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검사 결과 지 | 피검사 결과지 들고 줄 그으면서 보는 영상 최근 답변 176개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혈액 검사 결과 지 – 피검사 결과지 들고 줄 그으면서 보는 영상“?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th.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th.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러닝비하인드 RunningBehind 쟐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0,988회 및 좋아요 28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첫장에 보면 ‘정상A’, ‘정상B’, ‘일반질환 의심’, ‘질환 의심’, ‘유질환자’ 등이 적혀 있다. 정상A는 말 그대로 정상수치를 의미하며, 정상B의 경우 아직은 정상수치를 유지하고 있지만 자기관리와 함께 예방조치 등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혈액 검사 결과 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피검사 결과지 들고 줄 그으면서 보는 영상 – 혈액 검사 결과 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살면서 반드시 하게 되는 피 검사!
자세히 설명해주지 않으면 도통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습니다
궁금한 부분 있으시거나 하면 댓글 달아주세요~
구독 누른 다음에요 ㅋㅋ
E-mail ; [email protected]
매주 수요일 오후6시 Upload
#피검사 #혈액검사 #피검사결과 #건강검진

혈액 검사 결과 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건강검진결과조회 결과지 분석Ⅰ종합소견, 신체계측, 혈액검사 …

건강검진결과조회 결과지 분석Ⅰ종합소견, 신체계측, 혈액검사, … 건강검진 결과조회 방법과 검사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알려드릴게요.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2/8/2021

View: 6294

피검사로 알수있는병, 피검사 결과지 보는 법 구강내과 의사가 …

안녕하세요. 건강정보를 다루는 유튜브 덴티장tv의 현직 구강내과의사 덴티장입니다. 오늘은 피검사로 알 수 있는 것과 피검사 결과지 보는 법 그 …

+ 더 읽기

Source: dentijang.tistory.com

Date Published: 10/8/2022

View: 7871

혈액검사 보고서를 읽는 방법 – UnitedHealthcare

대부분의 의사들은 혈액 검사 보고서 결과에 대해 정확하게 여러분에게 설명을 하지 … 식단을 바꾸고 운동을 더 해야 하며 약은 드시지 않아도 될 수 있지만 의사와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uhcasian.com

Date Published: 11/26/2022

View: 3663

혈액검사결과 인터넷으로 볼수있나요? – 온라인 상담

[부산지회 / 기타상담] 혈액검사결과 인터넷으로 볼수있나요? 등록일, 2020-05-21 오전 6:34:43, 조회수, 3015. E-mail, [email protected], 이름, 서현경.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ppfk.or.kr

Date Published: 4/13/2021

View: 6920

기초적인 혈액검사표 읽는 법

정밀혈액검사를 하게 되면 암종양지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는 정기검사를 하였다면, 혈액결과와 암표식(Tumor Marker) 검사결과치를 가지고 …

+ 여기에 보기

Source: saypyw.egloos.com

Date Published: 7/14/2022

View: 5435

제대로 알아보자 혈액 검사 상세 항목

… 소개했던 혈액 검사의 결과 해석에 대한 내용을 준비했어요. 따끔- 주사바늘에 찔려가며 뽑아냈던 피가 내 건강을 어떻게 나타내는지 알아봐요.

+ 여기에 표시

Source: www.adoc.co.kr

Date Published: 10/15/2021

View: 316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혈액 검사 결과 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피검사 결과지 들고 줄 그으면서 보는 영상.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피검사 결과지 들고 줄 그으면서 보는 영상
피검사 결과지 들고 줄 그으면서 보는 영상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혈액 검사 결과 지

  • Author: 러닝비하인드 RunningBehind 쟐쌤
  • Views: 조회수 10,988회
  • Likes: 좋아요 285개
  • Date Published: 2021. 9. 2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q_pLBp0Rwno

건강검진결과조회 결과지 분석Ⅰ종합소견, 신체계측, 혈액검사, 영상검사, 소변검사

·빈혈·

혈색소 검사를 통해 빈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지질혈증·

고지혈증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이상지질혈증은 혈액 속에 기름이 많아 동맥경화를 포함한 여러 가지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로 진단하는데요, 총 콜레스테롤 정상 기준은 200미만이고, 200~229 인 경우 질환 경계 대상자에 해당합니다.

‘고밀도 콜레스테롤_HDL’은 혈관 벽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우리 몸에 좋은 작용을 하는 콜레스테롤이며 정상수치는 60이상입니다.

‘중성지방’은 밀가루나 당분처럼 정제된 탄수화물 섭취 시 올라가는 지방인데요, 혈관에 축적되어 혈관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상 수치인 150 미만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저밀도 콜레스테롤_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인데요, 혈전을 생성하여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뇌혈관 질환을 유발해요. 정상수치는 140미만입니다.

·당뇨병·

당뇨병은 혈중에 포함된 포도당 수치로 진단합니다. 빈속에 재는 공복 혈당의 정상범위는 100미만입니다. 126 이상인 경우에는 당뇨병을 의심해야 합니다. 식후에는 140이 정상 범위이며 200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피검사로 알수있는병, 피검사 결과지 보는 법 구강내과 의사가 다 알려드림

안녕하세요.

건강정보를 다루는

유튜브

덴티장tv의 현직 구강내과의사

덴티장입니다.

오늘은 피검사로 알 수 있는 것과 피검사 결과지 보는 법

그 모든 것을 디테일하게 다루어 볼 테니

여기서 많은 정보를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바로 들어갑니다.

정상수치는 요새 결과지에 다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그 수치 높낮이의 의미를 위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염증 수치

염증 수치를 피검사로 알 수 있는 것 중 하나인데요.

1) CRP

C-reactive protein의 약자로

감염이나 염증이 시작되고

간에서 만들어져 혈류로 분비되는 물질입니다.

비교적 급성으로 만들어지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관절염, 악성종양, 전신홍반루푸스(SLE)가

있을 때 그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2)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의 약자로

혈액을 혈침관 안에 넣어 두었을 때

1시간 동안 가라앉은 적혈구의 양을 의미합니다.

보통 성인보다는 소아가, 남성보다는 여성이

수치가 높으며

이 수치가 높을 때는

감염이나 염증 반응 시, 심근경색,

류마티스 열, 활동성 결핵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혈당증 같은 경우는

염증성 병변과 관계없이 수치가

높아지기도 하니 해석에 주의를 요합니다.

2. 간수치

간수치를 보고 피검사로 알 수 있는 병이 있습니다.

1) AST (SGOT, OT)

SGOT으로도 불리며 일단

이 수치를 이해하기 위해선

GOT이 무엇인지 이해해야 합니다.

GOT은 케토산과 아미노산간의 아미노기 교환을

촉매 하는 효소로

간 조직,심장 근육, 골격근에 고농도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위 조직의 세포 손상 시

손상 세포로부터 혈류로 나오게 되어

SGOT가 되는데요.

즉 SGOT 수치, AST 수치가 높으면

그만큼 세포 손상이 많다는 뜻이 되겠죠.

보통 심근경색증 발생 후에 8시간에서 12시간

사이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24시간에서 48시간

사이에 농도가 최고치에 달하는데요.

3일에서 8일 후에 정상 수치로 돌아옵니다.

ALT에 비해 알코올성 간염에서 수치가

더 증가하게 됩니다.

2) ALT (SGPT)

SGPT로 불리며 마찬가지로

GPT에서 세포 손상 시 혈류로 나오게 됩니다.

AST와 달리 신장과 간에 주로 존재하여

전염성 간염을 진단하는데 참고하게 됩니다.

AST에 비해 약물 사용에 있어

더 민감하게 봐야 할 항목이기도 합니다.

3) ALP (Alkaline phosphatase)

간과 뼈를 구성하는 세포에서

그 농도가 높은데요.

이 수치가 높을 때와 낮을 때

각각 그 의미가 다릅니다.

(1) 수치가 높을 때 :

–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파제트병

– 뼈의 종양

– 종양, 감염에 의한 간의 파괴

– 황달 (폐쇄성)

– 임산부나 성장기 어린이에서 증가할 수 있음.

(2) 수치가 낮을 때 :

– 갑상선기능저하증

– 영양결핍

4) GGT (감마G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감, 담도 질환이 이 수치를 높일 수 있지만

보통 음주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음주 남용을 진단하는 데 사용하게 됩니다.

5) Bilirubin (빌리루빈)

빌리루빈은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 안 Heme이라는 물질이

대사 되어 만들어지는

색소의 일종으로 간의 효소작용으로

담도와 소화관을 통한 다음

최종적으로 대변으로 배설되게 됩니다.

즉 빌리루빈 수치가 높다는 것은

간의 기능 이상이나

담도폐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게 됩니다.

(간염, 간경화, 간암 가능성도 존재)

빌리루빈이 축적되면

눈의 흰자위, 피부가 노래지는

황달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콜레스테롤 수치

1) Cholesterol

혈액 내 콜레스테롤의 총합을 말하는데요.

그 수치가 높으면 동맥경화 및 관상동맥질환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2) Triglyceride

혈중 지질의 형태로 역시 수치가 높을 경우

동맥경화 및 관상동맥질환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3) HDL

콜레스테롤 수치에서 유일하게

좋은 콜레스테롤로도 불리며

수치가 높을 때

동맥경화나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성이 낮아집니다.

4) LDL

혈중 지질의 형태로 그 수치가 높으면

동맥경화 및 관상 동맥질환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4. 신장 수치

피검사로 알수있는것으로 신장 수치가 있는데요.

1) BUN

Blood Urea Nitrogen, 즉 혈액 요소질소의 약자로

혈중 요소에 함유된 질소량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신장의 대사산물을 배설하는 능력을 뜻합니다.

(1) 수치가 높을 때 :

– 신장질환

–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 요로폐색

– 임신중독증, 화학물질중독

– 전신홍반성낭창

– 만성 통풍

– 애디슨병

– 탈수증

– 과도한 단백질 흡수

(2) 수치가 낮을 때 :

암모니아는 간의 요소 회로에 의해 독성이 없는

요소로 바뀐 다음에 신장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에

수치가 낮다면

– 심한 간질환

– 합성 스테로이드제 섭취

– 혈액이 희석된 경우와 임신 후반기

2) Creatine

BUN 보다 사구체 여과 속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표로써

(1) 수치가 높을 때 :

– 갑상선기능항진증

– 신기능 손상

– 근이영양증

– 다발성근염

(2) 수치가 낮을 때 :

– 갑상선 기능저하증

– 간의 장애

5. 일반화학 검사

일반화학 검사로 피검사로 알수있는병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칼슘 (Calcium)

칼슘 수치를 볼 때 주의할 점은

칼슘의 33%에서 50% 정도는 Protein과

결합하기 때문에 이 수치를 보기 전에

Total protein과 Albumin 수치를 먼저

확인해야 된다는 점입니다.

(1) 수치가 높을 때 :

–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뼈로 전이된 악성 병소

(2) 수치가 낮을 때 :

– 부갑상선기능저하증

– 굶주림

– 저알부민혈증 (hypoalbuminemia)

2) Inorganic P

혈액 속 전해질 중 인 수치를 보는 것으로

칼슘과 길항작용을 하게 됩니다.

(1) 수치가 높을 때 :

– 부갑상선기능저하증

– 만성적인 신장질환에 의한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2) 수치가 낮을 때 :

– 일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비타민 D 결핍

– 제산제를 오랫동안 복용했을 때

3) Uric acid

통풍 수치라고도 불리며

(1) 수치가 높을 때 :

– 통풍

– 신부전

– 아스피린 사용, 이뇨제 사용

(2) 수치가 낮을 때 :

–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CTH) 사용

4) TIBC (Total Iron Binding Capacity)

총철결합능이라고도 불리며 혈액 속의

Transferrin과 결합할 수 있는

철의 총량을 말합니다.

철결핍 빈혈과 철대사의 지표가 되는데요.

감염성 빈혈과 악성 종양 등에서

트랜스페린이 감소했을 때

이 수치도 감소하게 됩니다.

철 결핍성 빈혈에서 이 수치가 높은 이유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철을 운반하기 위해

철을 운반하는 트랜스페린의 양을

몸에서 늘리기 때문이고

혈중 철 농도는 낮은데 TIBC는 높아진 상태이므로

트렌스페린 포화도

Transferrin saturation = Serum iron/TIBC x 100

은 낮아지게 됩니다.

염증에 의한 빈혈은 몸에 염증반응이 있을 때

염증이 있는 곳에서 철이 필요한데

이 철을 염증이 있는 곳으로 무한정 철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몸에서 철을 운반하는 양을

줄이기 위해 트렌스페린의 양을 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 식에서 TIBC는 철 결핍성 빈혈에 비해

TIBC는 감소하고 Serum iron도 모자라지 않기 때문에

트랜스페린 포화도는

정상이거나 약간 낮은 정도가 됩니다.

이 수치들로 빈혈이 있을 때

철이 모자라서 빈혈이 생기는지

아니면 염증이나 감염에 의해

빈혈이 생기는지 구분할 수 있겠죠?

(1) 수치가 높을 때 :

– 철결핍 빈혈

– 혈액 손실로 인한 이차적 빈혈

(2) 수치가 낮을 때 :

– 염증에 의한 빈혈

– 만성 감염

– 간질환

6. 일반 혈액검사 (CBC, Complete Blood Cell Count)

일반 혈액검사를 피검사로 알수있는병입니다.

1) Hemoglobin (헤모글로빈, 혈색소)

Heme은 철을 갖고 있어 산소와 결합할 수 있는데요.

혈액의 산소 운반능력을 측정하게 됩니다.

혈색소량과 적혈구 수는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철분결핍성 빈혈은 적혈구 수보다는 혈색소량이

감소된 경우를 말하고요.

악성빈혈은 혈색소량보다는 적혈구 수가

감소된 경우를 말합니다.

(1) 수치가 높을 때

– 적혈구증가증

– 탈수

– 혈액 농축

(2) 수치가 낮을 때 :

– 출혈

– 빈혈

2) HCT (Hematocrit, 적혈구 용적률)

혈액 전체 부피에 대한

적혈구 부피의 비율을 뜻합니다.

적혈구 수의 상대적인 수를

결정하는 데 가장 정확하고 간단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수치가 높을 때

– 적혈구증가증

(2) 수치가 낮을 때 :

– 빈혈

3) MCV, MCH, MCHC : 적혈구 항수 (RBC indices)

빈혈 관련 검사 시 참고할 수 있는 수치인데요.

(1) MCV : Mean corpuscular volume의 약자로

적혈구의 평균 용적을 뜻합니다.

(2) MCH : Mean corpuscular hemoglobin의 약자로

적혈구의 평균 혈색소량을 뜻합니다.

(3) MCHC :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의 약자로

적혈구 1개가 가지는 혈색소 농도의 평균을 뜻합니다.

* 참고로 빈혈이 있는 환자는 상처가 있을 때

치유가 지연되고

점막 위축

골조직의 미성숙

발육장애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4) RDW : 적혈구의 크기가 고른 지 보는 것으로

빈혈이 있을 때 수치가 변하긴 하지만

큰 의미는 있지 않습니다.

5) PDW, MPV : 혈소판 너비 및 용적과 관련된 지표이고

RDW처럼 다른 수치들과 연계해서 보지 않는 이상

큰 의미가 있지는 않습니다.

6) 백혈구 감별검사 (WBC differential count)

(1) 호중구 (Neutrophil)

수치가 높을 때 : 급성 염증, 스테로이드 복용, 당뇨, 골수성 백혈구, 임신, 월경

수치가 낮을 때 : 빈혈, 방사선 조사, 약물복용(항암제, 항갑상선제), 장티푸스

(2) 림프구 (Lymphocyte)

수치가 높을 때 : 백혈병, 결핵, 매독, 갑상선 기능 저하,세 이전

수치가 낮을 때 : 에이즈, 전신 홍반 루푸스, 급성 감염

(3) 단핵구 (Monocyte)

수치가 높을 때 : 결핵, 기생충 감염, 호지킨 병

(4) 호산구 (Eosinophil)

수치가 높을 때 : 알러지반응, 기생충 감염, 호지킨 병, 유아기

수치가 낮을 때 : 쇼크, 출혈

(5) 호염기구 (Basophil)

수치가 높을 때 : 알러지반응, 진성 적혈구 증가증, 골수성 백혈병

7. 갑상선 검사 (Thyroid test)

갑상선 검사를 피검사로 알수있는것입니다.

갑상선은 주로 음식물을 통해 섭취한

요오드를 이용해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하고

인체 내 기관의 기능을 유지합니다.

호르몬이 어린 시절에 결핍되면

왜소증이 나타나고

성인에서 결핍되면

점액 수종피부 밑에 점액이 쌓여 피부가 단단해지고

붓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T3

가장 강력한 갑상선 호르몬으로 체온, 심장 박동

성장에 관여하며 갑상선 기능의 지표가 됩니다.

(1) 수치가 높을 때 :

– 갑상선기능항진증

– 경구피임약, 스테로이드 복용

– 헤파린, 쿠마린 복용

(2) 수치가 낮을 때 :

– 갑상선기능저하증

– 경구피임약, 스테로이드 복용

– 페니토인 (항경련제, phenytoin) 복용

– 임신

2) T4 (티록신, thyroxine)

혈중에서 대부분 단백질과 결합하고

갑상선 기능의 지표가 됩니다.

(1) 수치가 높을 때 :

– 갑상선기능항진증

– 임신

(2) 수치가 낮을 때 :

– 갑상선기능저하증

– 저단백증

3) TSH (갑상선 자극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을 자극하는 호르몬으로

갑상선 호르몬의 수치에 따라

보상적으로 작용을 하게 됩니다.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낮으면 TSH 수치는

증가하여 갑상선 호르몬 분비를 촉진

반대의 경우는 TSH 수치 감소)

(1) 수치가 높을 때 :

– 시상하부, 뇌하수체 기능 과다

– 갑상선 기능저하증

2) 수치가 낮을 때 :

– 갑상선 기능 항진증

8. 소변검사

보통 건강검진할 때 소변검사도 같이 하는데요.

소변검사와 피검사로 알수있는병입니다.

기본적으로 소변 색깔을 봤을 때 살짝 투명하면서

노란색을 띠는 것이 정상인데요.

아예 색이 없는 무색뇨는 신경성 질환, 요붕증 등에

의한 신장질환으로 인해 소변이 희석 되어서

나타날 수 있고요.

우윳빛을 내는 소변은 지방, 세균 및 농의 존재

가능성이 있습니다.

각각의 수치들로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1) Specific gravity

신장의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1) 수치가 높을 때 :

– 탈수 (설사, 구토, 땀을 많이 흘렸을 때)

– 요도염, 방광염

– 당뇨

– 심부전으로 인한 신장으로의 혈액량 감소

(2) 수치가 낮을 때 :

– 과도한 수분 섭취

– 요붕증

– 신우신염

– 신부전

2) pH : 4.5 ~ 8.0의 산성을 띄는 것이 정상입니다.

8까지 알칼리까지도 정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알칼리성 음식을 먹은 후에 나올 수 있는데요.

하지만 매번 알칼리성으로 나오면

방광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3) Protein

음성으로 나오는 것이 정상이지만

열에 의해 양성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심한 운동을 한 이후,

신생아와 임산부 등에서 나오는 단백뇨는

병이 아닐 수 있습니다.

신장질환이나 골수종 (Bense-Jones 단백뇨)이

있는 경우도 단백뇨가 나올 수 있습니다.

4) Glucose

음성으로 나오는 것이 정상이지만

당뇨병, 쿠싱 증후군, Graves 병,

뇌종양과 뇌압이 증가된 상태

스트레스 등에 의해

소변에서 당이 검출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당뇨병의 경우 혈당량은 증가하지만

당이 반드시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반대로 신장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혈당량 증가가 없어도

당이 소변으로 빠져나와

당이 소변에서 검출될 수 있습니다.

5) Blood

그럼 혈뇨는 어떠한 경우에 검출될 수 있을까요?

신장/요로 결석, 결핵, 방광염, 전립선염, 종양

급성 사구체신염, 출혈성 질환이 있을 때

혈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고요.

도움이 되셨다면 즐겨찾기하고

자주 찾아와 주시고

유튜브 ‘덴티장tv’도 구독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혈액검사 보고서를 읽는 방법

저자: Metro True Care Medical, P.C.

신체검사를 할 때, 의사들은 환자들에게 혈액 검사를 하라고 항상 권장합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건강에 문제가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의사들은 예방책을 의논하거나 직접적으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심도있는 검사를 주선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환자들은 혈액 검사 후 의사로부터 “문제 없습니다” 또는 “다 괜찮습니다”라는 요약적인 대답들만 들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의사들은 혈액 검사 보고서 결과에 대해 정확하게 여러분에게 설명을 하지 않습니다.

본인의 혈액 검사 보고서를 받으면, 많은 영어와 숫자들을 보실 것입니다. 아무리 복잡하게 보일지라도, 몇가지 중요한 자료만 아시면 됩니다. 여러분께서 알아야 하는 10가지 중요한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포도당 (Glucose)

포도당은 혈액 검사를 받는 날의 피속에 있는 혈당 수치를 의미합니다. 혈당 수치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단식 상태에서 피 검사를 해야 합니다.

기준

100미만 = 정상

100- 125 = 정상 이상, 예비 당뇨

126 이상 = 당뇨

2. 헤모글로빈Alc (Hemoglobin Alc)

이것은 혈당 수치보다 더 정확한 3개월간의 평균 혈당 수치입니다. 이 수치는 환자들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 정상치보다 약간 높게 나온 경우 식사와 운동에 신경을 쓰신다면, 이 지표는 정상으로 돌아갈 수도 있거나 또는 당뇨병으로 악화되지는 않습니다.

기준

4.1-5.6= 정상

5.7-6.5= 정상 이상, 예비 당뇨

6.5 이상 – 당뇨

3. 크레아티닌 (Creatinine)

이것은 보통 1.0 미만으로서의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러나 이 수치는 나이가 들면서 증가할 것이며, 이것은 신장 기능이 퇴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수치가 지난해의 것과 큰 차이가 없으면 정상이라는 의미입니다. 만약 두 수치의 차이가 크다면 의사와 상의해서 전문의를 만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준

1.0미만 = 정상

1.0 – 1.3 이상 = 신장 장애 가능

4. AST & ALT

간 기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입니다. 만약 몸이 과다 지방, 간의 염증, 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또는 간암과 같은 심각한 상태라면, 간 기능 수치는 올라갈 것입니다.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간 초음파 또는 간 CT 스캔을 해야 합니다. 만약 검사가 정상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경우 지방간때문입니다. 식단을 바꾸고 운동을 더 해야 하며 약은 드시지 않아도 될 수 있지만 의사와 정기적으로 만나셔야 합니다.

기준

33 미만 = 정상

33 이상 = 정상 이상

5. 콜레스테롤 (Cholesterol)

콜레스테롤은 좋은 콜레스테롤(HDL), 나쁜 콜레스테롤 (LDL) 및 트리글리세라이드가 결합된 것입니다.

좋은 콜레스테롤의 정상 수치는 남자와 여자가 다릅니다. 남자는 40이상 그리고 여자는 50이상이 정상입니다. 좋은 콜레스테롤이 더 많을수록 심장을 보호하고 심장병 및 뇌졸증을 더 잘 예방할 수 있습니다.

나쁜 콜레스테롤의 정상 수치는 나이에 따라 다릅니다. 50세 미만인 사람의 정상 수치는 130 또는 미만입니다. 50세가 넘은 사람에게는 100 또는 그 미만이 최상입니다. 수치는 당뇨병 또는 심장병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뇌졸증이 있는지 등을 판단하는데 사용됩니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정상 수치는 150입니다. 200보다 높다면,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생선 기름으로 된 보충제를 의사가 권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콜레스테롤이 정상 수치인 환자들에게도 의사들은 왜 콜레스테롤 약을 권할까요?

의사는 환자의 총 콜레스테롤, 혈압, 당뇨병 병력 및 흡연을 하는지 안하는지에 근거해서 10년 이내에 뇌졸증 또는 심장병에 걸릴 가능성을 계산할 것입니다. 만약 가능성이 7.5% 또는 10% 이상이면, 의사는 환자에게 콜레스케롤 약을 복용할 것을 권합니다. 그런 경우 약 복용은 콜레스테롤이 높아서가 아니라 뇌졸증과 심장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콜레스테롤 수치만 보고 약을 복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때때로 잘못일 수 있습니다.

6. 요산 (Uric Acid)

요산이라고 불릴지라도, 소변으로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혈액으로 하는 것입니다. 아시아인들은 해산물과 술을 좋아하기 때문에 다른지역 사람들보다 통풍에 걸릴 확률이 더 높습니다. 요산이 높다는 것은 통풍 때문에 고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준

2.5-6.5= 정상

6.5 이상 = 통풍에 걸릴 가능성 있음

7. 백혈구 (WBC)

백혈구 수치가 높다는 것은 몸 안에 감기와 같은 염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백혈구 수치가 낮으면, 면역력과 항체가 약하고 쉽게 염증에 걸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때로 백혈구 수치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으면 백혈병(혈액암)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더 자세한 조사와 치료를 위해 의사와 상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기준

3.8–10. 5 = 정상

8. 헤모글로빈/적혈구 (Hemoglobin/RBC)

만약 헤모글로빈이 낮으면, 빈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빈혈은 흔한 질병입니다. 그러나 빈혈의 원인은 철분 부족, 비타민 B12의 부족, 골수 문제, 과다 생리 출혈, 소화관 출혈 등과 같이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탈라세미아(thalassemia,지중해 빈혈)라고 불리는 빈혈은 유전성 빈혈입니다. 그 환자들은 일반 사람들보다 평생동안 더 낮은 헤모글로빈을 가질 것이지만 크게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만약 수치가 너무 높으면, 피가 맑지않아 혈관이 막히게 되므로 원인을 알기 위해 혈액학 검사가 필요할 것입니다. 심각한 증상인 경우, 뇌졸증 예방을 위해 약 또는 심지어 방혈(bloodletting)이 필요합니니다.

기준

11.7 – 15.0 = 정상

9. 비타민 D (Vitamin D)

비타민 D는 뼈가 칼슘을 흡수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도록 돕습니다. 만약 비타민 D 수치가 낮으면, 의사는 정상적인 칼슘 흡수를 돕기 위해 다른 복용량의 비타민 D를 섭취하도록 환자에게 권장할 것입니다.

기준

30 이상 = 정상

10. B형 간염 표면 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및 B형 간염 표면 항체(Hepatitis B Surface Antibody)

B형 간염 표면 항원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몸에 있는지 그리고B형 간염 표면 항체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만약 환자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있다면, 얼마나 많은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만약 너무 많다면 약에 의해 통제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간경화 및 간암에 걸리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B형 간염 표면 항체가 음성이라면, 상응하는 B형 간염 항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B형 간염 백신을 맞으셔야 합니다.

기준

없음 = B형 간염 표면 항원 없음

반응 있음 = B형 간염 표면 항원 있음

위에 10가지 자료 이외에도, 다음 두가지에 유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한가지는 신진대사를 관리하는 주요 시스템인 갑상선 자극 호르몬 갑상선 기능(TSH thyroid function)입니다. 그것은 심장과 신경계에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상은 0.27부터 4.2입니다. 다른 한가지는 50세 이상의 남자들이 검사해야 하는 전립선 특이 항원 전립선 수치입니다. 만약 수치가 4.0을 넘으면,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전립선염이거나, 전립선 비대증 또는 전립선암처럼 심각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검사의 기준치는 다른 나라 또는 지역 및 심지어 다른 실험실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주어진 기준 범위에 따라 실험 결과를 비교해야 합니다.

출처:

Metro True Care Medical, P.C. , 2018 교육 세미나

차이나타운 사무실: 139 Centre Street, Ste 709, New York, NY 10013, Tel 212-965-0496

플러싱 사무실: 42-35 Main Street, Ste 3N, Flushing, NY 11355, Tel 718-961-3800

saypyw : 기초적인 혈액검사표 읽는 법

가정에서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것(홈헬스케어라고 함)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만성질환자의 경우, 자기건강을 가정에서 잘 관리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던 <의무기록사본>을 확보하여 참고하는 것입니다. 환자가 요구하면 병원은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진료를 받았던 기록이 적혀 있는 <의무기록사본증명서> 를 환자에게 주어야 합니다. 의무기록사본증명서 안에는 환자의 개인정보, 진료정보, 각종 검사정보, 처방 및 치료과정의 기록이 있습니다. 의무기록사본증명서만을 기초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환자들은 자기의 건강이 어떤 상황인가를 개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의무기록사본증명서에 나오는 각종 전문의학용어에 대하여 조사하여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대에 와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받았던 혈액검사표만이라도 읽을 수 있다면 자기와 가족의 건강관리에 대하여 주의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병원에서 검사한 수치 중에서 혈압과 혈당검사는 가정에서 가정용 혈압계와 혈당계로 수시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처방약의 효과와 건강관리의 상태를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됩니다.

과거와는 달리 지금은 혈액분석기술이 대단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혈액분석만 정확하게 하여도 암을 예측할 수 있는 시대에 와 있으며, 중병이 걸리기 전에 예방할 수 있는 계기도 됩니다. 따라서 병원에서 정기검사를 받으신 분들은 이제 <의무기록사본증명서> 를 병원으로부터 받아서 가정에서 파일화 시켜 놓고서 자기의 건강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먼저 인식하여야 합니다. 의료법 제20조 (기록 열람 등)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종사자는 이 법 또는 다른 법령에서 특히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환자에 관한 기록의 열람·사본교부 등 그 내용 확인에 응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환자, 그 배우자, 그 직계 존비속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배우자·직계존비속 및 배우자의 직계존속이 없는 경우에는 환자가 지정하는 대리인)이 환자에 관한 기록의 열람·사본교부 등 그 내용확인을 요구한 때에는 환자의 치료목적상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개정87.11.28, 94.1.7, 2000.1.12>

보건복지부 의정 65507-796 (2000.7.11)

의료법 제20조항의 목적은 환자본인의 알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환자본인이 열람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그 배우자 등도 원칙적으로는 열람할 수 없을 것이며 또한 이 경우 사안에 따라 환자의 권리침해에 따른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보건복지부 의정 65507-275 (2003.9)

환자의 가족 또는 그 대리인이 진료기록 사본 발급을 요청할 때에는 신청서를 작성하고 환자가 직접 작성, 날인한 위임장이 첨부되어야 한다. (다만, 환자가 사망, 의식불명, 미성년자의 경우일 때에는 환자의 보호자 또는 대리인이 환자를 대신한다.) 위임장에는 위임자와 피위임자의 인적사항 및 위임의 내용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하며, 이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인감증명서가 제시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혈액검사표의 가장 위에 환자의 이름과 담담의가 나오고 그 밑에 각종 혈액성분, “Out Range Value(범위에 벗어난 수치), Within Range (범위내)” “Reference Range(표준범위, 참고범위, 정상범위)” 가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참고치[정상범위]가 나오기 때문에 자신이 측정한 혈압이 정상적인 범위에 들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액성분의 항목과 정상범위는 다음과 같으며, 병원에 따라 분석한 기관에 따라 정상범위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정상범위에서 벗어나 높을 때는 [H 또는 ▲표시], 낮을 때는 [L 또는 ▽]가 표시됩니다. 혈액검사&생화학검사사례 검사명 단위 정상범위

[참고치] 검사치

[20XX.XX] WBC (백혈구) ×103/㎕ 4.0~11.0 6.0 RBC (적혈구) ×106/㎕ 4.2~6.0 ▽3.38 MCV(적혈구평균용적) fL 82~95 93 RDW (적혈구용적분포) 10±2.5 12.4 MCH(평균 혈색소량) pg 27~32 30 MCHC(평균혈색소농도) % 30~35 32 HGB (혈색소/헤모글로빈) g/㎗ 12.6~16.4 13.2 HCT (헤마토크리트) % 38~52 40.7 PLT (혈소판) ×103/㎕ 150~450 170 MPV(평균혈소판량) fL 8-13 10 NEUT (호중성백혈구) % 40~70 51.6 LYMPHO (림프구) % 20~40 33.8 MONO (단핵구) % 2~10 8.1 EOSINO (호산구백혈구) % 1~4 2.2 BASO (호염구백혈구) % 0~1.0 0.3 Glucose (혈당) ㎎/㎗ 70~110 99 Protein (단백질) g/㎗ 5.9~8.2 6.1 Albumin (알부민) g/㎗ 3.5~4.8 4.1 Globulin (글로부린) g/㎗ 1.9~4.0 4.0 Cholesterol(콜레스테롤) ㎎/㎗ 110~240 ▲250 T.G. (중성지방) ㎎/㎗ 60~160 ▲180 HDL콜레스테롤 ㎎/㎗ 30~75 58 LDL 콜레스테롤 ㎎/㎗ 70~170 ▲175 Bilirubin (빌리루빈) ㎎/㎗ 0.1~1.5 0.8 AST(GOT) IU/ℓ 10~40 30 ALT(GPT) IU/ℓ 5~50 40 BUN (요소) ㎎/㎗ 10~26 13.7 Ca (칼슘) ㎎/㎗ 8.8~10.5 9.3 P (인) ㎎/㎗ 2.5~4.5 3.2 Na (나트륨) ㎎/㎗ 135~145 138 K (칼륨) ㎎/㎗ 3.5~5.5 4.2 표준혈액검사

———————————————————————— O 적혈구수(RBC, Red Blood Count)

O 헤모글로빈(HB, Hemoglobin)

O 헤마토크리트(HCT, Hematocrit)

O 적혈구평균용적(MCV, Mean corpuscular volume)

O 평균 혈색소량(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O 평균혈색소농도 (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O 적혈구용적분포(RDW, Red cell distribution width)

산소를 이동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적혈구의 수명은 120일 정도이며, 영양실조가 될 때 적혈구수는 줄어듭니다. 암환자들의 특징은 거의 대부분이 적혈구수의 감소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환자는 63~85% 정도가 빈혈과 영양실조를 겪습니다. 적혈구수의 변화를 통해서 영양공급의 균형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적혈구의 원료는 <물과 음식과 공기> 이며, 다른 어떤 것도 없습니다. 세포에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면 수많은 질환이 일어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산소부족이 일어나면 당장에 심장과 뇌의 세포가 타격을 받게 됩니다. 적혈구 안에 있는 헤모글로빈수와 헤마토크리트의 수가 감소하면 빈혈이나 영양실조 또는 소모성질환질환을 가진 것을 뜻합니다. 적혈구의 평균크기, 비타민B12가 부족하여 빈혈이 일어날 때 표준사이즈보다 적혈구가 더 커질 때 MCV수치는 증가합니다. 반대로 표준사이즈 보다 적혈구가 적어질 때 MCV수치는 감소합니다. 일반적으로 철분이 부족일 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MCH는 적혈구내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의 평균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적혈구내에 산소를 이동하는 헤모글로빈의 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직경이 큰 적혈구는 표준사이즈 또는 작은 적혈구 보다 높은 MCH값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CHC는 적혈구내에 있는 헤모글로빈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헤모글로빈 분포량이 철분결핍으로 적혈구 안에서 낮아지면 MCHC 값은 낮아집니다. 적혈구 분포대역(RDW)은 적혈구사이즈의 변화를 계산한 것입니다. 내가 정상적인 식생활을 하고 있는지, 식생활을 잘 하고 있지만, 섭취한 영양소가 혈액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하여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적혈구수치와 헤모글로빈수치와 헤마토크리트수치를 보는 것입니다.

O 백혈구수(WBC, White Blood Count)

O 호중성백혈구(Neutrophils)

O 림프구(Lymphocytes)

O 단핵구(Monocytes)

O 호산구백혈구(Eosinophils)

O 호염기성백혈구(Basophils)

O 호중성백혈구 절대치 (Neutrophils, ABS)

O 단핵구 절대치(Monocytes, ABS)

O 호산구백혈구 절대치(Eosinohpils, ABS)

O 호염기성백혈구 절대치 (Basophils, ABS)

백혈구는 많아도 문제, 적어도 문제이니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림프구는 면역세포인 B세포, T세포, NK세포, LAK세포, NKT세포를 총칭하는 것으로 림프구가 감소되면 암세포와 제대로 싸울 수가 없게 되어 환자는 더욱더 힘들게 됩니다. 면역력이 이 림프구에 의해 좌우되는 것인 만큼 림프구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호중구백혈구가 높아지는 것은 스트레스, 긴장 등 교감신경이 몸을 지배하고 있거나 체내 염증이 발생한 것을 나타낸 것일 수도 있습니다. 백혈병환자들이나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경우에 백혈구수치와 림프구수치의 변화가 대단히 심하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병원에서는 항암치료 전후에 백혈구의 수치 변화를 보면서 치료의 시기 등을 결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일단 표준범위 안에 있지 않는 상태에서 항암치료 또는 방사선치료를 받게 되면 감염에 노출된다는 정도는 인식하고 있어야 합니다. 백혈구와 림프구가 감소된 상태에서 겨울철에는 외출을 삼가하여야 하며 철저하게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녀야 감염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든 음식을 익혀서 먹어야 하며, 외출에서 돌아오면 손과 발을 씻는 습관도 가져야 합니다. 평소에 빈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독한 해열제 또는 소염진통제를 장기간 과잉복용을 하여도 백혈구 수치가 급격하게 감소될 수 있습니다.

O 혈소판 (Platelets) O 평균혈소판량 MPV (Mean Platelet Volume)

혈소판량도 지나치게 높아도 낮아도 문제입니다. 지나치게 높게 되면 혈액이 심하게 응고되어 혈관폐색을 일으킬 수 있고, 지나치게 낮게 되면 지혈이 잘 되지 않거나 염증이 치료되지 않습니다. 백혈병환자들은 혈소판의 수치가 지나치게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O 혈당(Glucose) O 단백질(Protein)

O 글로부린(Globulin):

O 요산(BUN, Blood Urea Nitrogen)

O 크레아틴(Creatine)

O 나트륨(Sodium)

O 칼륨(Potassium)

O 염소(Chloride)

O 칼슘 (Calcium) 혈당치를 알게 되면 당뇨병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다. 높아진 혈당치(120이상)를 보고서 매일 식사내용에 대한 관리와 운동량을 조절 할 수 있으며, 처방약의 효과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부민과 글로부린과 요소와 크레아틴과 혈중요산치는 섭취하는 단백질대사와 노폐물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요소와 크레아틴과 요산치가 높게 되면 통풍이 오거나 결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신우염, 신장염, 신장기능부전을 예상할 수 있고 신장투석의 여부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전해질 (칼륨, 나트륨, 염소, 칼슘) 수치의 변화를 통해서 미네랄섭취량에 대한 여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 알부민(Albumin)

O AST (SGOT, aspartate aminotransferase)

O ALT(SGPT, alanine aminotransferase)

O 총빌리루빈 (Bilirubin, Total)

간염과 간기능저하가 되면 SGOT와 SGPT치는 급격하게 증가되며 적혈구의 노폐물인 총빌리루빈수치도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이 세가지 수치는 간질환과 간기능저하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관찰대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나치게 많은 처방약들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처방약들이 간을 손상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약의 투여량을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간을 손상시키는 처방약을 조절할 필요성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다음은 간염에 걸렸는지, 항체가 생겼는지, 간염바이러스가 증식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알부민은 혈청 단백질의 50 – 60%를 차지하며, 간에서 만들어집니다. 알부민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간에서 생산되는 주요 단백질입니다. 따라서 기능을 하는 간세포의 수가 충분치 않으면 알부민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못하여 혈청 알부민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혈청 알부민 농도 역시 잔여 간기능의 정도를 시사하는 지표 중의 하나입니다. 알부민 치가 낮으면 몸이 붓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O 표면항원 (HBsAg):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 유무를 알 수 있는 검사. B형 간염바이러스의 껍데기 성분으로서, 피검사에서 양성이면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O 표면항체 (HBsAb): 표면항원에 대하여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는 항체로서, 피검사에서 이것이 양성이면 B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갖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표면항원이 양성인 사람, 즉 이미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 사람은 표면항체가 음성으로 나타납니다.

O B형간염 e항원(HBeAg):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항원물질로 혈청에서 검출되기 때문에 바이러스 증식의 지표로 활용합니다. 한마디로 이 수치는 B형 간염바이러스의 증식 과정 중에 만들어지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표면항원이 양성인 경우에만, 즉 현재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검사에서 이것이 양성이면 바이러스의 혈중 농도가 높고, 바이러스 증식이 활발하고, 전염력도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형 간염에 대한 항(抗)바이러스 치료를 할 경우에 e항원이 없어지는 것이 치료 반응을 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O B형간염 e항체(HBeAb): HBeAg에 대한 항체. 만성활동성 간염이 있는 환자에서 간기능이 정상화 되면서 HBeAg이 음성이 되고, HBeAb가 양성이 되는 것을 혈청전환(seroconversion)이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이 수치는 e항원에 대해 우리 몸이 만들어 내는 항체입니다. e항원의 소실은 대개 e항체의 생성을 동반합니다. 따라서 e항원이 음성이고 e항체가 양성이면 B형 간염바이러스의 증식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O B형간염 core항원(HBcAg):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과정에서 출현하는 항원물질이나 혈청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B형 간염바이러스의 알맹이 성분입니다. 피검사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간 조직에서만 검출될 수 있습니다. 일상적으로 시행하는 검사는 아닙니다.

O B형간염 core항체(HBcAb): core항원에 대한 항체로 혈청에서 검출되며 과거 B형 간염에 감염되었었음을 반영하고, IgM anti-HBc Ab는 최근의 B형 간염 감염을 반영함. 단, 활동성 간염시기에도 IgM anti-HBc Ab가 검출될 수 있슴. 예방접종을 받고 HBsAb가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HBcAb가 음성으로 나타나나 자연면역으로 B형 간염 항체가 형성된 경우에는 HBcAb가 양성으로 검출됩니다. O B형간염 핵항체(HBcAb(IgG), hepatitis B core antibody): B형간염 핵항원에 대해서 우리 몸이 만들어내는 항체입니다. 피검사에서 이것이 양성이면 우리 몸이 B형 간염바이러스에 노출된 적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현재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거나 또는 과거에 몸에 들어왔다가 흔적만 남기고 사라졌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O B형간염B DNA복제수 (Hepatitis B viral DNA copies): 100 IU/mL이하가 정상이며, 활동성 간염이 있는 사람들은 이 수치가 수만에서 수억까지 증가할 수 있다. DNA는 B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를 구성하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피검사에서 이것이 양성이라는 것은 현재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다는 것이고, 그 농도가 높으면 바이러스 증식이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임상적으로는 e항원과 더불어 항바이러스 치료의 반응을 보는 용도로 많이 씁니다.

O B형간염 복제수 (Hepatitis B copies) :160 copies/mL 이하가 정상이며, 활동성이 되면 수천에서 수십만까지 증가할 수 있다. 간염균을 억제하는 약들을 복용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으며 매일 복용하는 간염치료제의 약효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이다.

O B형 간염바이러스 DNA 중합효소 연쇄반응법(HBV DNA PCR, hepatitis B viral DNA 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 연쇄반응법(PCR)이란 유전물질인 DNA를 수백만배로 증폭함으로써 미량의 DNA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검사의 예민함은 다른 검사의 추종을 불허하며, 검체 내에 들어 있는 한두 마리의 바이러스 조차도 찾아낼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러나 검사가 너무 예민하여 주의하지 않으면 가짜 양성(위양성 僞陽性)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는 항바이러스제 치료 후에 반응을 보는 지표로 사용하거나, B형간염 표면항원이 음성인 환자에서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정밀 검사로 사용합니다.

O C형 간염바이러스 항체검사 (HCV Ab, anti-HCV antibody): C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면 C형 간염바이러스 구성 물질에 대한 항체가 몸에 형성됩니다. 피 속에 이러한 항체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현재 몸 속에 C형 간염바이러스가 들어와 있거나 과거에 들어 온 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기능검사나 진찰 소견 상 만성간질환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anti-HCV가 양성이면 그 사람은 현재 만성C형간질환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나 정상인에서는 anti-HCV가 양성일 경우라도 가짜 양성(위양성 僞陽性)이 적지 않습니다(40-50% 정도). 이 경우 현재 C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지 확실히 알려면 C형 간염바이러스 자체를 직접 검출해야 하고, 그 방법은 나중에 언급할 HCV RT-PCR 검사입니다.

O RIBA 검사(Recombinant immune blot assay): anti-HCV 항체 검사는 가짜 양성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검사 결과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신빙도를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시행하는 검사가 RIBA 검사입니다.

O C형 간염바이러스 RNA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 (HCV RNA RT-PCR, HCV RNA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C형 간염바이러스의 유전자는 RNA라는 물질로 되어 있습니다. RNA에 바로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적용할 수는 없고 역전사(逆轉寫 reverse transcrition)라는 과정을 거쳐 DNA로 바꿔 준 후에 중합효소 연쇄반응법(PCR)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CV RNA RT-PCR이란 미량의 C형 간염바이러스를 검출해 내는 방법으로서 이 검사가 양성이면 현재 몸 속에 C형 간염바이러스가 증식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임상적으로는 C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을 확실하게 확인하거나 항바이러스제 치료 후 치료 반응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무증상 환자에서 나타난 간기능검사 이상 흔히 ‘간기능 검사’라 함은 생화학적 간기능검사를 의미하며, 안전하고 저렴하며, 동반되는 위험이 없으므로 간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가장 먼저 시행되는 검사이며, GOT, GPT, alkaline phosphatase, albumin, total protein, bilirubin, gamma GTP, cholesterol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상적인 간기능검사는 간손상의 정도와 질환을 매우 예민하고 특이적으로 진단하고 다른 간손상 이외의 진단을 배제할 수 잇어야 한다. 또한 간질환의 범주를 결정하고 예후를 알려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런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단일검사항목은 없다. 즉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간기능검사는 진행된 간질환(예: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에서도 정상소견을 보이기도 하고 간이외 다른 질환(예: 임신, 심근경색, 신부전)에서도 이상소견이 나타나는등 비특이적인 경우가 많아 간질환을 확진하는 데는 쓰이지 못하고, 주로 간질환의 범주를 크게 구분하여 (예: 간실질성 혹은 폐쇄성) 다음 시행할 검사를 선택하는 데 실마리를 주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각 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상세한 병력(예: 수혈, 약물, 가족력, 황달, 동통, 소양증, 체중감소)과 정확한 이학적 소견들(예: 황달, spider angioma, 복수, 간 혹은 비장종대, 수장홍반, asterixis, 고환위축)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최근 자동화된 임상화학검사가 일반화되고,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정기적 건강검진의 빈도가 늘면서 우연히 발견된 간기능검사의 이상을 자주 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환자의 대부분은 무증상이고 외견상 건강해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임상의가 그 의미를 축소해서 간질환을 놓치는 경우도 있고 확대해석해서 과잉진료를 하는 경우도 있다.

빌리루빈(bilirubin) 특별한 증상이 없어 빌리루빈의 증가를 주소로 내원 또는 의뢰되어 온 환자는 총 빌리루빈수치에서 직접빌리루빈수치의 비를 확인해야 하며 비포합빌리루빈수치가 주로 증가한 경우 말초혈액검사와 망상적혈구수등으로 용혈성 혈액 질환여부를 확인하다. 용혈성 질환의 증거가 없으며 다른 간기능검사에 이상이 없고 HBsAg과 anti-HCV가 모두 음성이면서 만일 증등도이하의 빌리루빈 증가만을 보인다면, 그 원인으로는 양성 유전성 질환인 길버트 증후군일 가능성이 제일 높으므로 금식, 고열등 최근 빌리루빈 상승을 초래하는 유발인자가 있었는지를 찾아본다. 그 외 간경변등의 만성 간질환에서도 간접빌리루빈이 증가하는 수가 있으므로 신체검진상 만성 간질환에 합당한 특이 진찰소견이 있는지를 꼭 확인해야 한다.

Aminotransferase (GOT, GPT) 수치가 500IU/L이상으로 증가하였을 경우는 바이러스나 약물에 의한 급성 간염을 감별진단해야 한다. 그러나 이들 간효소의 증가와 간실질의 과사정도는 연관성이 적어 간질환의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로는 쓸 수 없다. 300IU/L이하일 경우는 당뇨, 과다음주의 병력을 확인하고 신체검진상 만성 간질환의 특징인 거미상 혈관종이나 간, 비장종대등을 찾는다. 만성 음주력을 보이며 GOT/GPT비가 2이상이면 알콜성 간질환일 확률이 높다. B나 C형 간염 바이러스 표지자검사(HBsAg 및 anti-HCV), 혈소판의 수와 간기능검사에서 ALP를 확인한 뒤 상기검사들이 음성이면 감별진단에 체중이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즉 정상보다 120%가 넘으면 체중감소를 시도한후 GPT의 감소여부를 확인하고, 100%이하이면 만성 간질환의 가능성이 높아 거기에 따른 진단적 접근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체중이 100-120%사이라면 간조직검사에 의해서만 지방간성 병변과 만성 간질환의 감별이 가능하다.

Alkaline phosphatase(ALP) 증상이 없이 ALP가 증가한 경우 먼저 GGT의 동반상승여부를 확인하여 간담도계 질환인지 간이외의 다른 질환인지를 감별한다. 정상치의 3배이상 증가한 경우에는 간초음파를 시행하여 담도 폐쇄성질환여부를 확인한다. 증상이 없이 지속적으로 ALP가 증가된 환자들은 여러 자세한 검사를 하여도 뚜렷한 진단이 나오지 않은 경우가 많다.

Gamma-Glutamyl Transpeptidase(GGT) 이 효소는 술, phenytoin, barbiturate, warfarin, 삼환계 항우울제, 진정제등에 의해 활성화되므로 무증상의 GGT상승이 주소일 때는 술, 약물등의 병력을 확인해야 한다. 특히 10년이상 만성 과음(>60g/day, >소주 6잔/일)시에는 ALP상승에 비해 GGT상승이 높은데, 이들을 2주간 금주시키면 GGT가 50%정도 떨어져 GGT의 증가가 술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는 방법이 된다. 그러나 이때에 GGT의 상승이 곧 알콜성 간질환이나 지방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만성 음주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금주후 일단 감소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면 다시 음주를 시작한 것을 의미하며 금주를 잘 지키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로 유용하다.

[결론] 모든 질환의 진단적 접근에서와 마찬가지로 무증상이며 간기능검사에 이상을 나타내는 환자의 접근에서도 문진과 신체검진이 가장 중요하다. 즉 우선 병력청취시에 약제, 음주경력을 자세히 물어보아야 하며 간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을 자세히 몰어보아야 한다. 신체검진상 만성 간질환의 특이소견의 유무를 확인한다. 만성 간질환은 6개월이상 지속되고 검사수치가 증감하므로 정상소견이 나타나더라도 6개월이상 추적검사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만성 간질환도 흔하지만, 양성 질환인 길버트 증후군이나 지방간도 흔하므로 그 가능성을 모두 감별진단에 임해서 과소평가나 과잉진료를 지양해야 한다. 간초음파는 폐쇄성 간질환과 악성 종양에는 적응증이 되나 만성 간질환과 지방성 간질환을 감별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질 않는다. 간조직검사는 간질환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객관적인 검사이며 기대하지 않았던 치료가능한 간질환을 드러내기도 한다 암종양표지자 (Tumor Markers)

여성들은 유방암과 자궁 경부암과 난소암 등을 굉장히 두려합니다. 남성들은 폐암, 위암, 간암, 전립선암, 대장암 등에 대해서 두려워 합니다. 그래서 자연치료법에 대한 도움을 요청받을 경우가 많습니다. 정밀혈액검사를 하게 되면 암종양지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는 정기검사를 하였다면, 혈액결과와 암표식(Tumor Marker) 검사결과치를 가지고 있는 것은 중요합니다. 혈액성분을 분석하는 의료기술이 굉장히 발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초음파진단기, CT, MRI기술도 상당히 발달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혈액성분분석과 초음파진단과 CT, MRI상에도 나타나지 않는데도 몇 차례에 걸려 생검(Biopsy, 살점을 검사하는 방법)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환자들의 진을 빼는 일이 있습니다. 암이 전이될 정도라면 기본적으로 혈액 안에 종양표식이 나타나게 되어 있습니다.

일반인들은 무조건 가만히 있지 말고 “혈액성분분석과 화상검사를 통해서 암지표를 어떻게 보는 것인가” 에 대해서 끈질지게 의사로부터 확인을 요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혈액성분과 화상검사에서 전혀 이상이 없는데도 수 차례에 걸쳐서 생검을 계속 하자고 하는 의사에 대해서는 일단 의심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종양 표지자란, 암세포가 있는 것을 나타내어 주는 물질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다시 말해「암세포가 만드는 물질, 또는 체내의 정상세포가 암세포와 반응해서 만드는 물질 중 혈액이나 조직, 배설물 등에서 그 물질을 거사하는 것이 암 진단이나 치료의 지표로서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종양 표지자로는 정상적인 태아에게도 나타나는 「태아성암항원」인 CEA와 AFP가 대표적이고, 이외에도 당단백질, 호르몬, 효소, 혈액응고에 관계된 물질 등 많은 종류가 있어, 30가지 정도가 혈액과 소변을 이용한 임상검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 종양표지자 항체는 암조직의 자세한 성질을 현미경 표본으로 조사할 때에도 사용됩니다.

종양 표지자의 검사를 이용해서 몸에 암이 있는지, 암세포의 성질이 어떤지, 어떤 치료가 효과적인지, 수술후의 잔류암은 없는지, 그리고 재발하지는 않았는지 등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종류의 종양 표지자는 암과는 상관없이 증가하는 등, 불확실한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것만으로 암의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종양 표지자의 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암에 걸리기 쉬운 사람의 선별검사

(2) 위험도 높은 그룹의 추적

(3) 암 유무 진단의 보조

(4) 암 종류의 감별

(5) 암의 진행 정도 진단

(6) 예후(암이 생긴 사람의 장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의 추정

(7) 암의 치료효과와 경과 관찰

(8) 재발의 발견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암과 표지자의 특징에 따라 검사의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암종양표지자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으면서 치료의 효과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 종양표지자 검사 종류]

O CA-125 검사: 이 수치는 난소암을 유발시키는 세포를 포함한 여러가지 다양한 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입니다. 혈액 속의 CA-125 수치는 난소암을 가진 여성에게서 상승함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CA-125의 높은 상승은 다른 암에서도 나타나며, 암 소견상 음성 상태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O PSA (Prostate Specific Antigen) 검사: 전립선에서 생성되는 분해효소로 악성상태가 아닌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의 감염 혹은 염증 소견시, 전립선암일 경우 이와 같은 질환에 걸린 남자의 혈액 내에서 높은 상승을 보입니다. 체지방이 30%이상인 남성들은 반드시 PSA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O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검사: CEA는 당단백의 일종으로 직장암, 결장암에서 흔히 증가됨을 볼 수 있으며, 기타 위장관, 유방, 폐, 난소, 전립선, 간, 췌장암 등에서도 그 수치가 증 가합니다. 뿐만 아니라 악성종양 환자가 아니더라도 흡연자이거나 나이가 많은 경우에도 증가합니다. CEA 수치는 외과적 절제수술 후나 치료의 효과를 보기위해서 환자의 치료 경과를 살펴보는데 유용합니다. 또한 종양의 재발이나 타 장기로의 전이를 확인 하는데에 중요하며, 화학적, 방사능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한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O AFP (α-Fetoprotein) 검사: AFP는 당단백으로, 태아 단백질입니다. 태아에서는 AFP가 간, 난황(Yolk sac), 소화기계에서 생성되고 임신 13주에 최고치에 도달 후 점차 감소하여 생후 성인 정상치에 이른다고 합니다. 임신 중 모체 혈청 AFP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태아의 선천성 질환 중 개방성 신경관손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주로 간질환 (간경변, 간염), 전이성 간암, 간세포암, 난소와 고환의 germ cell tumor가 있는 경우 증가 합니다.

O CA 19-9 검사: 주로 췌장암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이며, 췌장암의 치료경과 관찰시 용이하게 이용됩니다. 소화기암의 혈청 종양표지자로 간경변이나 간염, 만성췌장염, 담석증의 질환에서도 약간 증가되며, 특히 췌장암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O SCC 항원 검사: SCC항원은 폐, 자궁경부, 식도, 피부 및 두경부 암 등의 편평세포 암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폐암은 주로 편평세포암종, 선암종 및 소세포암종을 대상으로 측정됩니다. 정상은 1.5ng/mL 이하입니다.

O Ferritin 검사: 페리틴은 생체 내에 철을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단백으로서 각종 혈액질환에 철저장 및 철대사의 지표로서 피검사로 측정되고 있습니다. 철결핍 상태에서 낮아지며, 재생불량성 빈혈, 철적아구성 빈혈 및 용혈성 빈혈 등에서는 증가합니다. 정상치는 남자는 10-190ng/mL, 여자는 5-80ng/mL입니다.

현대의학에서 혈액검사만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암종양표식자는 다음과 같다. 순서는 알파벳순이며, 괄호 안은 정상범위입니다.

————————————–

ACT (21-38mg/dl) 뇌종양·백혈병·위암·폐암

AFP (10ng/ml이하) 간세포암·전이성 간암

BCA225 (160U/ml미만) 원자력 발전 유방암·재발 유방암

BFP (75ng/ml이하) 원자력 발전성 간암·담관암·췌암·신암·전립선암·고환암·자궁체암·난소암·폐소 세포암·백혈병

CA15-3 (30U/ml이하) 원자력 발전 유방암·재발 유방암

CA19-9 (37U/ml이하) 췌암·담관암·소화기암·난소암·자궁체암·폐암

CA50 (35U/ml이하) 간암·담관암·소화기암·난소암·자궁체암·폐암

CA72-4 (4.0U/ml이하) 위암·대장암·난소암·췌암·폐암·간암·담관암·유방암

CA125 (35U/ml이하) 난소암·간암·담관암·췌암

CA130 (35U/ml이하) 난소암·자궁목암·폐암·간세포암·췌암·담관암·자궁체암·위암·대장암

CA602 (63U/ml이하) CA130/CA125와 동계

CEA (2.5ng/ml이하) 결장암·직장암·췌암·담관암·폐암·위암·갑상선암·유방암·비뇨기암·자궁암·간세포암·식도암·난소암

DUPAN-2 (400U/ml이하) 췌암·담관암·간세포암·식도암·위암·대장암

HCG-β (0.2ng/ml이하) 포도상 귀태·융털 돌기암·이소성HCG세균이 고분자물질을 생합성하는 종양

IAP (500μ/ml이하) 담낭암·신경아종·백혈병·웃턱암·식도암·췌암·난소암·신암·폐암·담관암·구강암·요로 성기암·대장암·갑상선암·악성 임파종·위암·방광암·고환암·전립선암·자궁목암·간암·유방암

ICDH (3-10U/l) 간암·전이성 간암

KMO-1 (5300U/ml이하) 췌암·담낭암·담관암·간암·위암·대장암·난소암·폐암

αMarogloblin (120-320mg/dl) 조혈기 종양·뼈 전이를 수반하는 전립선암·말기암

NCC-ST-439 (7.0U/ml이하) 췌암·담관암·위암·난소암·자궁체암

NSE (10ng/ml이하) 신경아세포종·폐소 세포암·유방암·난소암·식도암·위암·췌암·대장암·갑상선암·갈색 세포종·gastrinoma·인스리노마·카르치노이드

PAP (3.0ng/ml이하) 전립선암

PIPC (160ng/ml이하) 전립선암의 뼈 전이

PIVKA-Ⅱ (40mAU/ml미만) 세포암

PSA (4.0ng/ml이하) 전립선암

PTHrP (1.1pmol/l이하) 고칼슘혈증을 수반하는 악성 종양·성인 T 세포 백혈병

SCC (1.5ng/ml이하) 자궁목암·질암·외음암·피부암·식도암·폐암·상기도암·두경부암·기형종·방광암

sICAM-1 (75U이하) 췌장암·담낭암·위암·β세포 백혈병·ATL

SLX (38U/ml이하) 폐암·췌암·담관암·난소암·식도암·위암·대장암·간암·자궁암

γ-Sm (4.0ng/ml이하) 전립선암

SP1 (4.0ng/ml이하) 융털 돌기암·난소암·고환 종양·폐암·유방암·소화기암

SOD (150ng/ml이하) 난소암·간암·위암·백혈병

Span-1 (30U/ml이하) 췌암·담관암·간세포암·위암·대장암·식도암·폐암·악성 임파종

STN (45U/ml이하) 난소암·위암·대장암·췌암·폐암

TK활성 (5U/I이하) 급성 골수성 백혈병·급성 림프액성 백혈병·악성 임파종·악성 종양

TPA (70U/I이하) 유방암·폐암·위암·대장암·원자력 발전성 간암·담관암·췌암·방광암·전립선암·불알암·난소암·자궁목암·갑상선암·육종·악성 흑색종·임파종·백혈병

YH-206 (25U/ml이하) 췌암·위암

제대로 알아보자 혈액 검사 상세 항목

흰 것은 종이고 검은 것은 글씨로다.

Hgb, 14g/dL, 적혈구수, 호중구… 일단 검사는 받았는데 검사결과가 대체 무슨 말을 하는지 몰라 답답했던 경험 있으시죠?

이번 주는 지난 주에 소개했던 혈액 검사의 결과 해석에 대한 내용을 준비했어요.

따끔- 주사바늘에 찔려가며 뽑아냈던 피가 내 건강을 어떻게 나타내는지 알아봐요.

혈액 검사 종류를 알아보자!

적혈구 수 (RBC)

적혈구는 폐와 신체 여러 기관 사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요. 남성의 정상치는 ㎕당 약 430만~580만, 여성은 300만~500만인데, 이것보다 높거나 낮으면 적혈구증가증, 폐질환 등과 관련 있을 수 있어요.

혈색소 (Hb, Hgb)

혈색소는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해요. 남성의 정상치는 1dL당 14.0~18.0g, 여성은 12.0~16.0g이며, 혈색소가 감소하면 장기 조직들에 산소 결핍으로 인해 적혈구증가증, 빈혈 등 각종 혈액질환이 나타날 수 있어요.

적혈구용적 (HCT)

적혈구용적은 혈액 내 적혈구의 비율을 말해요. 남성의 정상치는 39-52%, 여성은 36-48%이며, 증가하는 경우는 적혈구증가증을, 감소하는 경우는 빈혈을 의심할 수 있어요.

적혈구 분포 (RDW)

적혈구분포는 적혈구 집단 중에서 적혈구 크기의 분포 정도를 말해요. 정상 범위는 11.5~14.5%인데, 만성질환성 빈혈의 경우에는 분포 폭이 증가하지 않아서 철결핍성 빈혈과 만성질환성 빈혈을 감별하는 데 유용해요.

적혈구침강속도 (ESR)

ESR은 시간에 따른 적혈구의 침강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염증이나 종양 등에 의한 조직파괴 또는 혈장단백이상을 반영하는 검사예요. 정상 범위는 남성과 여성의 경우 각각 0~10mm/hr, 0~20mm/hr인데, 이를 초과한 증가는 폐렴, 기관지염, 신우신염, 골수종, 백혈병 등과 관련되어 있어요.

백혈구 수 (WBC)

백혈구는 감염이 있을 때 신체를 방어하고 면역반응에 관여해요. 정상치는 ㎕당 5000~10000인데, 이상 수치는 백혈병, 감염증, 빈혈 등 다양한 질환과 관련되어 있어요.

호모시스테인 (Homocysteine)

호모시스테인은 황을 포함한 아미노산으로, 동맥에 손상을 입히는 주요인이 되는 물질이에요. 일반적으로 5.0~15.0 umol/L의 극소량이 존재하는데, 혈액 내에 많아지면 동맥의 혈액 순환을 차단해서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요.

단핵구 (Monocyte)

단핵구는 비과립성 백혈구의 한 종류로, 식균작용을 하며 박테리아와 싸우는 역할을 해요. 수치의 정상 범위는 2.0~8.0%로, 이보다 증가 시 급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단핵구성 백혈병, 악성 림프종, 용혈성 빈혈, 결핵, 매독 감염증, 아급성 심내막염 등을 의심할 수 있어요.

호중구 (Neutrophil)

호중구는 과립성 백혈구의 한 종류로, 세균 감염이 있을 때 세균을 둘러싸고 파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정상치는 40.0~60.0%로, 수치의 증가는 세균 및 진균 감염, 심근경색, 당뇨병, 종양괴사, 그리고 감소는 풍진, 수두, 홍열 등과 관련되어 있어요.

호염구 (Basophil)

호염구는 과립성 백혈구의 한 종류로, 가장 적은 수를 차지해요. 호염구 수치의 정상 범위는 0~1.0%로, 호염구증가증은 내분비질환, 결핵 혹은 바이러스 감염, 종양, 알레르기 또는 염증반응 등과 관련되어 있어요.

이번에는 혈액 검사 중 전해질 검사 항목만 알려드렸어요. 혈액 검사로 알 수 있는 정보가 정말 많은 만큼, 혈액과 관련된 질병도 무수히 많아요.

이 항목들을 잘 이해하고 의심가는 질환은 꼭 상담하시길 바라요.

키워드에 대한 정보 혈액 검사 결과 지

다음은 Bing에서 혈액 검사 결과 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피검사 결과지 들고 줄 그으면서 보는 영상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피검사 #결과지 #들고 #줄 #그으면서 #보는 #영상


YouTube에서 혈액 검사 결과 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피검사 결과지 들고 줄 그으면서 보는 영상 | 혈액 검사 결과 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대학 자기 소개서 지원 동기 | 고대생이 알려주는 혼자서도 잘 쓰는 자기소개서! (지원동기편) 8712 좋은 평가 이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