프레임’ 기능을 대체한다. NULL를 Ultra로 설정하면 CPU에서 그래픽 카드가 프레임을 렌더링하기 직전에 1프레임을 렌더링 대기열에 추가해서 실시간 렌더링에 근접한 수준으로 프레임을 렌더링한다.

Vulkan과 DirectX 12 기반의 게임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게임의 프레임 속도가 60 FPS 미만이거나 100 FPS를 초과할 경우 인풋렉 감소 효과가 떨어지므로 사용하는 데 제약이 있지만, 비작동 환경에서는 NULL이 자동으로 비활성되므로 엔비디아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G-SYNC 및 G-SYNC 호환을 사용할 때 NULL을 Ultra로 설정하길 권장하고 있다.

4. NVIDIA Reflex Low Latency [자세히 보기]

NVIDIA Reflex Low Latency API를 적용한 게임을 플레이한다면 NVIDIA GeForce Experience에서 Reflex Low Latency 모드 또는 Reflex Low Latency Boost 모드로 설정해야 한다. NVIDIA Reflex Low Latency는 게임 개발자가 게임 엔진의 작업이 그래픽 카드의 렌더링 시간에 맞춰서 완료되도록 하드웨어 레벨에서 CPU와 그래픽 카드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렌더링 대기열을 없애고 인풋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기술로 DirectX 12도 지원하므로 NVIDIA Reflex Low Latency에 최적화된 게임을 플레이한다면 반드시 NVIDIA Reflex Low Latency 모드에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게 좋다. Reflex Low Latency Boost 모드는 GPU의 부하가 없는 상황에서도 높은 클록을 유지해서 GPU에 갑작스럽게 부하가 걸릴 때 지연 시간을 최대한 감소시키는데, Reflex Low Latency 모드와 비교했을 때 성능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프로 선수나 하드 유저가 아니라면 Reflex Low Latency 모드를 사용하면 된다.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 설정 요약

G-SYNC 호환 활성화 VSync 제어판에서 ON

게임에서 OFF 게임 내 최대 프레임 제한 최대 주사율 – 3Hz Low Latency Mode Ultra NVIDIA Reflex ON

프리싱크 모니터에서 G-SYNC 호환 사용 후기

○ 프리싱크 모니터 LG 32GK850F

2018년 5월에 LG 32GK850F 모니터가 출시한 직후 구매했다. LG 32GK850F 모니터는 프리싱크 2 인증 모니터로 출시했고 그 다음 달인 6월에 프리싱크 2 인증이 프리싱크 2 HDR로 개편되면서 프리싱크 2 HDR 인증 모니터로 광고하다가 2020년 1월에 프리싱크 2 HDR 인증이 FreeSync Premium 인증과 FreeSync Premium Pro 인증으로 세분화되면서 FreeSync Premium Pro 인증 모니터로 광고 중이다.

구분 FreeSync Premium Pro G-SYNC COMPATIBLE 인증 AMD 인증 NVIDIA 인증 가변주사율 FreeSync VESA Adaptive Sync 가변주사율 프레임 더블링 최대 4회 최대 2회 응답 시간 특정 기준치(비공개)를 통과해야 함 – 인터페이스 DisplayPort 1.2 이상

HDMI 2.0 이상 DisplayPort 1.2 이상

HDMI 2.1 이상 부가 기능 VSync

AMD Enhanced Sync

AMD RADEON Anti-Lag VSync

NVIDIA Fast Sync

NVIDIA NULL

NVIDIA Reflex

LG 32GK850F 모니터는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못했고 G-SYNC 호환을 강제 설정하면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고 G-SYNC 호환의 가변주사율 성능이 FreeSync Premium Pro보다 떨어지므로 AMD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게 좋지만, G-SYNC 호환 최적화 설정 시 대부분의 호환성 이슈가 해결되고 GPU의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어 가변주사율 프레임 더블링이 작동하는 경우는 사실상 없기 때문에 NVIDIA 레이트레이싱 등 엔비디아 최신 기술을 경험하고 싶은 사용자는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를 장착하고 G-SYNC 호환 설정을 하면 된다.

○ LG 32GK850F에 G-SYNC 호환 적용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은 모니터는 GTX 16시리즈 이상의 NVIDIA 그래픽 카드를 장착하고 엔비디아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되는데, G-SYNC COMPATIBLE 인증을 받지 못한 LG 32GK850F은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별도의 설정을 하고, G-SYNC 호환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를 하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게임 플레이 중 G-SYNC 호환성 이슈가 있는지 살펴봐야 해서 번거로울 수 있다.

○ LG 32GK850F에 G-SYNC 호환 적용 후기

브라우저 문제 없음 작업 프로그램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게임 특정 장면에서 문제가 발생함

구글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네이버 웨일 등 브라우저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엑셀 같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아무 문제가 없었다. 단 어도비 포토샵에서 작업 공간 외의 창 부분에 비주기적으로 매우 심각한 화면 깜빡임이 발생해서 [일부 프로그램에서 화면 깜빡임 문제 발생 시 해결 방법]에 따라 문제를 해결했다.

게임은 오버워치,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사이버펑크 2077을 플레이했는데, 사이버 펑크 2077을 제외한 두 가지 게임에서 화면 깜빡임을 경험했다. 오버워치는 게임 플레이 중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지만, 대기실 화면에서 화면 깜빡임이 발생했고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도 플레이 중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로딩 화면에서 화면 깜빡임이 발생했다. 그나마 플레이중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서 화면 깜빡임 문제해결을 통해 해당 게임에 대한 G-SYNC 호환 설정을 끄지는 않았다.

출처

관련 글

프리싱크 vs. G-싱크, 게이밍 모니터 성능을 좌우하는 어댑티브 싱크 비교

Offcanvas

Some text as placeholder. In real life you can have the elements you have chosen. Like, text, images, lists, etc.

지싱크(G-SYNC) 프리 싱크(Free SYNC) 모니터 적용 Adaptive SYNC

안녕하세요 상상고래 입니다

개인적인 생각과 정보를 쉽게 공유하려는 취지로 글을 작성합니다

다른 의견이 있다면 쪽지나 댓글 남겨주세요^^

오늘은 지싱크(G-SYNC)를

프리 싱크(Free SYNC) 모니터에서 적용 Adaptive SYNC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vidia에서 G-SYNC(지싱크) 기술을 G-SYNC(지싱크)모니터가 아닌

Free SYNC(프리 싱크) 모니터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를 내놓았습니다

G-SYNC, 지싱크로 불리는 Nvidia의 기술로써,

최대 240Hz의 화면 주사율을 제공하며, 1Hz ~ 240Hz의

대역폭에서 모니터 화면 주사율과 GPU

즉 그래픽카드의 화면 주사율을 일치시켜주는 기술입니다

그렇다면 Free-SYNC, 프리 싱크는 뭘까요?

프리 싱크는 AMD에서 개발한 기술로 작동원리는

지싱크와 비슷합니다

하지만, 프리 싱크는 주사율 대역폭이

지싱크 처럼 넓지 않습니다

보편적으로 40Hz ~ 240Hz, 또는 45Hz ~ 240Hz

정도의 대역폭에서 작동을 합니다

이 두 기술은 각각의 칩 제조사인 Nvidia의 칩이 들어간

제품(지포스 GTX 시리즈)에서는 G-SYNC를,

AMD의 칩(라데온 RX 시리즈)이 들어간 제품에서는

Free-SYNC를 사용할 수 있고,

타사의 기술을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Nvidia의 최신버전의 드라이버

배포로 인해 값비싼 G-SYNC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Free-SYNC 모니터만 있으면 기본적인

G-SYNC를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100% 호환을 장담하지는 못하니 테스트 후 화면 깜박임이나,

다른 문제들이 생길 수 있으니,

테스트해서 문제가 생기면 아쉽지만

G-SYNC를 사용하지 못합니다

자, 그럼 이제 G-SYNC를 Free-SYNC 모니터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하단에 나열된 사진 중에 윈도우7 에서의 사진들이 있습니다만,

어댑티브 싱크(Adaptive-SYNC)는

윈도우10 에서만 동작합니다

윈도우7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준비물

1. Nvidia GTX10 시리즈 이상의 그래픽카드

2. Free-SYNC 지원 모니터

3. DP 케이블

4. 윈도우10 운영체제

이렇게 있으면 시작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자신의 그래픽카드가 GTX10 시리즈 이상임을 확인했다면,

Nvidia 홈페이지로 가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인터넷 주소창에 www.nvidia.com 입력하여,

Nvidia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홈페이지 접속후 상단 드라이버

GEFORCE DRIVERS로 이동합니다

검색 항목을 꼼꼼히 기입후 검색하여

나열된 그래픽카드 다링버 중에 맨 상단에 있는 버전을 선택

다운로드, 설치 후 재부팅 진행합니다

※ 저의 경우에는

1. 사용자 정의 설치 선택

2. 설치항목중 3D Vision 항목 두개와

HD 항목 1개를 체크 해제 후 설치했습니다

컴퓨터 재부팅 후 모니터의 Free-SYNC(프리 싱크) 기능을 ON 해주시면

화면이 한번 깜박입니다

바탕화면 마우스 우 클릭 후 NVIDIA 제어판으로 들어가서

G-SYNC(지 싱크) 항목을 선택하신 후 설정 및 적용하시면

화면이 한번 깜박입니다

그후 3D 설정 관리에 들어가서 모니터 기술 항목이

G-SYNC Compatible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안 되어 있다면, 메뉴에서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설정이 끝나고 컴퓨터를 재부팅 하시거나,

또는 DP 케이블을 그래픽 카드에서 분리했다가

재연결 하시기 바랍니다

Nvidia 기술의 G-SYNC(지 싱크)와 AMD 기술의 Free-SYNC(프리 싱크)를 합쳐

Adaptive-SYNC(어댑티브 싱크)를 구현해 봤습니다.

G-SYNC(지 싱크), Free-SYNC(프리 싱크), Adaptive-SYNC(어댑티브 싱크)를

쓰는 이유는 게임상에서의 인풋 렉을 최소화하고,

화면 잘림(테어링), 프레임 끊김(스터터링)을 없애 좀 더 깔끔하고,

부드러운 화면으로 눈의 피로를 덜어 쾌적한 게임을 즐기기 위함입니다

이제 Adaptive-SYNC(어댑티브 싱크) 기술로 게이밍 모니터의 모든 성능을 체감하며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프리 싱크 지 싱크

다음은 Bing에서 프리 싱크 지 싱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프리싱크? 지싱크? 어댑티브 싱크? 그게 대체 뭔데

  • 뻘짓
  • 연구소
  • IT
  • 테크
  • 스마트폰
  • 리뷰
  • 언박싱
  • 기술
  • 과학
  • 유튜버
  • 컴퓨터
  • 비교
  • 허수아비
  • 잇섭
  • AMD
  • 인텔
  • NVIDIA
  • 프리싱크
  • G싱크
  • 지싱크
  • 어댑티브싱크
  • 엔비디아

프리싱크? #지싱크? #어댑티브 #싱크? #그게 #대체 #뭔데


YouTube에서 프리 싱크 지 싱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리싱크? 지싱크? 어댑티브 싱크? 그게 대체 뭔데 | 프리 싱크 지 싱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Barra De Armario Con Luz Y Sensor | Ilumina Tu Armario Con La Barra De Luz Led Con Sensor De Movimiento De Iyowin 198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