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고양이 다리 절뚝 – [옆집수의사]고양이가 다리를 절어요“?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th.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th.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옆집수의사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6,407회 및 좋아요 10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고양이 다리 절뚝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옆집수의사]고양이가 다리를 절어요 – 고양이 다리 절뚝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고양이가 다리를 절고 제대로 걷지 못한다면 뭐가 문제일까요?
#옆집수의사
고양이 다리 절뚝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고양이 다리절음 원인 – 타잔과 킹콩
‘우리 고양이가 다리를 갑자기 절어요’ ,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거립니다. 관절염인가요? 아직 어린 고양이인데요? 고양이 집사분들은 이러한 많은 관련 …
Source: immissingy1.tistory.com
Date Published: 6/11/2021
View: 1510
고양이 다리 절뚝이는 이유, 뒷다리 저는 현상의 원인들
다리짧은 고양이 종류인 먼치킨이나 완충작용을 하는 털이 없는 스핑크스와 같은 고양이 품종에서는 부딪히거나 착지 오류과정을 통해 발을 헛디디는 과정 …
Source: animallover.tistory.com
Date Published: 2/21/2021
View: 502
고양이 다리 절음 원인 대처방법 – 로보트
다리 절음의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도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
Source: robotblog.tistory.com
Date Published: 6/14/2022
View: 5717
고양이다리절뚝거림 – Q&A 태그 대표페이지 – 지식iN – NAVER
지식iN에서 #고양이다리절뚝거림 태그와 관련된 Q&A를 만나보세요!
Source: kin.naver.com
Date Published: 1/15/2021
View: 532
고양이가 절뚝 거리면해야 할 일 – Noti Gatos
5 개월 된 고양이가 오른쪽 다리 통증으로 시작하여 절뚝 거리며 수의사에게 데려가 X- 레이를 찍었습니다. 결과는 뼈를 긁기 위해 수술하십시오. 답장 …
Source: www.notigatos.es
Date Published: 12/13/2021
View: 8243
고양이는 아파도 티 안 내요 – 주간동아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거리는 것을 보고 놀라서 병원에 데려오는 보호자가 종종 있다. 대부분 이유를 전혀 모르고 온다. 게다가 막상 진료해보면 절뚝 …
Source: weekly.donga.com
Date Published: 9/17/2021
View: 2666
고양이가 다리를 절어요. 고양이 다리가 아픈거 같아요. – NO .D 1
어느세 나도 모르게 내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거립니다. 고양이가 걷는게 이상하니 걱정이 되네요. 고양이가 발을 딛지 못하고 들고 다니는 경우, …
Source: shield635.tistory.com
Date Published: 3/15/2021
View: 4163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고양이 다리 절뚝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옆집수의사]고양이가 다리를 절어요.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고양이 다리 절뚝
- Author: 옆집수의사
- Views: 조회수 16,407회
- Likes: 좋아요 104개
- Date Published: 2019. 8.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kXlzCp_3n-A
고양이 다리절음 원인
반응형
고양이 다리 절음
‘우리 고양이가 다리를 갑자기 절어요’ ,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거립니다. 관절염인가요?
아직 어린 고양이인데요? 고양이 집사분들은 이러한 많은 관련 의문들이 생길 수 있을 것 입니다.
갑자기 우리 고양이 ‘다리절음’을 목격하신 경우가 있으시지요? 처음 고양이를 기르시는 경우에 많이
당황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고양이가 다리를 갑자기 절어요
저의 경우에는 서남아시아 후진국에 살고 있다 보니 , 고양이가 갑자기 다리를 절어서 사실 더욱 당황하였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주기적으로 동물병원도 보내고 , 예방접종도 맞히고 , 건강검진도 하는데도 불구하고
이런 경우에는 더 걱정도 되고 , 당황스럽기까지 하지요.
서론이 좀 길었습니다만, 경험에 의하면 몇가지 사항을 눈여겨보실 필요가 있으시니, 여기에 대하여
설명드리려고 글을 올려 드립니다.
고양이 관절염인가요?
1 다리 골절
사람도 마찬가지지만 , 대부분의 경우에 우리도 모르게 , 고양이는 높은 곳이나 위에서 딱딱한 돌이나
바닥으로 뛰다가 골절이 생기기 가 쉽습니다.
뛰어내리다가 발을 헛디디거나, 심하게 우다다 하다가 점프해서 잘 못하는 경우 관절이나 다리에
골절이 생깁니다. 좀 가볍게 다치는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 , 차츰 돌아오기도 하는 편인데 , 심하게
다친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에서 진찰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 다리 골절
저희 페르시안 고양이의 경험에 의하면 자주 높은곳에서 뛰어내리다가 한 번씩 다리를 절룩거리기도 했습니다만 ,
대부분의 경우 엑스레이 결과 뼈의 이상이 나타난 적은 없습니다. 하루 이틀 이후에 나아지곤 하였으니까 ,
이런 경우 우선 며칠 경과를 보시고 , 지속적으로 절룩거리는 경우에는 병원을 내원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고양이가 절룩 거려요
사람의 경우 처럼 , 인대 손상이나 미세한 골절의 경우에는 엑스레이상으로도 판단이 힘드니 , 비단
후진국의 경우라서 동물병원에서 발견 못하는 이슈라고 치부할 수는 없을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 우리가 임시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은 다리 여기저기를 살짝살짝 눌러보아서 고양이가
아파하는지 아니면 정상적인 반응 인지 정도를 체크할 수는 있겠습니다.
고양이가 걷지를 못하는 이유
2 발바닥 상처
가장 기본적인 체크 사항이지요 , 다리를 바닥에 딛지 못하고 , 들고서 절룩거리는 형태라면 , 혹시
발바닥에 미세한 가시가 박혀있거나 , 발바닥 젤리에 상처가 생긴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만약에 아주 미세한 상처나 , 잔가시가 박혀있어도 고양이는 바닥에 딛지 못할 것이니 , 주의깊게 살펴보셔야
할 것입니다.
이는 우리도 손가락이나 어디 살짝 작은 가시가 박혀서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 아픈 것과 같은 것이지요.
사실 이 두가지 정도가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일 것입니다.
고양이 예방접종 부작용
3 예방접종 부작용
예방접종을 맞고나서 발생하는 접종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의 경우에는 보통 고양이의 연령대가 예방접종을 받는 시기인 어린 경우에 해당하고 , 예방접종을
맞은 지 짧게는 보통 하루 이틀이나 길게는 일주일이나 열흘 내에 많이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개체마다 차이가 나 증상이 발현할 수도 있고 , 한 두 다리 돌아가면서 다리를 절 수 있습니다.
이또한 시간을 두고, 경과를 보시고 판단 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고양이 다리 절름거림
4 발톱 문제
위의 세가지 경우가 아닌 경우에 , 한 가지 추측할 수 있는 부분은 발톱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건 많은 집사님들 경험에 의한 것인데 , – 저희 냥이 문제는 아녔습니다 – 간혹 , 발톱이 기형적으로
자라났다거나 걸리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도 있으니, 절름거리는 발 쪽을 잘 확인해 보시고 , 발톱이 갈라지거나 깨져 있거나 , 기형적으로
튀어나와 자라 있거나 하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고양이가 절름 거려요
보통 위의 네가지 경우중 하나로 , 저희가 어느 정도 판별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5 유전병에 의한 문제
동물병원에서 확인 가능한 정밀검사 나 피검사로 세부적인 검사로 유전병에 의한 문제나 그러한 부분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양이 다리절음
흔히들 비대성심근경증(Hyper trophic cardiomyopathy(HCM)의 경우에는 유전적 질환인 편인데 ,
페르시안 고양이나 , 브리티쉬 숏헤어 , 메인쿤 , 렉돌(랙돌) , 스핑크스, 샤트룩스의 일반적인 품종에서 많이
발생하는 편입니다.
이는 다른 글에서도 설명 드렸듯이 , 말 그대로 심장 근육 비대증으로 기능 저하 , 폐의 압박으로 호흡곤란 과
기침 동반 , 폐에 물이 차기도 하면서 , 혈관에 혈전들이 생기면서 뒷다리 마비 증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심전도 검사와 심장초음파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실 가장 문제는 만약에 이러한 유전병으로 인한 경우 , 심장병에 대한 근본적 치료방법이 없음이
안타까운 사실입니다.
고양이가 이상해요
다만, 동물병원에서의 적절한 약물치료와 이뇨제 , 저염식 등을 통해서 가능한 무리하지 않은 운동과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놀이 등을 통하여 어느 정도 질환으로 인한 건강 악화를 지연시키고 , 완화될 수 있게
도와줄 수는 있다고 하니 , 끝까지 포기하지 마시고 만약에 이러한 유전병에 의한 문제라면은 더욱더 잘 돌보아
주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고양이들에게는 그만큼 흔하게 발병할 수 있는 질환이기도 하니 , 그 대응방법에 있어서는 우리 집사들의
몫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고양이 다리 문제
이상으로 , 오늘은 고양이가 다리를 저는 경우에 대하여 몇가지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어떠한 경우이든지 간에 , 최소 며칠이나 일주일 정도 경과를 지켜보시고 , 지속적으로 문제가 있어 보이는
경우에 동물병원에 가서 정밀 검사를 받아 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고양이 유전병
오늘도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며 , 하루 마무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고양이 다리 절뚝이는 이유, 뒷다리 저는 현상의 원인들
고양이 다리 절뚝거리는 원인은 치료가 급히 필요한 고양이 다리 골절 이유에서부터 고양이 신체구조상 다리짧은 고양이의 특성으로 약하게 삐끗거리거나 기타 다른 질병으로 인해 고양이 걸음걸이가 절뚝거릴 수 있습니다.
고양이 다리 절뚝이는 이유
고양이 다리 절뚝이는 이유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거리는 것은 앞다리를 절룩거리느냐, 뒷다리를 절뚝이느냐에 따라 구분지을 수 있으며, 또한 양쪽 다리를 같이 절뚝거리느냐 한쪽 다리만을 절뚝거리느냐에 따라 구분을 해볼 수 있습니다.
골절
첫번째로 살펴볼 고양이 다리 절뚝거리는 이유는 어린 고양이에서 흔한 고양이 골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양이 골절
고양이들은 높은 곳에 올라가고 점프하는 등의 본능적인 행동습성 을 지니게 되는데, 이런 와중에 캣타워와 같은 높은 곳에서 착지를 잘못하거나 떨어질 경우에 고양이의 뼈가 골절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길에서 생활하는 길냥이들의 경우 높은 담벼락에서 떨어져 다리가 부러져서 절뚝거리는 현상은 종종 발생하며, 차나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식 수단에 치여서 뼈가 부러지는 상태로 고양이 다리 저는 현상은 종종 보이기도 합니다.
고양이 골절 원인
골절이 일어난 고양이는 다리를 아예 디디지 못하고 다니거나 완전한 골절이 아닌 금이 가있는 경우에는 걸음걸이가 뒤뚱이면서 다리 저는 현상을 보이게 됩니다.
인대나 건 손상 (교상/타박상)
다묘가정에서는 흔히 고양이들끼리의 싸움이 흔히 관찰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고양이들이 다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이 존재합니다.
고양이 영역싸움에 의한 다침으로 고양이 절뚝거림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사이가 나쁜 고양이들은 서로의 영역싸움을 통해 서열정리를 하곤 하는데, 고양이 서열싸움의 행동학적 결과로서 고양이가 서로 물고 물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 날카로운 고양이 치아를 통해 무는 과정에서 다른 아이의 앞다리나 뒷다리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게 되며, 이러한 곳에는 구강세균의 감염뿐만 아니라 염증이 시작되어 통증이 극심해지게 됩니다 .
고양이가 서로 물고 물리는 과정을 통한 감염과 염증은 다리 통증을 극심하게 유발한다
물린 고양이는 털이 많이 나있어서 관찰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통증이 있는 다리를 절뚝거리거나 아예 디디지 못하고 들고 뛰어다니는 현상을 보이게 되고, 경우에 따라 움직이지 않거나 구토를 하는 등의 스트레스를 표출하기도 합니다.
또한, 타박상으로 인해서도 고양이 다리 절뚝거리는 현상은 관찰되게 되는데 사람으로 치면 멍이 드는 것과 같은 개념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고양이 타박상에 의한 통증 또한 고양이 걸음걸이 이상을 유발한다
다리짧은 고양이 종류인 먼치킨이나 완충작용을 하는 털이 없는 스핑크스와 같은 고양이 품종에서는 부딪히거나 착지 오류과정을 통해 발을 헛디디는 과정이 발생하고 타박상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고양이 다리 절뚝거림이나 걸음걸이를 이상하게 걷는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장병
고양이 심장병은 보이지 않는 죽음의 진행과정이며, 고양이 심장병 말기 증상으로서 뒷다리가 마비되고 제대로 걷지 못하는 현상 을 보이게 됩니다.
고양이 심장병, 비대성심근병증(HCM)의 증상과 치료, 예후적 측면에서의 수명 연장에 대한 완벽 정리
고양이 심장병으로 인한 뒷다리 마비나 절뚝거리는 현상의 발생과정은 이전 고양이 비대성심근병증(HCM) 포스팅 내용을 참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고양이 심장병으로 인해 뒷다리 절뚝거림이 발생하게 된다면 발생한 뒷다리의 혈액순환장애로 인해 뒷다리 발바닥 패드가 차가운 냉감이 느껴지거나 통증이 극심하여 고양이가 울부짖는 현상을 보이게 됩니다.
고양이 심장병 말기증상으로 뒷다리가 마비될 수 있다
고양이 심장병으로 인한 뒷다리 저는 현상은 아주 심각한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골든타임이라고 불리는 시간 내에 증상을 해결해주어야지 생명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만약 위에서 설명드린 증거가 충분히 보이는 고양이를 키우는 반려인은 발견 즉시 동물병원에 방문하시는 것이 추천됩니다.
당뇨병
고양이 당뇨병 또한 고양이 다리 절뚝거리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신체구조상 뒷다리를 들고 걷는 듯한 걸음걸이가 정상적인 고양이 걸음걸이이며, 사람으로 치면 뒷발꿈치를 들고 걷는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양이 정상보행(좌)과 비정상보행(우) 비교 (출처 : The effect of foot posture on capacity to apply free moments to the ground: Implications for fighting performance in great apes)
하지만, 만약 고양이 당뇨병이 찾아오게 된다면 고양이 걸음걸이는 뒷발꿈치는 바닥에 붙이고 걷는 양상 으로 변하게 됩니다.
즉, 전문적인 용어로 척행성 보행(plantigrade)을 보이게 되는데, 이는 당뇨병을 앓는 고양이에서 흔히 관찰 되는 고양이 걸음걸이로서 절뚝거린다기보다는 제대로 된 보행이 어려워 고양이 다리 저는 현상으로 오인된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고양이 당뇨병으로 인한 척행성보행(Plantigrade)은 고양이 다리 절뚝거림으로 오인되곤 한다
고양이 당뇨병의 경우 이러한 걸음걸이의 이상뿐만 아니라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지나치게 많이보는 현상과 식욕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등의 당뇨병 증상을 같이 보일 수 있으므로 유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칼리시바이러스감염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감염 또한 고양이 다리 절뚝거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감염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는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지만, 어린 고양이에서 예방접종 후 일시적인 칼리시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다리절뚝거림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칼리시에 감염된다면 바이러스의 관절부위에의 감염을 통한 관절염과 관절통이 생기게 되며, 이는 뒷다리를 보행하기 어려워하여 뒷다리 절뚝거림이나 고양이 걸음걸이가 이상한 형태를 보일 수 있게 됩니다.
고양이 림핑신드롬, 고양이 예방접종 후 다리절뚝거림 부작용
고양이 예방접종 후 절뚝거림은 림핑 신드롬(Limping syndrome)이라는 예방접종 부작용 으로 흔히 알려져 있으며, 이는 몇일 정도의 경과 이후에는 저절로 좋아지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수의사 선생님과의 상담 후 약처방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야외에서 생활하는 길고양이는 고양이 진드기 감염에 의한 질환에 의해서도 다리 걸음걸이 이상이나 고양이 다리 절뚝임은 발생할 수 있으며, 흔하지는 않지만 면역매개성의 질환과 같은 질병 감염에 의해서도 다리를 쓰기 불편해할 수 있겠습니다.
고양이 다리 절뚝거림의 원인과 이유
오늘은 고양이 다리 절뚝거림의 원인들에 대해 함께 상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 더 유익한 컨텐츠로 또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고양이 다리 절음 원인 대처방법
고양이가 다리를 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요.
다리 절음의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도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이는 이유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오늘은 고양이가 다리를 저는 원인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발을 전혀 딛지 못할 때
고양이가 땅에 발을 전혀 딛지 못할 때는 골절과 탈구인 경우가 많은데요.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다 착지를 잘못했거나, 다른 고양이와의 싸움으로 인해 발생하기 쉽습니다.
고양이 다리에 골절이 발생하면 다리 절음뿐만 아니라 통증, 열감, 출혈, 변형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다른 장기에도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동물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며, 증상이 심해지지 않도록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2. 절뚝거리며 걸을 때
고양이가 땅에 발을 딛을 수는 있지만 절뚝거리면서 걷는다면 염좌나 인대 손상일 가능성이 높은데요.
다리에 무리가 갈 정도로 뛰어놀거나, 발톱이 긴 상태로 격한 행동을 했을 경우에 발생하기 쉽습니다.
인대 손상의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다리 절음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난 초기에 병원에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고, 고양이가 무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3. 다리에 힘이 없을 때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이며 전혀 힘을 쓰지 못한다면 동맥 혈전증에 의한 마비 증상일 가능성이 높은데요.
고양이 다리를 아무리 건드려봐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다리가 차가워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태가 더욱 심각해지면 말초 신경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근육과 피부가 괴사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최대한 빨리 동물병원에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24시간이 지나면 신경 손상이 시작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치료 효과도 낮아질 수 있습니다.
4. 백신 접종 후 다리 절음
고양이에게 백신 접종을 시켰다면 얼마 안 지나 다리절음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보통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에 다리 절음 증상이 나타나며, 고양이가 식욕이 없고, 열이 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대체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나아지는데요.
하지만 증상이 심해서 반려묘가 너무 힘들어한다면 소염제를 처방받아 먹이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5. 서서히 다리절음 증상이 나타났을 때
고양이가 다리를 저는 모습이 서서히 나타난다면 관절염일 가능성이 높은데요.
고양이가 관절염에 걸리면 다리를 절거나 걷는 모습이 이상해질 수 있으며, 엎드려 있는 시간이 많아지게 됩니다.
관절염이 심해지면 다리 절음 증상뿐만 아니라 척추에까지 이상 증상이 생겨 목을 전혀 못 가누거나, 다리가 가늘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영양 공급을 통해 관절염을 예방하거나, 가벼운 산책 등으로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검진을 받고, 관절염을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Q&A 태그 대표페이지 : 지식iN
프로필이 보고 싶다면,
관심키워드 설정
관심 키워드는 20개까지 등록할 수 있습니다.
최대 키워드 개수(20개)를 초과하였습니다.
기존에 등록한 관심키워드를 삭제하시면, 다시
다른 키워드를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고양이가 절뚝 거리면 어떻게해야하나요?
방금 일어나서 잘 걸을 수없는 털복숭이를 찾았습니까? 그렇다면 아마도 알고 싶을 것입니다. 고양이가 절뚝 거리면 어떻게해야하나요따라서 긴급한 경우 일 수 있으므로 친구가 가능한 한 빨리 회복 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것을 단계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하지만 우선 우리가해야 할 첫 번째 일은 진정하는 것입니다. 네, 알아요. 친구가 고통 스러울 때 그렇게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매우 중요합니다. 이 동물들은 우리가 어떻게 느끼는지 완벽하게 알고 있으며, 특정 긴장을 감지하면 가능한 한 침착 함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그들을 돌볼 수 있어야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숨을들이 쉬고 10 초간 참았다가 조금씩 내쉬세요. 기분이 좀 나아 졌나요? 예?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내 고양이가 절뚝 거리는 이유.
우선, 우리는 항상 애완 동물에게 관절을 보호하고 이러한 유형의 상황을 피하는 데 도움이되는 연골 보호제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것을 더 잘 정리하려면 약간의 절름발이와 심한 절름발이의 경우 어떻게해야하는지 알아 봅시다.
가벼운 파행
우리가 약간의 절름발이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동물이 너무 많은 고통을 느끼지 않고 걸을 수있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불만을 제기 할 수는 있지만 매우 큰 불만은 아닙니다. 그는 그의 발을 핥을 것이지만 고통이 그를 움직이지 못하게하지 않을 것입니다. 고양이는 인간 또는 큰 개가 실수로 밟았거나 발바닥에 부상을 입었을 때 이런 유형의 절름발이를 가질 수 있습니다.
할 것? 글쎄, 당신이 사용할 수있는 치료법은 순수한 알로에 베라 젤을 감염된 부위에 바르고 하루가 지나서 어떻게 진화하는지 보는 것입니다. 다음날 그가 더 부어 있거나 더 불평하기 시작하면 그를 수의사에게 데려 갈 것입니다.. 갈 방법이 없거나 닫혀 있으면 다음 섹션에서 다리를 붕대를 감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심한 파행
심한 절름발이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고양이가 발을 사용할 수없는 것을 말합니다. 그것은 많이 아파서 그의 불평이 크다. 영향을받은 발을 만지려고하면 공격적이 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가 절름발이의 원인
고양이가 절뚝 거리면이 부상을 입힌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리가 찾은 가장 일반적인 것 중 :
골절
종양
타박상
다리 부상
공동 문제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동물을 잘 조사하다 그것이 무엇인지에 따라 어떤 식 으로든 행동해야하기 때문에 절름발이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따라서 통증이있는 부위를 양심적으로 살펴보고 무언가 (붙은 여드름, 이물질 등)를 찾으십시오. 다리에 미세한 상처가 보이더라도 걱정하지 마십시오. 이러한 상처는 보통 저절로 치유됩니다. 이제 말벌의 스팅거와 같이 거기에 없어야 할 외부 요소를 발견하면 핀셋으로 조심스럽게 제거 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 있다고 의심되거나 모든 것이 괜찮은 것 같지만 고양이가 많이 불평하는 경우 수의사에게 데려가십시오.
다리가 부러진 것을 발견 한 경우에만 현재로서는 재정적 수단이없는 매우 극단적 인 경우에만 그렇게 할 것입니다. 어떻게? 따라서 한 사람이 고양이를 안고있는 동안 다른 사람은 발에 붕대를 감아 야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접시를 말리는 데 사용하는 천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접착 붕대로 고정하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관련 기사 : 내 고양이 골절
다리가 벗겨진 매우 심각한 경우에는 수의사에게 가야합니다. 부목을 부을 수는 있지만 전문가가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잘못하면 고양이가 영원히 절름발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양이 발에 붕대를 감는 방법
여기 있습니다 발을 고양이에게 붕대를 감는 단계 절뚝 거리고 잘 걸을 수없는 사람 :
필요한 재료 준비: 붕대, 면, 부목(플라스틱을 구입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긴급한 경우 나무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음), 접착 드레싱, 수건(또는 천). 이 모든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구급 상자. 동물이 물거나 긁히지 않도록 수건이나 천으로 동물을 덮으십시오. 그것을 완전히 덮지 않고 옆으로 눕히고 머리를 덮지 않고 천을 그 위에 올려 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제 우리는 목화로 XNUMX 개의 롤을 만듭니다 (조각을 가져다가 손가락 사이로 굴려서 만듭니다). 완료되면 발톱이 걸리지 않도록 감염된 발의 발가락 사이에 넣어야합니다. 그런 다음 사람이 그것을 잡고있는 동안 그는 영향을받은 다리를 붕대로 감습니다. 그런 다음 다리와 같은 길이의 부목을 넣어야합니다. 접착 드레싱으로 고정하십시오. 마지막으로, 손가락부터 시작하여 XNUMX 겹의 붕대와 약국에서 판매되는 넓은 접착제 층을 그 위에 올려야합니다.
다리에 붕대를 감 으면 조금씩 기분이 나아질 것입니다. 하지만 상황이 더 나빠진다면 그를 수의사에게 데려가십시오.
발에 붕대를 감은 고양이 돌보기
쉽지는 않지만 고양이가 침착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 우리는 클래식 음악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 오렌지 에센셜 오일 또는 그를 애지중지하기 위해 그의 옆에 앉아. 그렇게 하면 잠시라도 그를 진정시킬 수 있습니다.
용기, 그는 곧 회복 될 것입니다 😉.
고양이는 아파도 티 안 내요~
[shutterstock]
건강검진 통해 위장에서 신발끈 발견하기도
오랜 세월 사람들과 생활하며 변화한 개와 달리 고양이는 야생성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다. 그게 고양이의 매력이기도 하다. 하지만 야생에서 몸에 이상이 있다는 것이 드러나면 도태된다는 본능 때문인지 고양이는 건강 이상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다. 동물병원을 찾아오는 고양이 보호자는 대부분 “어제까지 아무 문제도 없었다”고 말하지만 알고 보면 상당 기간 지속된 경우가 많다.고양이가 다리를 절뚝거리는 것을 보고 놀라서 병원에 데려오는 보호자가 종종 있다. 대부분 이유를 전혀 모르고 온다. 게다가 막상 진료해보면 절뚝거림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진료실에서 잘 뛰어다니기까지 한다. 엑스레이 촬영을 해도 골절이나 탈구 등 특이점이 확인되지 않는다. 보호자는 “분명히 봤는데…”라며 황당해한다. 의사도 달리 방법이 없다. 그런데 상당수가 집에 돌아가면 다시 다리를 절뚝거린다. 범인은 고양이다.외상에 의한 염좌나 타박의 경우 엑스레이 검사로 잘 나타나지 않는다. 야생성이 남아 있는 고양이는 낯선 사람이 많은 병원에서 긴장하기 때문에 웬만해선 통증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수의사들은 실제로 고양이가 문제를 숨길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진료한다. 만약 고양이가 평소와 달리 이상한 모습을 보일 경우 휴대전화로 동영상을 촬영해두면 진료할 때 큰 도움이 된다.한번은 중년의 고양이가 진료를 받으러 왔다. 내원 이유가 ‘기력 저하’로 돼 있었다. 이런 경우 스트레스에서부터 종양성 질환까지 무엇이든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진료한다. 고양이는 비슷한 증상이라도 원인이 다른 경우가 적잖고, 반대로 진단명은 같지만 증상에 일관성이 없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아프다는 것을 티 내지 않는다. 큰 문제가 없는 것 같던 고양이들의 검사 결과를 보고 깜짝 놀라는 보호자가 많다. 정말 참기 힘들었을 텐데 티 내지 않았다는 것을 생각하면 마음 한켠이 짠해지기도 한다.호흡이 예전보다 조금 빨라지거나, 입을 벌리고 숨을 쉬는 문제로 병원을 찾는 고양이도 있다. 보호자의 설명으로는 내원 몇 시간 전까지 아무 문제도 없었지만 혹시나 해서 데려온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고양이를 검사해보면 심장질환이 심각하게 진행된 경우가 많다.개는 심장질환 초기부터 증상이 나타나고, 일반 진료 및 기본 검사로도 어느 정도 추정이 가능하다. 반면 고양이는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이 없다 갑자기 나타난다.그래서 고양이는 건강검진이 중요하다. 고양이의 연령, 품종, 거주 형태 등에 따라 항목이 달라진다. 동물병원은 대부분 고양이 생애주기별 건강검진 프로그램이나 가이드라인을 갖고 있다.특히 두 마리 이상의 고양이가 함께 생활하면 누가 아픈지 확인하기 어렵다. 잘 먹고 잘 논다는 한 고양이는 건강검진 결과 위장에 신발끈 뭉치가 들어 있는 것이 확인됐다. 건강검진을 통해 소장에서 큰 종양이 발견된 고양이도 최근 있었다.이처럼 고양이는 질병을 잘 숨긴다. 건강검진으로 질환들을 조기에 발견해 대처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삶의 질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고 생명 또한 연장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겠다.
고양이가 다리를 절어요. 고양이 다리가 아픈거 같아요.
어느세 나도 모르게 내 고양이가 다리를 절뚝거립니다.
고양이가 걷는게 이상하니 걱정이 되네요.
고양이가 발을 딛지 못하고 들고 다니는 경우, 발을 딛지만 절뚝거리는 경우, 다리를 아예 쓰지 못하고 힘을 주지못하는 경우 등 각 경우에 대해 알아봅시다.
골절이 의심되는 경우!!
발 땅에 딛지 못하고 들고 다닐 때 발을 땅에 딛지 못하고 들고 다니는 경우에는 골절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주로 외출을 하는 고양이들이 갑자기 이런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교통사고등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집 안에 있는
고양이도 점프를 하다가 발을 헛디뎠거나, 책장에 깔리는 등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시간이 지나면 골절 치유가 지연될 수 있을 뿐더러, 만약 고양이가 다리가 골절될 정도의 충격을 받았다면 다른 장기에도 손상을 입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병원에 고양이를 데리고 오는것이 필요합니다.
고양이가 아파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 쓰던 담요 같은 것으로 고양이를 감싼 후 이동장을 이용하여 병원에 데리고 옵니다.
평소에는 병원에 곧잘 오는 고양이도 통증이 있는 경우 돌발행동을 하고 뛰어내릴 수 있는데,
몸이 평소와 같지 않아서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장 안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발을 땅에 잘 딛지만 절뚝거릴 때
고양이가 발을 땅에 잘 딛지만 절뚝거리는 경우에는 염좌, 인대 손상 혹은 미세한 골절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람도 다리를 삐거나 다칠 수 있는 것처럼,
고양이도 집 안에서 격하게 상하 운동을 하거나 하는 경우 충분히 다칠 수 있습니다.
특히 발톱이 긴 경우에는 여기저기걸리면서 다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평소 발톱관리를 잘해줍니다.
이런 경우 당분간 놀아주거나, 털을 깎는다거나 목욕을 시키는 등 고양이가 격하게 움직일 수 있는 행동은 하지 않아야 합니다.
고양이가 점프나 ‘우다다’ 등 심하게 움직이는 것을 되도록 하지 못하도록 제지합니다.
이런 증상을 잠깐 보였다가 바로 괜찮아지는 경우에는 일시적인 증상일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인대 손상 및 미세 골절이나 심장 문제 등의 좀 더 심한 문제일 수 있으므로 병원에내원합니다.
병원에서는 촉지 (만져보는 것)를 통해 아픈 부분을 특정하고, 방사선 검사를 통해 골절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다만 고양이가 예민해진 경우 병원에 내원해서 통증을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경우도 많기 때문에,
고양이의 이상 보행 상태를 동영상으로 다각도로 촬영해 오면 진료 시에도움이 됩니다.
일부에서는 필요에 따라 진정을 해서 이완한 상태에서 인대 등을 평가해야 할 수 있습니다.
진단에 따라 약물치료, 붕대,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근골격계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소염진통제의 경우 노령의 고양이에서는 주의해서 처방 받아야합니다.
노령 고양이의 상당수는경계선 수준의 신부전을 가지고있을 수 있는데, 이때 소염진통제를 장기로 적용하는 것은 신장에 부담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의심되는 경우 처방전 이에 대한 평가를 시행할 수도 있고, 단기 처방을 하거나 다른 유형의 진통 처방을 할 수도 있습니다.
호전이 되지 않고 심한 경우에는 인대나 연골 등을 평가하기 위해 CT나 MRI 촬영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더러 관절의 인대가 끊어지는 고양이들이 있는데, 물리치료나 보조치료, 수술로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양이가 다리를 아예 못 쓸 때
다리를 아예 못 쓰는 경우에는 마비 증상이 아닌지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감각이 있는지 만져보고, 통증을 느끼는지도 확인해봅니다.
교통사고 등으로 목을 다친 사람이 목 아래 전신이 마비되는 것과 같이 고양이도 신경 길환으로 사지, 혹은 뒷다리 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보통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만, 부분 마비인 경우에는 뒷다리에 힘이 빠진 듯 휘청이며 걸을 수 있습니다.
한편 한쪽 혹은 양쪽 뒷다리를 쓰지 못하는데, 만지면 통증이 심해서 고양이가 공격적으로 군다면 비대성 심근 병증(HCM)은 아닌지 의심해 보아야합니다.
이런 경우 발바닥이나 다리가 전체적으로 만져보면 차가운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 장의 첫 번째 파트 호흡 이상과 심장 질환 중 고양이 심장병 편을 참조해서 알아봅시다.
다리를 아예 들고 다니는 경우 골절이 의심되지만, 골절로 사망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리가 마비된 경우에는급성으로 사망하거나, 통증이 심하거나,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회복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고양이를 바로 병원에 데리고 가야 합니다.
통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고양이를 자신의 냄새가묻어 있는 평소 사용하던 담요 등으로 감싸서 내원합니다. 되도록 이동장 안에 넣어서 이동하는 것이 역시 안전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고양이 다리 절뚝
다음은 Bing에서 고양이 다리 절뚝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옆집수의사]고양이가 다리를 절어요
- 옆집수의사
- 수의사
- 강아지
- 고양이
- 반려동물
[옆집수의사]고양이가 #다리를 #절어요
YouTube에서 고양이 다리 절뚝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옆집수의사]고양이가 다리를 절어요 | 고양이 다리 절뚝,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